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4 Download: 0

폴 틸리히의 신율에 대한 연구

Title
폴 틸리히의 신율에 대한 연구
Authors
장예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명수
Abstract
This dissertation aims at showing the concept of “theonomy”from the perspective of ethics conceived by Paul Tillich. Tillich defines theonomy as the unity of autonomy and its own depth. The depth means the religious realm in which the ultimate meaning and ground of being appears. Tillich thinks one cannot reach the truth itself through autonomy and believes autonomy became empty by losing its religious realm. Therefore, he claims autonomy needs to recover its religious realm to know the ultimate meaning of being, i.e. theonomy. Theonomy is united with the ultimate meaning of being without weakening autonomy.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theonomy, Tillich tries to show what is the religious realm in the moral imperative. He says moral imperative commands actualization of our essential being in existence, which no one can achieve because of our existential estrangement. It is because reunion of essential being and existential being is not the matter of doing but the matter of being. No one can overcome this gap with his/her finitude freedom and estranged state of being. It follows that the moral imperative becomes a law, which can never be fulfilled, and makes them despair. Tillich says this situation of despair demands grace. He claims the grace possesses two elements. First element of grace is the acceptance of the unacceptable. The acceptance of the unacceptable shows ultimate love beyond moralism. For this reason, only the accepted person can overcome despair and proceed for self-affirmation. The second element of grace appears as the entering into the new being. Tillich believes we can proceed to the accomplishment of the moral imperative by participating in the New Being. It is because only the New Being is the being which actualizes his/her essential being in existence. Christianity believes the New Being has appeared in Jesus Christ. This grace is bestowed from the realm of the ultimate love surpassing all of us and designates the religious realm in the accomplishment of the moral imperative. This proposal of theonomy rejects the empty autonomy as a consequence of losing the depth of itself and asks for the grace as the only way to fulfill the moral imperative. The theonomous ethics claimed by Tillich is autonomou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anding the actualization of one’s own essential being, it also possesses a religious realm from the aspect of commanding our being in unity with the ultimate meaning and ground of being. This concept can proceed to the ethics, which shows how to deal with the realms of autonomy and religion simultaneously.;본 논문은 신학자 폴 틸리히의 신율 개념을 중심으로 신율이 가지는 윤리적 함의를 살펴본다. 틸리히는 근대의 자율이 자기 안의 법을 말함으로써 타율을 거부하지만, 자신을 넘어서는 차원을 상실함으로써 공허해진다고 본다. 틸리히의 신율은 공허해진 자율에 종교적 깊이를 회복한 것으로, 자율을 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종교적 차원을 담지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신율의 개념을 바탕으로 도덕에 있는 종교적 차원을 분석함으로써, 도덕과 종교적 차원이 어떻게 연관 되는가 살피고자 한다. 틸리히는 도덕명령을 본질적 존재를 실존에 실현하라는 명령으로 정의한다. 도덕명령은 자신의 근원을 되찾을 것을 명령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율이지만, 자신의 본질적 존재를 찾아야 한다는 점에서 존재의 궁극적 목적을 지시하는 종교적 측면을 가진다. 도덕과 종교의 관계는 도덕명령의 실현에 관한 분석에서도 드러난다. 도덕명령은 소외를 극복하고 본질적 존재를 실존에 실현할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도덕의 성격은 도덕이 단순히 행위가 아닌 존재의 문제에 달려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즉 존재의 변화를 요청하는 것이다. 하지만 유한한 자유를 가진 인간은 자기를 선행하는 존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때문에 도덕명령은 인간이 성취할 수 없는 법으로 나타나 인간을 절망하게 한다. 틸리히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절망을 극복하게 하고 도덕명령을 성취하는 것으로서 은총을 말한다. 은총에 두 가지 요소가 있다. 첫째는 받아들여질 수 없는 자를 받아들이는 것이고, 둘째는 궁극적 힘의 받아들임에서 나타난 새로운 존재다. 은총은 도덕주의를 넘어서는 사랑, 소외를 극복하고 분리된 실존을 재결합하는 힘을 부여하는 사랑이 우리에게 나타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틸리히는 신율 개념을 바탕으로 윤리적 자율의 자족성을 비판하고, 자기를 초월하여 존재하는 궁극적 힘과 사랑을 도덕에 결합할 것을 요청한다. 신율은 인간의 가장 내면적인 법이면서 동시에 신적인 근원에 뿌리내리고 있는 법으로, 도덕에서 자율적 차원과 존재의 궁극적 의미를 담지하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