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7 Download: 0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교육지원에 관한 연구

Title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교육지원에 관한 연구
Authors
박현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학부모들의 교육열과 교육지원의 실태를 살펴보았고, 부모와 자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의 금전적, 시간적, 심리·과정적 교육지원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부모의 심리·과정적 지원에 대해 청소년들이 얼마나 학업성취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는지를 살펴보았고, 이러한 도움 인식이 청소년의 성별 및 출생순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중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149명의 남학생과 151명의 여학생으로 구성된 총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test와 ANOVA로 연구문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교육열을 살펴보면 청소년들은 사회전반에 대한 교육열은 과잉으로 지각한 반면, 부모들의 교육열은 어느 정도 바람직한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부모와 자녀 모두 90% 이상 대학교 이상 진학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부모, 자녀 모두 높은 학력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들은 부모의 교육지원 이유를 대부분이 자식의 장래를 위해서 라고 응답하여 부모의 교육지원을 기본도리로 인식하기보다는 순수한 애정에서 교육지원을 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2. 사교육 실태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들은 과외보다는 학원수강을 많이 하고 있었으며 과외비용은 10~30만원 사이가 가장 많았다. 또한 부모들이 자녀들의 학습지도에 보내는 시간은 하루 1시간 미만으로 대부분의 부모는 학습지도는 많이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부모들의 심리·과정적 교육지원을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총점 평균이 3.25점으로 보통정도의 지원을 하고 있었으며, 유형별로는 학업 성적 신장 행위 에 관한 유형을 가장 많이 지원하고 있었고, 학교 교육 활동을 돕는 행위 에 가장 낮은 지원을 하고 있었다. 3.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육지원의 실태를 살펴보면,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고 가족의 소득이 많을수록 금전적 지원이 많았다. 또한 시간적 지원인 학습지도시간은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많았으며, 어머니가 취업하지 않았을 경우, 더 많은 시간 자녀의 학습지도를 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학업성적 신장행위 , 학습환경 조성행위 , 자녀의 학교교육을 돕는 행위 , 자녀 관리 활동 , 부모·자녀 유착 등의 심리·과정적 지원에서는 아버지의 교육수준과 어머니의 교육수준, 가족소득, 자녀성별 및 출생순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외동이 이거나 첫째아일 때 더 많은 지원을 하고 있었다. 4. 어머니의 심리·과정적 교육지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도움이 되었는지를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총점 평균이 3.29점으로 보통정도로 학업성취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유형별로는 청소년은 부모의 학업성적 신장행위 가 학업에 가장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부모의 학교 교육 활동을 돕는 행위 는 학업성취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청소년의 성별과 출생순위에 따른 교육지원 도움인식정도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서는 부모·자녀간 유착행위 만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출생순위에 따른 심리·과정적 지원의 도움인식을 살펴보면, 학업성적 신장행위 , 학습환경 조성행위 , 자녀관리 행위 , 부모·자녀간 유착행위 의 4개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첫째아이거나 외동이인 경우가 둘째아인 경우에 비해 부모의 교육지원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교육지원은 주로 학업성적 신장을 위해 지원을 하고 있으며, 학교교육 활동을 돕는 지원은 많이 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모의 교육지원은 부모의 학력이 높고, 가족 소득이 많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청소년들은 부모의 학교 활동에 대한 지원이나 통제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반면 학습환경 조성을 위한 지원이나 학업성적 신장을 위한 부모들의 학습에 대한 관심 그리고 대화 등은 긍정적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다. ; This study explored on parental enthusiasm and support in relation to education as they are perceived by adolescent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adolescents perceived the psychological and procedural support of their parents as being helpful for scholastic achievement, and whether their perceptions differ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0(149 male and 151 female) 2nd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The main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dolescents perceived their parental enthusiasm for education as more or less appropriate, but somewhat excessive from the view of society in general. Also, generally the education fervor seemed to be very high as demonstrated by the projected level of education - over 90% wish to go to college. And most adolescents perceived the reason of their parental support was pure love. 2. Most adolescents were signed up in academic institutes for private education, and the expense primarily fell between 100~300 thousand won. The time devoted by parents for academic guidance was usually less than 1 hour. Moreover, parents generally viewed the purpose of psychological or procedural support for teenage education as to achieve higher grades rather than to assist in school activities.  3. The research on the state of educational support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dolescents background revealed that financial support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parents and family income. Regarding time support, Time devotion was increased in case of parents were highly educated and/or mother didn t have a job. The degree of psychological and procedural support also increased proportionately to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parents. 4. Considering whether they aware that parents psychological·procedural support to education was helpful, parental support to achieve higher grades were conceived to be most helpful whereas their support to assist in school activities was the least helpful. 5. As to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of educational support differentiated by sex and family order. First child was more willing to regard it as a positive element. Thus, it could be inferred that adolescents recognized that it was quite negative. In other words, adolescents generally considered that parental support or control over school activities negatively; while they accepted parental concern or conversation in this positively.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parents vary their educational support according to each student s development level, and it would be more efficient if parents try to support or converse and let the students exercise self control rather than to directly interfere or regulate their scholastic achievement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