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0 Download: 0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적 재사회화 연구

Title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적 재사회화 연구
Authors
현인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석향
Abstract
현재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적 태도와 정치참여의 일반적 상황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한 자료는 많지 않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적 재사회화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들의 정치참여 형태를 분석하며 정치적 재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찾아보려고 했다. 외국에서 이민자의 정치적 재사회화에 관한 연구 조사에 의하면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적 재사회화 과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은 북한에서 경험한 정치사회화 과정일 것으로 추측했다. 그러므로 한국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에 기초하여 북한 내 정치사회화 경험과 한국에서 정치적 재사회화과정을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에서 의무감에 기초한 선거참가, 조직생활을 통한 동원성 정치참여 경험이 있다. 또한 정치적 효능감이 매우 약하고 국가에 순종의 태도를 지닌다. 북한주민의 정치적 가치관은 수령에 대한 절대적 복종과 숭배에 기초한 권위주의, 집단주의 비타협성으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북한의 정치사회화는 강도 높이 지속해서 진행되어 북한에서 체득한 정치적 가치관과 정치태도, 정치참가 방식이 매우 강하게 고착되어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적 재사회화 정도를 측정하고 정치참여 유형을 해명했다. 분석 결과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정치참여 유형은 순종(효능도 2.24, 신뢰도 2.84)이었다. 학력별로 분석한데 의하면 고등학교 이하(효능도 1.9, 신뢰도 2.75), 전문대 이상(효능도 2.49, 신뢰도 2.9) 모두 순종으로 나타났지만, 전문대 이상 학력을 지닌 집단에서는 충성 쪽으로 더 접근했다. 그러므로 북한이탈주민의 일반적 정치참여 유형은 순종일 것으로 예측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적 재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의 결과 선거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별, 연령, 북한학력이며 정치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남한학력, 남한거주연한, 북한학력, 남한학력, 남한에서 경제 형편이다. 정치적 관심에는 북한학력과 연령이, 효능감에는 남한학력과 북한학력이, 신뢰감에는 탈북연령과 남한경제수준이 영향을 주었다. 탈북연령이 높을수록 권위주의적 성향이 강했고 남한학력이 높을수록 민주주의규범에 대한 동의가 높아졌다. 3국 체류기간은 정치적 재사회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적 재사회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인 남한체류기간, 학력, 연령을 비교한데 의하면 북한학력, 연령이 남한체류기간과 남한학력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거참가, 정치적 관심, 정치적 신뢰는 북한 내 경험이, 일반 정치참여, 정치적 효능감은 남한 경험의 영향이 강했다. 북한 내 경험은 권위주의적 가치관을 남한 내 경험은 민주주의 가치관을 강화했지만 북한이탈주민은 일반적으로 권위주의가치관이 더 강했다. 특히 학력이 민주주의 정치태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는 상식과 달리 북한에서의 학력은 권위주의적 성향을 더욱 강화했다. 남한에서 체류기간은 정치참여를 확대하고 민주주의정치태도 형성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지만 권위주의태도를 바꾸는데 미치는 영향이 생각보다 크지 않았다. 양적 분석에 의하면 북한이탈주민은 한국주민보다 정치적 신뢰도가 높고 선거참가율이 높으며 보수정당에 대한 지지율이 높았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통하여 북한에서 정치사회화 경험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 어떤 방식으로 이러한 정치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는가를 해명했다. 심층인터뷰 결과에 의하면 정치태도와 정치참여에서 이러한 특징은 북한에서 체득한 정치적 가치관과 정치태도에 기초하여 한국의 정치를 해석하고 반응하는데 원인이 있었다. 국가체제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뢰는 국가주의, 탈물질주의 가치관, 국가에 대한 북한식 해석에 원인이 있었다. 또한 선거에 적극적으로 참가하는 것은 국가에 대한 충성, 북한에서부터 체득한 습관, 북한과 달리 자신의 표가 정치적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효능감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수당을 지지하는 이유는 남북한을 비교를 통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우월성에 대한 확신, 북한지도부에 대한 반감, 집단주의, 강한 힘을 숭배하는 태도 등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북한에서 늘 받아왔던 남북비교교양, 권위주의적 사고방식인 흑백논리 등이 남한에서 반대로 북한에 대한 반감을 강화하고 북한식 논리를 강화하여 보수정당에 대한 지지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적 과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육이다. 그러므로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적 재사회화를 위하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연구를 통해 북한당국에 의한 정치사회화 영향은 상당기간 지속하며, 나이가 들어 탈북한 주민은 목표만 바뀔 뿐 세상을 보는 시각이나 정치적 행동방식이 크게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므로 북한지도부가 스스로 변화를 추구하기 매우 어렵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대북정책을 수립하며 남북관계를 풀어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북한주민의 정치의식이 미흡한 상황에서 남한의 민주주의 체제를 그대로 도입하면 오히려 사회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주민의식이 잘 바뀌지 않는 상황에서 북한주민의 국가관, 집단주의 등을 잘 유도하여 사회경제발전을 추동하는 힘으로 전환시키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적 재사회화 과정에 관한 개괄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정치적 재사회화 과정에 관한 세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Empirical analyses on the political attitud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re few in number.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ality of the political re-socializ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and to examine the behavior of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this, the aim is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process of political re-social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takes as its basis the findings of existing studies on immigrants’ political re-socialization process, the factor contributing most to this being pre-immigration political socialization. Based on collec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of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South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ir political socialization experience in North Korea, as well as the process of their political re-socialization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North Korean defectors’ participation in elections is out of a sense of obligation, where mobilized political participation is an outcome of institutionalized life in North Korea. Also, while political efficacy is very low, they maintain an attitude of obedience toward the nation. The characteristic of North Koreans’ political values are authoritarian, which is based on absolute submission and worship of the leader, collectivism and uncompromising attitude. As political socialization in North Korea is continuously emphasized, it becomes internalized as a form of political value, political attitud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study measures the degree of North Korea defectors’ political re-socialization and explains their typ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Results reveal that the most prevalent type of political participation is of the “obedient” type (efficacy 2.24, reliability 2.84). Based on the level of education, results can be separated between those having attended high school or less (efficacy 1.9, reliability 2.75) and vocational or higher (efficacy 2.49, reliability 2.9); both categories fit into the “obedient” type but those with vocational or higher level are closer to the “loyal” type.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the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 the election are gender, age, and education in North Korea. The factors that affect political participation are education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 the length of stay in South Korea, and their economic status in South Korea. The factors that affect political interest are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age, while the factor that affects efficacy is education in both North and South. Finally, the factors that affect political trust are the age at which the defector left North Korea as well as the economic status in South Korea. The higher the age of leaving North Korea, the stronger their authoritarian tendencies ar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higher the level of agreement with democratic values. The length of staying in a third country did not produc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cess of political re-socialization. Thre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process of political re-social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 being the length of stay in South Korea, education level (both North and South) and age – were compared to find out which were most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education in North Korea, as well as age had a stronger impact than the length of stay in South Korea and the level of education in South Korea respectively. Electoral participation, political interest, and political trust were strongly influenced by political experience in North Korea. General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olitical efficacy were strongly influenced by political experience in South Korea. Experiences in North Korea reinforce authoritarian values while experiences in South Korea emphasize democratic values. Overall though, North Korean defectors show authoritarian values more strongly. In particular, the general assumption is that education level contributes to democratic political attitudes, but in the case of education level in North Korea, this reinforces authoritarian tendencies. Length of stay in South Korea has a consistent effect in the widening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shaping of democratic political attitudes, but i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anging authoritarian tendencies. Quantitative analysis shows that North Korean defectors have more political trust and higher electoral participation rates and adherence to the conservative party than other South Korean citizen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how and in what ways political socialization in North Korea affects the shaping of political attitude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field of political attitud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y interpret and respond to South Korean politics based on the political values and political attitudes acquired in North Korea. Unconditional trust in the national system is caused by the North Korean interpretation of nationalism, de-materialized value, and nationhood. Also, the reason why they are more proactive in participating in elections is due to loyalty to the nation, as well as habits from North Korea. Political efficacy is because they feel more empowered by voting in South Korea than in North Korea. The reason why they tend to vote more in favor of the conservative party is because when comparing between North and South, they find attraction from the emphasized values of democracy and a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coupled with the concepts of collectivism and strong worship of the leadership acquired in North Korea. The constant educational comparison between North and South, as well as the authoritarian black and white way of thinking within North Korea on the contrary reinforces antipathy toward North Korea. These results may explain why they show stronger support for the conservative party. This study shows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the process of political participation is education. Thus,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political re-education to North Korean defectors for the sake of their political re-socializa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impact of political socialization persis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North Korea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ose who leave North Korea at an older age. While leaving may change their course of life, it does not dramatically change their points of view and political behavior. Therefore, when writing a North Korea policy for improved inter-Korean relations, one must assume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North Korean authorities to change their mindsets by themselves. It is important to observe that implementing South Korea’s democratic system can lead to social disorder since North Korean’s political consciousness is weak. In the situation where a citizen’s perception cannot change easily, it is important to find ways to convert their perception of nation and collectivism into a power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This study of the process of political re-social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can be viewed as a general study, and the process of political re-socialization will demand further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