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4 Download: 0

과학 영재의 과제집착력 특성 분석과 특성별 수준 측정을 위한 루브릭 개발

Title
과학 영재의 과제집착력 특성 분석과 특성별 수준 측정을 위한 루브릭 개발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n science gifted students’ task commitment and development of the rubric for measurement of levels on the characteristics.
Authors
장정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성원
Abstract
It is necessary to find the science gifted and establish methodical education, which ha huge potential in the science field, to enhanc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science technology field. To distinguish the gifted, it is essential to perform overall evaluation on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considering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gifted. In the past, the cognitive factors were emphasized in selecting the gifted. However, these days, not only cognitive factors but also non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are being emphasized. Among the affective factors of the gifted, the task commitment is an important factor to describe the gifted and their outstanding achievements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as the factor to distinguish the gifted from the ordinary. From this study, it tried to offer good implications regarding the selection of the gifted and education by exploring and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task commitment shown in the science gift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task commitment mentioned to be the important affective feature of the science gifted. To do this, we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commitment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showing task commitment of 360 science gifted student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commitment more deeply and in many aspects, the science gifted were asked to freely describe their concrete experiences of in-depth research and explor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ase cross analysis(Miles & Huberman, 1994) and three gifted education teachers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factor of the task commitment by using analytical induction method. Seven education experts were requested to review the validity of the result by conducting surveys and interviews. On the basis of explored characteristics, the rubric which can measure the level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commitment was developed. By following the developing procedure of the rubric proposed by Mertler(2001) and Moskal(2000), types of the rubric and the rating scale is determined, and the level is describ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standard. The draft of the rubric was examined by three science education experts for its validity, also presenting instructions explaining how to use the rubric. The developed rubric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commitment for seven science gifted students. The in-depth interview was given to the science gifted an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commitment from their experiences and also applying the rubric, a measurement of areal levels was done.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task commitment, each and every students’ characteristics were specifically described. B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gfted students’ task commitment is expressed in the form of challenge, flow, and willingness. These three characteristics can well explain the task commitment and they categorizes eight features as follows: confidence, establishing challenging goal, challenging approach to resolve the task, controllability, loss of sense of identity, continuity(patience, endurance), endurance in hard work, and self directednes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commitment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confirmed by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f guiding and exploring the science gifted. This means that the measuring tool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used on the scene. Third, the students’ task commitment can be measured objectively and effectively by using the measuring tool in the form of rubric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commitment. Because the rubric can descriptively state the levels and features of students’ performance, it can explain the students’ level in details. Fourth, specifically describing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ir performance criteria is the grounds for the level judgment and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ask commitment. From the result and conclusion for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an be proposed. First, the analysis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factors which can affect the task commitment can be explor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commitment shown by the science gifted, revealed from this research. Second,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measuring tool of the task commitment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this study. By applying this on-the-spot, we can confirm whether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ordinary and the science gifted is explainable. And through this process, we can examine the alignment of assessments by the evaluation result from various teachers.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commitment and other characteristics showing giftedness can be identified by utilizing the measuring tool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commitment.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how well the task commitment can explain the giftedness and offer the criteria of distinction. Fourth, through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level differ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commitment among the science gifted and find out if this has any correlation with their achievements. From this study,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among the gifted from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ir characteristics of the task commitment. An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 peculiarity of the gifted on their achievements or other factors.;현대 사회에서 과학 기술 부문의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해 과학 분야에 큰 잠재력을 갖고 있는 과학 영재의 발굴과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판별 과정에서 인지적, 정의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과학 영재의 전반적인 특성이 제대로 파악되어야 한다. 기존의 판별 과정에서는 영재의 인지적인 부분이 강조되었다면 최근 동향은 인지적인 능력뿐만 아니라 정의적, 비인지적인 측면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과학 영재의 정의적 특성 중에서도 과제집착력은 영재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특성으로 영재의 성취와 밀접한 연관이 있어 영재 판별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의 정의적 특성으로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는 과제집착력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과학 영재의 과제집착력 특성을 탐색하고 특성별 수준을 측정하여 영재 선발 및 교육에 대한 함의 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60명의 과학 영재들이 과제집착력을 갖고 활동한 경험을 분석하여 과제집착력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과제집착력 특성을 심층적이며 다각적인 측면에서 탐색하고자 과학 영재들이 깊이 있는 연구와 탐구를 했던 구체적인 경험을 자율적으로 기술하게 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교차 자료 분석법(Miles & Huberman, 1994)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3명의 과학교육전문가가 분석적 귀납 방법을 이용하여 과제집착력의 특성 요소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에 대해 7명의 영재교육 전문가들에게 면담과 설문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 검토를 의뢰하였다. 탐색한 특성을 기반으로 과제집착력 특성의 영역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Mertler(2001)와 Moskal(2000)이 제안한 루브릭 개발 절차에 따라 루브릭의 유형 및 평가 척도를 결정하고, 수행 준거에 따라 수준을 기술하였다. 수행 수준에 따른 점수 산출 방법을 안내하여 현장에서 측정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루브릭 사용에 관한 유의사항을 함께 제시하였다. 개발된 루브릭을 7명의 과학 영재들에게 적용하였다. 과학 영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경험에서 나온 진술에 대해 과제집착력 특성을 분석하고 루브릭을 적용하여 영역별 수준을 측정하였다. 개개인의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과학 영재의 과제집착력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영재들의 과제집착력은 도전성, 몰입, 주도성의 특성으로 표현된다. 자신감, 도전적인 목표 설정, 과제해결을 위한 도전적 접근, 통제감, 자의식 상실, 계속성 끈기 인내, 고된 작업의 감수, 자기 주도성의 8가지 특성들을 범주화한 이 세 가지 특성은 과제집착력의 정의를 잘 표현해주는 것으로 과학 영재들의 과제집착력을 설명해줄 수 있다. 둘째, 영재교육전문가들이 과학 영재학생들을 지도하고 관찰한 경험으로부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과제집착력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특성들을 기반으로 구성된 측정 도구가 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셋째, 과제집착력 특성을 기반으로 한 루브릭 형태의 측정 도구를 통해 학생들의 과제집착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루브릭 형태로 도구를 개발하여 교사들이 현장에서 빠르고 효과적으로 과제집착력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점수 산출 방법을 제안하여 객관적인 수준 측정이 가능하다. 넷째, 루브릭을 학생들에게 적용할 때 그 수행 준거를 기반으로 학생의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것은 수준 판단의 근거가 되며, 그 학생의 과제집착력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와 결론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과학 영재들의 과제집착력 특성에 기초하여 과제집착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분석 및 형성 과정에 대해 탐색해볼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과제집착력 측정 도구를 적용해볼 필요가 있다. 현장 적용을 통해 일반학생과 과학영재의 수준차이를 설명해볼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 이 과정에서 여러 교사가 함께 평가를 실시하여 평가일치도 검사도 실시해볼 수 있다. 셋째, 과제집착력 특성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과제집착력 특성과 과학 영재의 영재성을 나타내는 다른 특성들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과제집착력이 영재성을 얼마나 설명해 줄 수 있는가를 확인하고 판별에 있어 어떻게 반영할 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다. 넷째, 후속 연구를 통해 과학 영재들 간의 과제집착력 특성에 수준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 이것이 영재들 간의 성취 차이와 연관이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과학 영재들의 과제집착력 특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과정에서 영재들 간에 두드러지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영재들 사이의 개인별 특이성이 성취 또는 그밖에 어떤 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