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준임-
dc.contributor.author최은애-
dc.creator최은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3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51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0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5163-
dc.description.abstractThe family Dendrophylliidae contains 20 genera, and approximately 150 species. Among them, six species and three subspecies of four genera have been reported in Korea since 1982. Even though the family Dendrophylliidae is the largest group of the Korean scleractinian corals,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species of the family.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species in the family Dendrophylliidae (Anthozoa: Hexacorallia: Scleractinia) from Korea.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new records of the Dendrophylliidae from Korea since 2004. The materials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inter-tidal and sub-tidal zones of Korean waters between 1969 and 2012. In the present study, six genera, 12 species and two subspecies of the family are identifi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skeletal structures. As a result, two genera - Balanophyllia, and Cladopsammia, and seven species - Balanophyllia (Balanophyllia) cumingii, Balanophyllia (Balanophyllia) vanderhorsti, Cladopsammia eguchii, Cladopsammia gracilis, Dendrophyllia minima, Dendrophyllia minuscula, and Tubastraea faulkneri are newly added to the scleractinian fauna of Korea.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newly recorded species from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B. (B.) cumingii is distinguished by its small and low solitary growth form, trumpet corallites with enlarged calice, and expanded basal part, exserted first and second septa, and Pourtalès plan. B. (B.) vanderhorsti is characterized by its quasi-colonial growth form, medium-large turbinate corallites with compressed calice, thick theca, and Pourtalès plan. C. eguchii is characterized by its bushy dendroid growth form basally united with common coenosteum, compressed corallites, flattened spongy columella, thick theca, and Pourtalès plan. C. gracilis is distinguished by its bushy dendroid growth form basally united with common coenosteum, and pronounced Pourtalès plan forming flower or star patterns. D. minima is distinguished by its bushy dendroid growth form with the smallest corallites of the genus, and Pourtalès plan. D. minuscula is characterized by its dendroid growth form with small and slender corallites, and incomplete Pourtalès plan. T. faulkneri is distinguished by its spherical plocoid growth form budding from thickly developed common coenosteum, and widely spaced corallite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growth forms and septal arrangements are valid in the identification to the species of the Dendrophylliidae, bu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young species of the family based on growth forms and septal arrangements, particularly in the genus Tubastraea due to the irregular and asymmetrical septal arrangements. Therefore, more morphological characters need to be added to better understand the species of the Dendrophylliidae for the future study. Furthermore, the geological distribution of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of the Dendrophylliidae is found in the Jeju-do Area of the Korean waters. One subspecies is distributed in the Yellow Sea, two species in the South Sea, one subspecies in the East Sea, and 11 species and one subspecies in the Jeju-do Area. It is assumed that the diversity of the dendrophylliid species is influenced by the Kuroshio Current. The assumption is supported by nine species and two subspecies of the Dendrophylliidae that are common to both Korea and Japan.;전 세계적으로 나무돌산호과에는 20속의 150여 종이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1982년 이래로 4속에 속하는 6종 및 3아종의 나무돌산호과 돌산호류가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해역에 서식하고 있는 돌산호목 나무돌산호과의 산호류를 동정, 분류하는데 있다. 1969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 해역의 조간대 및 조하대에서 채집한 표본들을 연구재료로 활용하였다. 표본의 동정 및 분류를 위하여 돌산호 골격의 구조적 특징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2속 즉, Balanophyllia 속 및 Cladopsammia 속과 한국 미기록 7종 즉, Balanophyllia (Balanophyllia) cumingii, Balanophyllia (Balanophyllia) vanderhorsti, Cladopsammia eguchii, Cladopsammia gracilis, Dendrophyllia minima, Dendrophyllia minuscula, Tubastraea faulkneri를 새롭게 보고하였다. 한국 미기록 7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B. (B.) cumingii는 낮은 고착성의 단체형이다. 협은 나팔모양이며, 협구와 기반이 확장되고, 1, 2차 격벽이 협벽 상부로 융기하며, 포탈레스 플랜 배열을 따르는 것이 특징이다. B. (B.) vanderhorsti는 본래 고착형의 단체형이나, 역원추형의 협이 기부의 공골로 연결되어 의군체를 이루기도 한다. 협구가 편평하고 협벽이 두꺼우며, 포탈레스 플랜 배열을 따르는 것이 특징이다. C. eguchii는 기부의 공골에서 아생하여, 관목형 군체를 이루고, 협은 편평한 원통형이다. 축주는 편평한 해면상의 타원형이며, 협벽이 두껍고, 포탈레스 플랜 배열을 따르는 것이 특징이다. C. gracilis는 기부의 공골에서 아생하여 관목형 군체를 이룬다. 포탈레스 플랜 배열의 격벽이 완전하게 융합하여, 꽃모양 혹은 별모양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D. minima는 작고 긴 원통모양의 협이 기부의 공골로 연결되어 관목형 군체를 이루며, 속내에서 협의 크기가 가장 작고, 포탈레스 플랜 배열을 따른다. D. minuscula는 작고 긴 원통모양의 협이 기부의 공골로 연결되어 관목형 군체를 이루며, 포탈레스 플랜 배열이 비대칭하고 불완전한 것이 특징이다. T. faulkneri는 낮은 원통형 또는 매몰되어 있는 협들이 공골 위에 넓게 분포하여 구형의 군체를 이룬다. 협구 아생이 매우 드물어, 공골 위의 협간 거리가 넓은 것이 특징이다. 요컨대, 군체의 성장모형과 격벽배열은 나무돌산호류를 동정, 분류하는데 유효하였다. 그러나, 군체모형과 격벽배열로서 돌산호과의 어린 개체 또는 어린 군체를 동정하는 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특히, 군체의 성장모형과 격벽배열이 불규칙하며 변이가 큰 나팔돌산호속 (Genus Tubastraea)의 돌산호류를 동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이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보다 다양한 형질에 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연구대상 나무돌산호류 전종이 태평양 해역에 분포하며, 황해에서 1아종, 남해에서 2종, 동해에서 1아종, 제주도해역에서 11종 및 1아종이 분포하였다. 특히, 제주도 해역에서 나무돌산호류의 종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이는 본 연구의 나무돌산호류 9종 및 2아종이 한국해역과 일본해역에서 공통으로 분포한다는 사실에 의거하여 태평양해역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Introduction 1 Ⅱ. Materials and Methods 3 Ⅲ. Results 9 A. List of Species 9 B. Systematic Accounts 11 1. Balanophyllia (Balanophyllia) cumingii Milne Edwards and Haime, 1848 12 2. Balanophyllia (Balanophyllia) vanderhorsti Cairns, 2001 15 3. Rhizopsammia minuta mutsuensis Yabe and Eguchi, 1932 17 4. Cladopsammia eguchii (Wells, 1982) 20 5. Cladopsammia gracilis (Milne Edwards and Haime, 1848) 23 6. Dendrophyllia arbuscular van der Horst, 1922 26 7. Dendrophyllia boschmai cyathohelioides Yabe and Eguchi, 1965 29 8. Dendrophyllia cribrosa Milne Edwards and Haime, 1851 32 9. Dendrophyllia minima Ogawa and Takahashi, 2000 34 10. Dendrophyllia minuscula Bourne, 1905 36 11. Tubastraea aurea (Quoy and Gaimard, 1833) 39 12. Tubastraea coccinea Lessons, 1829 43 13. Tubastraea faulkneri Wells, 1982 48 14. Dichopsammia granulosa Song, 1994 52 IV. Discussion 54 References 59 Abstract (Korean) 64 Acknowledgements (Korean)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94390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A Taxonomic Study of Family Dendrophylliidae (Anthozoa: Hexacorallia: Scleractinia) from Korea-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에코과학부-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에코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