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제현순-
dc.creator제현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5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9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556-
dc.description.abstract문어는 구어와 마찬가지로 사람 사이의 의사소통에 중요하다. 일반아동들은 어렸을 때부터 자연스럽게 문자를 대하므로 큰 어려움 없이 단어읽기를 터득한다. 그러나 지적장애아동들은 인지능력의 결함으로 인하여 문해력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의 읽기발달 속도는 느리다(Jenkins & Larson, 1979). 그리고 표의적 읽기 단계까지는 일반아동과 유사한 발달을 보이지만 자소원리에 의한 읽기 단계에서는 어려움을 나타낸다(Hoogeveen et al., 1989; 박길환, 1999). 즉, 이들은 음운해독에 어려움을 겪으며, 이러한 어려움은 초언어적 능력과 음운처리의 결함과도 관련이 있다(Levy, 2011). 음운해독은 문자를 음운단위로 부호화하는 능력이며, 이러한 능력은 단어재인에 필수적이다(Literman, 1963; 김정미 외 2인, 재인용). 초기 문해력 기술은 단어재인 습득을 위한 선수요인(precursor)이며, 이러한 기술로는 음운인식, 철자지식, 음운작업기억, 음운정보회상, 구어능력 등을 포함한다(Lonigan et al., , 1998; Lonigan, 2006 재인용; Lonigan, Burgess, & Anthony, 2000; Storch & Whitehurst, 2002; The National Early Literacy Panel, 2004; Wagner et al., 1997).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은,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위와 같은 초기 문해력 기술들이 단어읽기(단어재인)에 중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Cardoso-Martin & Frith, 2001; Cardoso-Martin et al., 2002; Conners et al, 2001; Kim, 2011; Law & Gunn, 2002; Levy, 2011; Storch & Whitehurst, 2002; Wise et al., 2010; 김선옥과 조희숙, 2005; 김애화 외, 2010; 서은영, 2005; 양진희 외, 2007) . 그러나 이러한 초기 문해력 기술들 중 단어읽기에 중요한 변인이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그것이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 간에 같은지 혹은 다른지를 밝힌 연구들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읽기점수를 일치시킨 경도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단어읽기습득에 필요한 초기 문해력 기술들의 양상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경도지적장애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단어읽기 중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읽기발달 초기의 CA 4-5세 일반아동들 중 읽기가 가능한 50명, 이들과 읽기능력을 일치시킨 경도지적장애아동 40명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에게 실시한 검사 도구는 읽기 검사, 초기 문해력 검사(음운인식, 철자지식, 음운작업기억, 음운정보회상), 수용 및 표현어휘력 검사이다. 이 검사 도구들 중에서 읽기검사와 음운인식검사, 철자지식검사는 본 연구자가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읽기와 음운인식검사의 단어목록은 1음절로 제한하였다(음운인식검사에서 음절인식과제만 2음절임). 또한 환경적 경험이 단어읽기습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부모 질문지를 사용하여 가정이나 교육기관에서의 한글학습경험을 알아보았다. 아동들의 수행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두 집단 간 초기 문해력 기술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월령을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을 하였다. 둘째 각 집단 별로, Pearson 상관분석 및 연령과 지능을 제어변인으로 한 편상관분석을 하여 각 변인들 간 상관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각 집단 별로 1음절읽기 예측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일반아동 및 경도지적장애아동을 각각 읽기상위 및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그런 다음 지적장애 유무와 읽기 상, 하위집단에 따라 읽기에 중요한 변인으로 도출된 음운인식의 하위수준 간(음절체와 각운 간, 초성음소와 종성음소 간), 철자지식의 하위수준 간(철자이름과 철자소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월령을 공변인으로 하여 삼원혼합분산분석(2 피험자 간-1피험자 내 설계)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아동은 일반아동보다 초기 문해력 기술, 즉 음운인식, 철자지식, 음운작업기억, 음운정보회상, 표현어휘력에서 모두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나타내었다. 둘째 일반아동 집단의 경우 1음절읽기와 초기 문해력 기술들 간 편상관분석 결과, 1음절읽기 점수와 표현어휘력, 음운인식, 철자지식, 음운작업기억 간에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수용어휘력과 음운정보회상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음운인식과 철자지식 간, 표현어휘력과 음운작업기억 간, 철자지식과 음운작업기억 간에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일반아동 집단의 1음절읽기를 예측하는 변인은 철자지식, 연령, 표현어휘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도 지적장애아동 집단의 경우 1음절읽기와 초기 문해력 기술들 간 편상관분석 결과, 1음절읽기 점수와 음운인식, 철자지식, 음운작업기억 간에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표현 및 수용어휘력과 음운정보회상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음운인식과 수용 및 표현어휘력 간, 음운인식과 철자지식 간, 음운인식과 음운작업기억 간, 철자지식과 음운작업기억 간, 음운작업기억과 표현 어휘력 간에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경도 지적장애아동 집단의 1음절읽기를 예측하는 변인은 음운인식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운인식 하위점수(음절체+각운, 음소인식)와 철자지식점수는, 일반아동 집단이 지적장애아동 집단보다, 읽기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각각 더 높았다. 또한 집단에 상관없이 음절체인식점수가 각운인식점수보다, 종성인식점수가 초성인식점수보다 각각 더 높았으나 철자이름점수와 철자소리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읽기 상, 하위집단 간 음절체+각운인식점수 차이는 지적장애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보다 더 컸다. 읽기 상, 하위집단 간 초성인식점수의 차이는 읽기 상, 하위집단 간 종성인식점수의 차이보다 더 컸다. 이상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일반아동과 경도 지적장애아동 두 집단 간에 1음절읽기를 예측하는 변인은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즉 1음절읽기능력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일반아동 집단의 경우 철자지식이었고, 경도 지적장애아동 집단은 음운인식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글 고유의 특성과 환경적 경험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일반아동은 한글의 철자 특성(철자이름에 철자소리가 포함, 철자이름과 철자소리가 1:1 대응)과 문자에 대한 조기 경험 때문에 철자이름을 통해 철자소리를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지적장애아동들은 철자-소리 대응에 어려움을 나타낸다. 따라서 한글의 음절 특성(시각적, 청각적으로 명확하게 하나의 단위로 분절됨, 음절-글자 대응이 1:1 대응)이 지적장애아동들의 단어읽기학습에 쉽게 적용된다. 즉 지적장애아동들은 이러한 음절이나 글자단위를 사용하여 읽기를 배우며, 이때 음절수준의 음운인식이 영향을 끼친다. 또한 지적장애아동들은 음운하위 단위에서 각운인식보다 음절체인식을, 초성음소인식보다 종성음소인식을 각각 더 잘 수행하였다. 특히 종성인식은 음절체인식과 관련이 있었는데 종성탈락과제를 수행할 때 음절체를 단서로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경도 지적장애아동들에게 적절한 단어읽기중재방법 혹은 방향을 제안한다. 첫째 CV 단위의 단어읽기는 음절인식과 글자인식을 병행하여 가르친다. 둘째 종성을 가르치기 위한 방법으로, 음절체를 단서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Written language as well as oral language is important to communicate among people. Children in general learn the word reading through their experiences on letters without any difficulty in the very early age. However, becaus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ave the general cognitive impairment, they have the difficulty to acquire the literacy and the progress of reading development is also very slow. While their development of reading has the similar progress with that of children in general to the stage of logo-graphic reading, it has difficulty to progress when it arrives at the stage of alphabetic reading. That is, they have the trouble with the phonological decoding and this trouble is related to the meta-linguistic ability and the lack of phonological processing. Phonological decoding is the ability to decode phonemic unit and it is necessary to acquire the word recognition. The emergency literacy skills are precursors to acquire the word recognition and the skills include phonological awareness, letter knowledge, phonological working memory, phonological recoding in lexical access and oral language ability etc.. The previous studies target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ave been urging that the emergency literacy skills listed above are significant for the word reading of both typically developed children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owever, it is hard to find out the studies on which skills are important variables for the word reading and whether the variables has the same impact on both groups or not. Therefore, this study first analyse and compare the impacts of emergent literacy skills listed above on word reading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arget groups such as typically developed children(after this, "normals") and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after this, "disabled"). And then, it suggests the new method for the words reading intervention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is study is based on the several tests and a parent survey which are related to word reading acquirement. The targets in these tests are classified as the following two groups: 50 normals in the age of 4 or 5 who can read in the initial stage of reading development and 40 disabled who has the same ability of word reading as that of 50 normals. The kind of tests are as follows: word reading test, emergency literacy test -- phonological awareness, letter knowledge,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phonological recoding in lexical access -- a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I make and use my own word reading test, phonological awareness test and letter knowledge test. The word lists of word reading test and phonological awareness test uses monosyllable and only a syllable awareness task uses two syllables. In addition, this study surveys educational experience for Korean through parent questionnaire, because environmental factors may affect to word reading acquirement. The data was analysed by the SPSS/Win 21.0. The analysis was proceeded as follows: First, we made the analysis of covariance with the age as a covariate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emergency literacy skills between two groups; Second, we mad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ith age and IQ as control variables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And then we di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o find out predictors of monosyllable reading according to each group respectively; Third, we practiced the three way mixed MANOVA with age as a covariate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syllable awareness and rime awareness, between initial phoneme awareness and final phoneme awareness, and between letter name knowledge and letter sound knowledge among sub-groups classified more detail. According to scores of word reading test, we divided both target groups, normals and disabled, into high-score and low-score sub-groups more detail. Thus, each target group has high score sub-group and low score sub-group and then these 4 sub-group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sabled is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s in performance of phonological awareness, letter knowledge, phonological working memory, phonological recoding in lexical access, and expressive vocabulary. Second, scores of monosyllable reading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variables like expressive vocabulary, phonological awareness, letter knowledge,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while it has no correlation with receptive vocabulary and phonological recoding in lexical access in case of normals. Besides, the correlations,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letter knowledge, between expressive vocabulary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between letter knowledge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re significantly positive in case of normals. Letter knowledge, age, expressive vocabulary are identified as important predictors of monosyllable word reading of normals. Third, scores of monosyllable reading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variables like phonological awareness, letter knowledge,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while it has no correlation with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and phonological recoding in lexical access in case of disabled.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letter knowledge,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between letter knowledge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between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expressive vocabulary are significantly positive in case of disabled. Phonological awareness are identified as the only predictor of monosyllable word reading of disabled. Forth, normals have higher scores than disabled and high score sub-groups also have higher scores than low score sub-groups in the performance of phonological awareness (including body and rime awareness, and phoneme awareness) and letter knowledge. Scores of body awareness is also higher than those of rime awareness and scores of final phoneme awareness is higher than those of initial phoneme awareness. However, scores of letter name and letter sound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The difference of scores of body and rime awareness between high score sub-group and low score sub-group is wider in disabled than normals. the difference of scores of initial phoneme awareness between high score sub-groups and low score sub-groups is greater than that of final phoneme awareness between both sub-groups. In summary, the predictors of monosyllable reading in the both groups, normals and disabled, were different. That is, the best predictor of monosyllable reading is letter knowledge in case of normals, while it is phonological awareness in case of disabled. These results could be explained by the special natures of Korean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Korean as an environmental factor. It is the special natures of Korean alphabet that letter name implies letter sound and the former always has the latter uniquely. Normals can easily guess letter sound through letter name because of very early experience on letters and the special natures of Korean alphabet as explained above. In contrast, one to one correspondence between letter name and letter sound appears very difficult in case of disabled. Especially, the special natures of Korean syllables which are clearly segmented by unit visually and auditorily could be easily applied to the learning of word reading for disabled. That is, disabled learn the reading skill through syllable or letter unit and phonological awareness at the level of syllable also affects to the learning of them, Moreover, the performance of body awareness is better than that of rime awareness and the performance of final phoneme awareness, that of initial phoneme awareness. In particular, final phoneme awareness is related to the body awareness and thus the body is used as a clue to practice the task of final phoneme dele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important for the search of word reading intervention method for disabl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10 A. 읽기 10 B. 초기 문해력 기술 19 C. 지적장애아동의 읽기발달 38 Ⅲ. 연구 방법 48 A. 연구 대상 48 B. 검사 기간 53 C. 검사 환경 및 검사자 54 D. 검사 도구 및 절차 55 E. 평가자 간 신뢰도 70 F. 통계 분석 70 Ⅳ. 연구 결과 73 A. 일반아동 및 지적장애아동 집단 간 초기 문해력 기술 차이 분석 73 B. 일반아동 및 지적장애아동 집단의 1음절읽기 예측변인 분석 76 C. 지적장애 유무 및 읽기 상, 하위 집단에 따른 초기 문해력 기술 차이 분석 86 D. 한글학습경험 관련 부모설문조사 결과 98 Ⅴ. 논의 및 결론 102 A. 초기 문해력 기술 차이 비교 102 B. 1음절읽기의 예측변인 비교 103 C. 음운인식 및 철자지식의 차이 비교 112 D. 종합 논의 및 연구의 의의 117 E.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125 참고문헌 129 부록 146 Abstract 1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919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초기 문해력 기술들이 일반아동 및 지적장애아동의 1음절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 of Emergent literacy Skills on Monosyllable Reading of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and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dc.creator.othernameJe, Hyeon Soon-
dc.format.pagex, 16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