View : 1347 Download: 0

벤자민 브리튼(Benjamin Britten)의 에 관한 연구

Title
벤자민 브리튼(Benjamin Britten)의 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f Benjamin Britten's “Missa Brevis in D” with a Focus on Compositional and Performance Techniques
Authors
유은미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신화
Abstract
20세기는 이전시대들과는 다르게 물질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시대적, 사회적 정세에 의해 매우 급변 하는 양상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음악뿐만 아니라 경제, 과학, 사회의 모든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그 중 20세기에 가져온 음악의 변화는 과거 전통적인 음악을 현대에 맞춰 사용하길 원하는 보수적 성향과 이를 구세대의 기법으로 인정하고 이와는 반대로 새로운 작곡경향과 기법이 적용된 실험적인 음악을 따르는 진보적인 성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가운데 전통과 현대의 절충적인 작곡기법을 추구하면서도 이것을 자신만의 독창적인 기법으로 재탄생시킨 신고전주의가 20세기 초에 나타났는데 이 사조는 당시 유럽 음악에 주류를 이루었다. 20세기 영국의 대표적 작곡가인 벤자민 브리튼(Benjamin Britten, 1913-1976)은 이러한 기법 중 신고전주의에 영향을 받아 그만의 독자적인 음악으로 재창조 시킨 작곡가이다. 브리튼은 그의 전 생애를 통해서 여러 다양한 종류의 성악곡과 기악곡을 작곡하였는데 그의 작품 활동을 보면 오보에 솔로를 위한 기악곡 를 작곡한 1951년부터 첼리스트 로스트로포비치(Mstislav Rostropovich, 1927-2007)를 위한 를 작곡한 1961년까지 약 10년간 기악곡을 작곡하지 않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이 시기에 그의 성악 작품을 보면 가곡, 오페라, 합창음악의 황금 시기라 할 수 있을 만큼 상당수의 성악 음악이 작곡 되었는데 이러한 10년간 기악곡의 공백기 끝에 브리튼은 20세기 최고의 오케스트라 합창작품인 (1961)을 작곡 하였다. 그는 인간의 소리에 깊은 공감을 느끼는 작곡가로 특히 그에게 있어 합창곡이 차지하는 위치는 특별한 것으로 보여 진다. 본 논문은 브리튼의 에 나타난 작곡기법을 중심으로 악곡을 분석하고 연주법을 연구한 것이다. 이 작품은 브리튼의 종교적 합창작품 중 유일한 ‘미사 브레비스’(Missa Brevis)로, 크레도(Credo)를 제외한 짧은 네 개의 악장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소년 합창과 솔로, 그리고 오르간으로 편성되었다. 필자는 당시 웨스트민스터 대성당의 소년 성가대의 음색과 이를 토대로 작곡된 브리튼의 의 악곡 분석을 통해 이 작품에 나타나는 작곡기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연주를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은 브리튼의 를 분석하기에 앞서 미사와 미사 브레비스의 이해, 20세기 영국 음악의 특징, 그리고 브리튼의 생애와 합창음악의 종류를 알아보고 특히 그의 생애 동안 출판된 성악과 오르간을 위한 여덟 개의 종교적 합창작품들을 통해서 그의 다양한 작곡 기법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의 각 악장을 가사, 선율, 화성, 조성, 리듬, 다이나믹, 측면에서 분석한 후, 각각의 결론들이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연주법도 함께 제시 하였다. 이러한 각 악장의 결론들은 네 개의 악장에서 고루 나타나는데 그 공통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사의 의미에 따라 선율의 방향이나 음역배치를 제시하는 가사그리기 기법이 작품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선율과 화성적 으로는 4도와 5도 음정이 주로 사용되어 모방되는데 이는 주제선율을 이루고 있다. 셋째, 이 작품은 조성에 근거하고 있지만 조성 이외에도 선법, 온음음계(Whole-tone scale), 12음 등을 혼용하며 음 소재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다. 넷째, 1악장 <키리에>을 제외한 모든 악장에서 오스티나토가 나타나며, 이는 전위(inversion), 변형, 리듬의 분할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발전된다. 다섯째, 가사의 구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ff의 분명한 클라이막스가 나타나며, 종지에서는 다음 악장의 f로 나타나는 다이나믹과 대조를 보이기 위해 모두 여린 다이나믹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을 연주할 시에는 첫째로, 서정적인면과 극적인면을 보여주는 웨스트민스터 톤처럼 훈련된 사운드가 연주하기에 효과적이기에 발성과 호흡의 꾸준한 훈련이 필요하다. 둘째로, 브리튼의 에코적인 음향 설명을 단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이와 더불어 장․단․증․감 등의 화성 연습이 철저히 훈련되어야 한다. 셋째로, 가사의 반복과 실러빅(syllabic)양식을 통해 그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에 딕션(diction)훈련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연구 되어진 는 각 악장에 나타나는 음악적 재료들이 브리튼의 다른 작품들 속에서도 유기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작품은 전통적 양식과 20세기의 음악적 소재가 결합된 브리튼만의 개성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연주하는데 있어서는 각 악장에 명확한 단락감이나 동기적, 음형적으로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연결되고 있으므로 연주하기에 효과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The twentieth century witnessed a rather unique and rapid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visible in many areas of culture and society. The changes were significant not just in the music world but in other areas of society such as economy and science, bringing diverse changes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amidst of this, a movement within the western classical music scene saw the development of a style, which united the old with the new, and the conventional with the modern. Composers began to look back at previous historical musical influences, using more traditional composition techniques, whilst on the other hand applying new ideas of musical expression at the same time. Neoclassical movement was prominent in the twentieth century European music scene. It would appear that as one of the foremost twentieth century British composers, Benjamin Britten (1913-1976) was influenced by the neoclassical movement, and created music with a strong individual and unique musical style. Britten wrote a wide range of different compositions throughout his entire life, including both choral and instrumental works. There is an intriguing period in Britten’s career as a composer during which he did not write any instrumental works for a decade, from the solo oboe composition titled Six Metamorphoses after Ovid, Op.49 (1951), until the great cellist Mistislav Rostropovich (1927-2007) inspired the Cello Sonata in C, Op.65 (1961). Britten composed many of his well-known choral and opera compositions during this period, and in many of these works Britten’s deeply felt empathy with the world of human voice and its expression is especially evident. Furthermore, it is at the end of this period of absence of instrumental works that saw the composition of the greatest twentieth century orchestral choral work, War Requiem Op.66 (1961). This essay explores the composition techniques of Britten’s Missa Brevis in D (1959) through analysis, and also considers its performance techniques. One of the most prominent examples of Britten’s choral and religious choral works is the liturgy based Missa Brevis in D, which is a piece for a boys’ choir with solo and the organ. It consists of four short movements excluding the Credo, and displays Britten’s interest and careful use of the cathedral boys’ sound and color. This essay analyses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of this work with the purpose of exploring and applying further musical understanding and suggestions for performance. Prior to exploring the work through detailed analysis, this essay initially attempts to explore the background history, discussing Britten’s life and his choral works, the characteristics of twentieth century British works, and the eight religious works for voice and organ published during his life time, in order to consider the work’s dynamic composition techniques and musical intent. With this context, an analysis of each movement is carried out with a focus on the liturgy text, melodic line, harmony, key, rhythm and dynamics, with some suggestions for performance. This then leads to the following numerous points of conclusion. Firstly, a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text and the direction and register of the melodic line is evident in the first half of the composition. Secondly, the main melodic lines of this work consist of a lot of 4th and 5th use and imitation. Third, the use of the modal keys, whole tone scale, and the twelve note series, contributes to a dynamic harmonic language. Fourthly, the ostinato is used in all movements apart from Kyrie, and develops through numerous devices such as inversion, modification, and rhythmic division. Fifthly, there exist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of the text and the definite climax of the ff dynamics, and the latter part of the work concludes with contrasting expressive piano dynamics and cadences. The following suggestions may be considered for performance. Firstly, this work requires a lyrical and dramatic sound, resembling the trained “Westminster tone”. Such sound is effective in performance, and the appropriate vocal training is paramount. Secondly, Britten’s imitative echo-like sounds must be understood by the performers, along with the harmonic training sensitive of the triads such as major, minor, augmented, and diminished. Thirdly, the repetition of the text and syllabic pattern and style is significant in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is work, and requires a thorough training of diction in preparation for performance. This essay finds that Britten’s musical materials in each movement of Missa Brevis in D naturally appear in his other works. It may also be concluded that Britten displays his unique musical personality and composition techniques, whilst bringing together the conventional musical style with the musical materials of twentieth century. Moreover in performance, the piece must displa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lear structure, motifs, and shapes of all movements, carrying a performance of meaningful impression and ex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