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김미경-
dc.creator김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0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1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020-
dc.description.abstract예로부터 우리나라는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어느 관계보다 핵심적인 관계로써 자식이 부모에게 효를 행하는 것을 근본적인 가치라고 여겨왔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눈에 보이는 물질적인 가치만을 중시하는 물질만능주의가 나타나 이로 인해 인간 본연의 가치를 상실하고 있다. 때문에 인간외의 다른 물질적인 가치만을 추구하여 인간의 근본적인 가치인 효를 상실하고 결국 부모와의 관계를 잃어버리게 된다. 부모는 단지 자식을 태어나게 해준 것 뿐 만 아니라 하나의 인격체를 성장시키는 인도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효를 행하여 형성된 긍정적인 부모자식의 관계는 자식의 주체성을 확립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신의 뿌리인 부모와의 관계를 잃어버리는 것은 결국 자신을 잃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뿌리인 부모와의 관계를 잃어버려 불안정한 자아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무엇보다 인간을 근본으로 생각했던 공자는 사람과 사람이 서로 공경하는 경험인 인(仁)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먼저 효(孝)를 실천해야 한다고 하였으며, 자신의 몸을 소중히 여기고 부모를 봉양하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효를 행함으로써 결국 자신의 주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강조하여 효의 중요성을 이야기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공자의 『효경』을 바탕으로 부모와 나의 천륜의 관계를 깨닫고 부모가 준 나의 몸과 존재를 소중히 하고 부모를 진정으로 섬기고 존경하는 마음으로 효를 행하여 자신의 인격을 수양하고 주체성을 확립하여 결국 안정적인 자아를 형성하는 것을 주제로 한 무용창작작품 「뒷 모습」을 안무하였다. 그리고 총 3개의 장면으로 구성된 본 작품을 주제 및 내용, 장면에 따른 무대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고자 무대공간을 『설문해자』(『設文解字)』에 따라 효(孝)의 글자의 형태에서 노인 노(老)를 받들고 있는 자식 자(子)의 글자의 형상을 무대에 적용하여 공간을 설정함으로써 부모를 받들어 효를 행하고자 하는 자식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또한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무대 정중앙을 효의 중심의 공간으로 설정하여 작품에서의 효의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조명 또한 특별한 색상이 없는 화이트 길 조명을 글자 자(子)의 형상을 따라 사용함으로써 효의 이미지를 더욱 뚜렷하게 보여주고자 하였고, 무대 정중앙인 효의 중심의 공간에는 길 조명이 아닌 탑 조명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함으로써 효의 중심 공간임을 강조하여 나타내었다. 1장에서는 천륜의 관계인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깨닫고 부모가 준 나의 몸과 존재를 소중히 하는 것으로 부모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장으로써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글자 자(子)의 일부를 나타내는 무대 뒤쪽의 하수와 상수를 연결하는 하나의 길 조명이 두 번에 걸쳐 단계적으로 켜지게 설정하였다. 이러한 설정을 통해 결국 부모와 나는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무용수의 이동경로 또한 무대 하수에서 상수로 연장되는 길 조명으로 제한하였고 수직적인 양 팔의 움직임으로 하늘이 내려준 천륜의 관계를, 그리고 양 팔로 내 몸을 감싸 안는 동작으로 부모가 준 나의 몸을 소중히 함으로써 부모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2장에서는 부모를 몸과 마음을 다해 진정으로 섬기는 마음을 나타내는 내용으로 전개된다. 그래서 효의 중심의 공간의 탑 조명에서 무대 중앙에 글자 자(子)의 또 다른 한 획을 상징하는 길 조명이 양쪽으로 뻗어나가게 설정하여 부모를 섬기는 마음이 양 쪽으로 확산되는 모습을 시각화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무대 중앙에서 양쪽으로 뻗어져나간 가로의 길 조명 안으로 무용수의 이동경로를 제한하고 손목을 꺾어 땅에서부터 하늘로 끌어올리다 흩뿌리는 확장된 움직임의 반복을 통해 부모를 섬기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3장에서는 다시 한 번 천륜의 관계인 부모와 나의 관계를 깨달아 부모를 존경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효를 행함으로써 안정적인 자아를 형성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그래서 2장에서 사용한 중앙의 길 조명과 더불어 무대 앞에서 뒤로 뻗어나가는 글자 자(子)의 마지막 획인 또 다른 길 조명을 겹쳐지게 하여 부모를 섬기는 마음에 존경하고 사랑하는 마음이 더해짐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무대 앞쪽에서 뒤로 뻗어나가는 길 조명으로 무용수의 이동경로를 제한하였고 양 손이 하늘로 솟구치는 듯 한 움직임을 통해 부모를 존경하는 모습을, 이어서 온 몸에 힘을 모두 빼고 누움으로써 안정적인 자아를 형성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따라서 무용창작작품 「뒷 모습」은 천륜의 관계인 부모와 나의 관계를 깨닫고 효를 행하여 결국 안정적인 자아를 형성하는 것을 표현하였다. 그래서 작품을 통해 부모와 나의 관계는 변하지 않음을 깨닫고 부모를 진정으로 사랑하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효를 행함으로써 자신의 주체성을 확립하여 안정적인 자아를 형성하여 궁극적으로는 현대사회에서 상실되고 있는 효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From old times, Koreans have put empha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considered it the heart of human relationships. For Koreans, the filial piety, children’s duty to parents is fundamentally important deed in lives. In the modern society, however, people have become obsessive with material values that take the dignity and value of human lightly. Due to this mammonism, people lose the filial piety, the foundation of all human virtues, which results in impairing relations with parents. Parents don’t only give birth to children but also play a key role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s personalities. Therefore, the positive relationships which the filial piety has formed have a great influence on how children establish their subjecthood. If children lost the relations with their roots, parents, it would cause loss of their identity. Confucius, humanistic philosopher of China, insisted that people should practice their filial duties to practice benevolence, the respect between people and the ultimate moral principle in Confucianism. According to him, people can build up their identity and true self by cherishing their body, supporting and respecting their parents. It shows and proves the importance of the filial piety. Hereupon, I choreographed the creative dance 『Appearance from Behind』based on Confucius’s 『Classic of Filial Piety』. The main theme of this artwork is to establish and stabilize one’s subjecthood and cultivate the mind by realizing the importance of the heaven-sent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racticing the filial piety. I analyzed it based on theme and contents, stage composition for each chapter, and the dancer’s pathways and movements. Above all, the stage composition of this artwork is made up of in the shape of the Chinese character ‘子’. The Chinese character ‘孝’ representing the filial piety consists of ‘老’; the old and ‘子’; the child supporting them. Therefore the shape of ‘子’ can show the child doing his or her duty to parents. The middle of the stage signifies the center of the filial piety to emphasize the main theme of the artwork. The white street illumination is used to stress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 ‘子’ to symbolize the image of the filial piety. At center stage, the spotlight is used to distinguish the center of the filial piety from the other parts of the stage. The first chapter shows treasuring one’s body and self to express the gratitude for parents after realizing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To do this, the first stroke of ‘子’, located in the up stage is illuminated. The stage lighting is lit from stage right to stage left in two-step process. It suggests that parents and the child are connected as one. The dancer’s movement is restricted in the stroke connecting the stage left and right. To show the heaven-sent relations of the parents and child, the dancer folds the wrists and moves the both arms vertically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n, she has her arms around herself which expresses the gratitude for parents by cherishing self. The second signifies serving one’s parents with all one’s heart and soul. For this, the center of the stage is lit by the spotlight at first. Then the light is spread to each side of the stage making the straight line, the second parallel stroke of ‘子’. This spread of light visualizes the growing love and devotion of the child for parents. The dancer only moves in the second parallel stroke of ‘子’ illuminated from the center of the stage to each side. The dancer folds and raises her wrist and arms from the earth to heaven and scatters several times. This repetitive movement represents the child’s heart to support parents. The third chapter represents one finally forms his or her stable self identity by performing the filial piety with a reverent attitude towards parents. In this chapter, the vertical line is illuminated overlapping the straight line lit in the second chapter. The light setting expresses the respect and love for parents in addition to the sincerity of supporting them. The movement of the dancer is restricted in the stage lighting lit from the downstage to upstage. The dancer supports sky with both hands to show respect toward parents and lies down the stage with his or her body relaxed to express the establishment of stable ego. Therefore, this creative dance artwork 『Appearance from Behind』 is choreographed to express one’s forming his or her identity by realizing the significance of the heaven-sent relations with parents and practicing the filial piety to them. Through this artwork, I, the researcher, wants the audience to realize that the connection with parents is the precious tie which never fades and doing the filial piety with respect and gratitude for parents can help us stabilize our true self. Ultimately, I hope this artwork to shed new light on the importance of the filial duty in the modern society which loses the value of 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6 A. 효 사상의 이해 6 B. 공자의 인본주의적 효 사상 10 C. 『효경』의 내용과 특징 12 l. 『효경』의 내용 12 2. 효경의 특징 16 가. 수신(守身)의 효 16 나. 봉양(奉養)의 효 18 다. 공경(恭敬)의 효 20 Ⅲ. 안무의도 23 A. 내용적 측면 23 B. 형식적 측면 25 Ⅳ. 무용창작작품「뒷 모습」에 관한 분석 27 A. 주제 및 내용 27 B. 장면에 따른 무대 구성 30 C.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35 Ⅴ. 결론 64 참고문헌 67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284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공자의 『효경』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뒷 모습」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Appearance from Behind』Based on Confucius’s『Classic of Filial Piety』-
dc.creator.othernameKim, Mi Kyung-
dc.format.pagex,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