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6 Download: 0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관한 연구

Title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관한 연구
Authors
최효미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윤정열
Abstract
본 논문은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관한 연구로, 특히 보육부담 및 공간적 제약과의 연관성 속에서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를 촉진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코자하는 시도이다. 본 논문은 크게 세 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에피소드는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행태의 동태적 변화에 초점을 맞춘 연구로, 특히 상대적으로 열악한 2차노동시장에 직면한 기혼 여성의 상태의존성에 대해 살펴본다. 상태의존성의 검증을 위해 적용한 동태적 패널 다항 로짓 모형은 아직까지 국내에서 시도된 바 없는 모형으로, 미관측 이질성 및 내생성을 완화하여 보다 일관된 추정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두번째 에피소드에서는 기혼 여성의 지역노동시장에 관한 기혼 여성의 지역노동시장권을 획정하고, 이러한 지역적 특성이 기혼 여성의 취업 결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본다. 최근 일자리 공시제 및 지역일자리 사업의 시행으로 인해 지역노동시장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의 지역노동시장권 연구는 초기 단계로 여전히 많이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여성 지역노동시장에 관한 연구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나아가 남성 혹은 미혼자에 비해 공간적 제약이 강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혼 여성의 지역노동시장권에 대한 고찰을 통해,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를 유인하기 위한 지역 고용정책에 대해 숙고해본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에피소드는 앞서 행해진 두 연구와의 연장선상에서, 특히 지역의 보육시설 접근성이 기혼 여성의 취업 및 근로시간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가 공간적 특성과 깊게 연관되어 있고, 지역의 보육 여건이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지역의 보육여건 및 보육시설까지의 접근성을 대리하는 변수로 지역별 보육시설 설치율을 활용한다. 대리변수로 사용된 지역별 보육시설 설치율이 가진 몇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장의 연구는 보육비 지원 확대, 일가정양립 정책 강화 등과 함께 정부의 보육정책 확장에 따라 크게 증가하고 있는 보육시설 확충 정책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검증하는 한편, 지역내 보육여건과 보육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독창적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참여 행태의 동태적 변화를 분석한 Ⅲ장의 주요 분석 결과는 미취업 상태에서 노동시장에 재진입한 기혼 여성들은 비임금근로 보다는 임금근로로 진입할 확률이 높으며, 특히 비정규직으로 진입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에 재진입한 기혼 여성은 이후 대체로 취업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상대적으로 비정규직 근로자의 재퇴장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의 미관측 이질성을 감안한 동태적 패널 다항 로짓 모형의 분석 결과, 현재의 고용형태는 전기와 동일한 고용형태일 때 강한 상태의존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통해 비정규직 혹은 비임금근로의 함정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단 비정규직으로 진입한 경우라 하더라도, 비정규직 근로에서 미취업으로 이행할 확률에 비해서는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이행할 확률이 높았다. 그리고, 전기에 정규직 근로를 하던 기혼 여성의 경우 다른 고용형태에 비해 정규직 유지 확률 및 취업 계속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정규직 근로 확률은 비정규직 혹은 비임금근로에 비해 보육변수들의 영향을 보다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음으로, Ⅳ장의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기혼 여성의 지역노동시장권은 전국이 잘게 쪼개지는 양상을 보이며, 기혼 남성 혹은 미혼자에 비해 현저히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일자리 사업 수립시 여성의 경우에는 보다 좁은 지역노동시장권을 고려하여 입안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또, 지역노동시장권의 특징이 기혼 여성의 취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역 요인 중에서 공공서비스업 종사자 비중, 개인서비스업 종사자 비중, 비남성지배직종 종사자 비중, 지역별 전체 어린이집 설치율 및 국공립어린이집 설치율 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통해 본고는 여성 고용정책이 지역의 특성을 감안할 뿐 아니라, 지역의 보육지원 정책이 함께 이뤄져야 함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보육시설 설치율의 효과에 보다 초점을 둔 연구인 Ⅴ장에서는 보육시설의 설립 유형에 따라 기혼 여성의 취업 유인 효과 및 근로시간이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구체적으로는 기혼 여성의 취업결정 모형의 경우 거주 지역의 국공립 어린이집 설치율과 유치원 설치율의 경우 유의미한 양의 효과가 관측되었으나, 전체 어린이집 설치율의 경우에는 유의한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또, 국공립 어린이집 설치율은 만2세 이하의 영아기 자녀를 둔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기혼 여성의 근로시간 결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국공립 어린이집 설치율과 유치원 설치율은 유의한 양의 영향이 관측된 반면, 전체 어린이집 설치율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유인하기 위해서는 보육서비스의 양적인 확대만으로는 불충분하며, 보육의 질을 고려한 보육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즉, 국공립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확충을 통한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을 보다 확대하고, 국공립 어린이집으로의 접근성을 제고하는 등 보육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This study looks into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 identify how participation is linked to the burden of child-care and spatial constraints, and consider various possible measures to stimulate and expand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major episodes. The first covers the dynamic changes in the participation behavior of married women. Specifically, I look into the importance of state dependence in married women facing entry into secondary labor markets characterized by relatively poorer conditions. The empirical tool applied to study the state dependence - a dynamic panel multinomial logit model - is the first of its kind employed in Korean studies. The model takes account of the unobserved heterogeneity and endogeneity issues, allowing more consistent inference using panel data. The second episode delineates local labor market areas (LLMAs) relevant to married women and identifies the importance these areas have in determining the participation decision of married women. With the introduction of job figure disclosures and local job programmes, there has been renewed interest in local labor market policies. Despite this, there has been a dearth of studies in Korea focusing on LLMAs and those focusing on LLMAs pertinent to females has been even rarer. Empirical results from this exercise are examined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local labor market policies targeting married women, who are arguably more subject to spatial constraints than men or single people. The third and final episode draws on results from the two previous episodes while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the accessibility of local child-care facilities in determining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work hours of married women. This study conducts inference on the hypothesis that the participation decision of married women is deeply interconnected with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at local child-care accessibility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married womens' economic activity. In order to do this, I use the number of child-care facilities per region as a proxy for accessibility. Despite some issues which limit the usefulness of this variable as a proxy, I finds indirect evidence in support of the importance of expanding child-care facilities, along with other government policies including child-care subsidies and strengthening of work-life balance.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represents an original analysis of local child-rearing environments and the delivery of child-care servic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Chapter III (which deals with the dynamic changes i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decision of married women) suggest that nonworking married women who re-enter the labor market are more likely to join wage-earning jobs than self-employment jobs, and that those taking the former route are most likely to join irregular jobs. While married women re-entering the labor market tend to remain employed, I find that those working in irregular jobs are more likely to return to a nonworking state. Estimates from the dynamic panel multinomial logit model which accounts for 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 suggest that strong state dependence exists in cases where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is the same as the previous status. This lends support to the existence of a 'trap effect' in irregular or self-employment jobs. However, even in cases where one re-enters into an irregular job, the odds of transitioning to a regular job were higher than becoming jobless. I also find that women in regular jobs tend to have higher odds of remaining in regular jobs and continued employment, compared to those in other employment statuses. Results suggest that the probability of joining a regular job is affected by child-care related variables more strongly than in the case of joining other employment statuses. Key results from Chapter IV are as follows. First, LLMAs for married women are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and are smaller and more fragmented compared to those for men or single people. This result implies that in the case of designing local job programmes, consideration must be given to the smaller effective LLMAs that apply to women. Analyzing how LLMA characteristics have affected th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 find that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oportion of people employed in the public sector, personal services, and non-male dominated occupations, as well as the accessibility of both overall and public child-care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This implies that employment policies targeting women should not only take into consideration local characteristics, but also implemented alongside expanding provision of local child-care support measures. Lastly, Chapter V focuses on the effects of local child-care facility accessibility on participation. Results from this chapter suggest that the type of child-care facility provided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participation decisions and work hours of married women. Specifically, local accessibility of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kindergarten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married womens' decision to enter the labor market, while accessibility of overall child-care facil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Accessibility of public child-care facilities was also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participation in married women with children younger than 2 years. Local accessibility of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kindergartens were also found to positively affects the decision to work more hours. Again, accessibility of overall child-care facil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mply increasing the total quantity of child-care facilities and services is insufficient for promoting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mplying that quality is a central aspect of child-care services. Therefore, policy efforts should focus on providing higher-quality child-care services such as public facilities and kindergartens, while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delivery of child-care services through improving accessi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