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5 Download: 0

알레고리적 차용으로서의 심리적 공간 표현 연구

Title
알레고리적 차용으로서의 심리적 공간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Expression of Psychological Space as an Allegorical Appropriation : Focus on My Artwork
Authors
임선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장화진

임산
Abstract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interplay between theories and practices in the multilayered contexts of the author's artistic views. Its primary purpose includes investigating new meanings emerging from the examination of a connection between theories and various art making processes. In order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unfolding the new meanings, first, the history of allegory and its use in visual art forms are presented – the author had employed allegory as a primary literary device in her artwork. The author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how adoptions are made within the allegorical ranges proposed by Craig Owens and focused on analyzing multiple cases of artwork in which (1) memories and regret shape a narrative and (2) images are used for a reconstruction of reality in the narrative. Next, it is noted that television provides spaces that are both private and public. Thus, the author's work is legitimately grounded in the use of TV and, furthermore, in the use of allegorical adoptions common in television melodramas with regard to the scenes, characters, background, and sound. It is also argued that television serves as a tool of modern human culture to influence daily life, and that the everydayness of television accounts for the ways in which the TV remains instrumental in connecting people and life. It hence follows that TV dramas reconstruct their own versions of reality to which people can relate and invest their emotions. Such empathetic interactions with the television dramas actually provided the author with opportunities to consider TV dramas as a rich source of artistic engagement and expression. Indeed, people’s artistic responses while watching TV dramas profoundly shaped the way of relating to the world and seeking validation from others. In light of the TV-based interactions, this dissertation also attempts to reconstruct the narratives of TV dramas and reflect a human psychology of the inner caldrons. People adopt from TV dramas and construct a different reality, which may not be the same as the narratives in the dramas. The drama viewers then draw upon their own memory and experience to form a new interpretation. In this process, some emotional clichés underlying TV dramas might become a catalyst for the cognitive process of watching TV dramas. Moreover, the dissertation considers TV dramas through the lens of subjective temporality. The use of video art enabled an exploration of subjective temporality in a concrete way: More specifically, the paper discussed the expansion of time attempted in video art and extended the discussion further to include two experimental visual art forms selected in the author's work, such as slow-motion video and panorama. The work of author's video art generally involves creating new and various subjective experiences of time, unlike clock time, by altering the normal structure and convention of time. Owing to technology in video production, the cyclical and continuous nature of time was able to be expressed sensually. This artistic innovation allowed the author to remain aware of a human life as integral part of the entire cycle of cause and effect. In this way, the author contrives a new understanding of structural time in video art as metaphors relating to human life. Building from the aforementioned investigations and discussions, the author analyzed the unique ways in which both reality and subjective temporality of TV dramas contribute to the role of TV dramas in connecting with people and society. In more details, the author documented specific images of TV dramas that echo the private yet common experiences of people in the society and elicited deeper meanings from the images allegorically adopted. Emerging from this process was the reconstruction of reality through painting or video art in different moments of time, space, and mind in the midst of growing new narratives of melodramas connected with the needs of people and culture. After all, the author's visual art forms revisited the images of TV dramas reflecting common life experiences. By doing so, it is desired that one reaches out to the world and recognizes the value of self and life. In turn, this activity can also raise the question of life and purpose. More fundamentally, it is believed that the artistic exploration of this dissertation about methods and forms in video art that seek awareness of meaning, identity, and purpose in life lends credence to the view that reflection and growth is essential part of human nature.;본 논문은 본인의 작업세계를 이루고 있는 이론과 작업과정의 다양한 방법을 객관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통해 드러나게 될 새로운 의미를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본인의 작품에 사용된 주요한 문학적 도구인 알레고리 개념의 역사와 그것의 시각 예술적 활용의 사례들을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크렉 오웬스가 주장하는 알레고리 범주에서의 차용의 방식에 주목하고, 기억과 반성의 공간을 구축하기 위한 내러티브의 생산과 그것의 현실적 재구성에 동원된 이미지의 의미작용을 중심으로 여러 예술적 작례들을 분석한다. 본인의 작업은 사적이면서 공적이기도 한 텔레비전, 그 중에 TV 멜로드라마의 장면, 캐릭터, 배경, 사운드 등을 알레고리적으로 차용하면서 시작된다. 텔레비전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현대의 강력한 문화적 무기 중 하나이다. 텔레비전의 일상성은 대중들 사이의 정서적 교감 과정에서 주요한 기능을 차지한다. 따라서 현실을 재매개하는 TV 드라마의 비매개적 작용과 TV 드라마에 자신을 동일시하는 대중의 감정이입의 심리 현상은 본인이 TV 드라마를 예술적 표현의 소재로 삼는 배경이 될 수 있다. TV 드라마에 대한 본인의 미적 반응은 세상과 소통하며 스스로의 존재를 확인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이를 위해 TV 드라마의 내러티브를 재구성하여 심리적 내면의 공간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차용된 것들은 본래의 내러티브와 다른 재구성된 현실을 이룬다. 그에 따라 감상자는 이미 공유하고 있던 기억과 경험을 동원하여 새로운 해석의 태도를 갖게 된다. TV 드라마에서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정서적 클리쉐는 그러한 적극적 감상 과정에서 주요한 지각적 동력으로 작동한다. 이어서 본인 작품의 심리적 모티프가 되는 TV 드라마와 주관적 시간성에 대해 살펴본다. 본인은 비디오아트 형식을 동원함으로써 TV 드라마에서 제기하는 주관적 시간성 관념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디오아트 작품에서 시도되었던 시간의 확장을 논의하고, 본인이 작품에서 시도한 슬로우 모션 비디오와 파노라마 등의 형식적 실험과 연관 짓는다. 본인의 영상 작품은 일반적인 시간의 구조를 변화시켜, 일상적으로 흐르는 시계적인 시간의 질서로는 파악할 수 없는 경험들과 다양한 심리적 시간을 창조한다. 이는 비디오의 기술적 차원과 연계하여 시간의 순환과 지속을 감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인의 이러한 예술적 실천은 인간과 삶의 순환성에 대한 사유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본인은 비디오 아트의 형식적 시간성을 인간 삶에 대한 내용적 은유로서 작용시킨다.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본인은 다른 사회 개체들과의 소통을 가능하게 만드는 심리적 기제로서의 TV 드라마의 리얼리티와 주관적 시간성의 특성을 구현하는 작품의 세계를 분석한다. 본인은 스스로의 존재가치를 찾고, 사회의 다른 개체와 소통하기 위해 공통의 기억과 경험을 내포한 TV 드라마 이미지를 수집하고, 그것을 알레고리라는 수사법으로 차용한 작품 안에 또 다른 의미를 구현한다. 동시대 대중의 감성의 흐름을 반영하는 멜로드라마는 그만큼 많은 사람들의 심리적 정서를 자극하며 새로운 관계의 내러티브를 만들어내고 있다. 본인은 그것을 회화 혹은 영상 작품으로 재현하고, 그 순간에 생기는 또 다른 차원의 심리적 공간에서 재구성된 현실의 모습을 발견한다. 스스로의 존재가치를 찾고, 사회의 다른 개체와 소통하기 위해 본인의 회화와 비디오아트 형식은 공동의 기억과 경험을 내포한 TV 드라마 이미지를 다시 평가한다. 그럼으로써 삶의 의미와 정체성에 대한 인식의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이러한 미적 행위를 통해 본인은 궁극적으로 인간과 삶의 본성을 반성과 성찰로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