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3 Download: 0

서정적 image의 연구

Title
서정적 image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Lyric Image : With Special Reference to Organizational Expression
Authors
신연숙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회화학과
Keywords
서정적 imageimage구성적 표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李俊
Abstract
예술은 인간에 의해 창조되는 소우주가 되며 인간은 예술을 통하여 내면을 표현하며 창조의지를 반영한다. 현대사회는 기계화되고 과학됨에 따라 다양화되고 따라서 회화적 관점도 그 촛점이 바뀌게 되었다. 19세기에 와서 작가는 자신의 본질적 성격을 의식하게 되었으며 개인주의의 범람으로 자유롭고 다양한 양식들이 전개되었다. 그러나 본인은 「아름다움」이란 것은 윤리학이라든가 자연과학에서처럼 절대적인 법칙이나 표준이 없이 우리에게 기쁨과 즐거움을 주는 것으로 이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그림은 작가 스스로에 의하여 감상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소재를 통해 감각된 것을 구성주의적 방법을 바탕으로 표현하고 기계화된 현대문명, 감정보다는 이성으로 지배되는 현대사회에서 그림 역시 같은 추세로, 이에 잊기쉬운 감정을 표현하고, 색채구성으로 감정의 안정을 찾고자 했으며 관조자의 감정도 이와 일치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기반으로는 색채와 형태를 그대로 묘사한 것이 아닌 주관적으로 구성하고 표현한 인상주의에 바탕을 두고 Paul Ce´zanne(1839~1906)와 Vincent van gogh(1853~1890)와 Paul gaugain(1848~1903)의 이론을 조사해 보았고 기법적인 면으로는 화면구성이나 표현에 있어 유사한 Lyonel Feininger의 작품과 Luigi Russolo의 작품과 Grant Wood(1891~1942)의 작품을 참고하였다. 본인의 실제 작품의 분석을 통해 작가 의식의 반영, 화면상의 조형적 탐구와 기법상의 표현 가능성을 살피면서 작품에서의 좋은 면과 고쳐야 할 점을 발견해서 앞으로 본인의 회화에 대한 가치관을 세우고자 한다.;The art is a small universe created by the human, who expresses the inner-most himself through the form of the art together with the vollition to create something. The emphasis of visual sense of appreciation of the picture has been shifted recently in line with mechanization of the modern society and popularization of scientific mind which has resulted in diversification and complication of values. In 19th century, the artist began to perceive his own essential characters and could apply free and diversified form taking the advantage of current of individualism. My view of the art is that a picture must be appreciated by an individual artist himself without restriction as is given by the absolute rules or standards of ethics or natural science. Therefore what has been sensed through the materials should be expressed through fundamental embodiment and also the mechanized civilization of the modern times, where reasoning is prefered to emotion, tended to be comforted by the combination of colors. Theoretically, it is not the drawing of real colors and forms, but it is based on the impressionism which designs and expresses subjectively, based on the theories of Paul Ce′zanne, Vincent Gogh and Paul Gaugain th_e writer studied, and technically it is similar to the works of Lyonel Feininger and Luigi Russolo in the expression of the picture. The writer has tried to set up her own view of value of picture studying her own weakeness to remedy and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technique reflecting sense of an artist through formative aspect of the actual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