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95 Download: 0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의 학급차원 실행이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성 기술, 문제행동, 일반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의 학급차원 실행이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성 기술, 문제행동, 일반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lass-wide Implementation of Enhanced Skillstreaming on Social Skill,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Interaction with Peers without Disability in You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uthors
문회원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한 개인의 사회적 관계 및 사회적 행동을 의미하는 사회성 발달의 근간은 대체로 유아기의 기본 생활 습관 및 사회성 발달의 기본 요소들의 습득을 통해 이루어진다. 유아기는 인성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이며 이 때 형성된 태도와 습관은 평생 동안 지속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아기의 인성은 또래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것은 유아의 바람직한 사회성 발달과도 직결된다. 그러나 모든 유아가 동일하게 보편적인 발달과정을 거치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에게 적절한 교육 및 치료적 중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또래에게 수용되지 못하고, 원만한 친구관계를 형성하지 못함에 따라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정서․행동장애를 지닌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교육이 강조되는 분위기에 발맞추어 다양한 ‘사회성 기술 중재’가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국내에서도 정서․행동장애를 지닌 아동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으나 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유아의 경우, 자폐 범주성 장애나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중재가 대다수이며 정서․행동장애를 지닌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다. 국내에서 실행된 사회성 기술 교수는 연구자가 몇 가지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하나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증거기반의 체계적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을 찾아보기는 힘든 실정이다. ‘스킬스트리밍(skillstreaming) 교수’는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경험하는 아동을 위하여 통합 환경에서의 자연스러운 교수를 통한 기술의 일반화를 강조하는 사회성 기술 교육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에 적용된 『유아를 위한 스킬스트리밍 교수』는 유아에게 필요한 사회성 기술을 6개 영역, 40가지의 기술로 세분화하여 지도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교수방식은 모델링, 역할극, 피드백, 일반화의 4단계가 주축을 이루고 그 안에 9가지 세부지침이 명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킬스트리밍 교수의 기본 단계 및 수행지침을 충실하게 수행하는 동시에, 연구자가 개발한 토막만화형식의 상황이야기 적용, 대집단과 소집단, 다시 대집단 수업의 순차적 수업진행, 학급전체 유아에게 동일한 수업진행 등과 같이 내용과 방식을 보완한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 충남 지역에 위치한 4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24명의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로 교사용 유아행동평가척도(C-TRF)의 내재화 문제행동 점수와 외현화 문제행동 점수, 연령을 기준으로 짝짓기 기법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을 배치하였다. 실험집단 유아가 속한 학급에는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의 학급차원 실행’을 적용하고 통제집단 유아가 속한 학급에는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의 학급차원 실행’이 제공되지 않고, 보편적인 어린이집 일과 수업만을 받았다. 실험은 중재 준비, 사전검사, 중재, 사후 검사의 순으로 7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준비단계에서는 만화제작, 교안작성, 보조연구자 및 교사교육이 이루어졌고, 실행단계에서는 스킬스트리밍 교수의 9단계인 기술정의, 기술 모델링, 첫 역할극 유아 정하기, 역할극 설정, 역할극 실행, 시연에 대한 피드백 제공, 필요한 유아기술 설정, 역할극 할 다음 유아 설정, 과제내기로 진행되었다.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의 학급차원 실행이 정서․행동장애 위험유아의 사회성 기술, 문제행동, 일반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측정도구로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 검사’, ‘유아행동 평가 척도’, ‘또래 놀이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자연스러운 일과에서 각 대상유아의 담임교사가 평가를 실시하였고, 사전․사후 차이에 대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 유아와 통제집단 유아의 사회성 기술 변화정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통제집단의 대상유아는 사회성 기술이 향상되지 않거나 더 감소된 반면에, 실험집단 대상유아의 사회성 기술은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그리고 사회성 기술의 하위영역인 문제해결, 정서표현, 질서의식, 자신감 영역 모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변화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둘째, 실험집단 유아와 통제집단 유아의 문제행동 변화정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통제집단의 대상유아는 문제행동이 증가하거나, 그대로 머물러 있었던 반면, 실험집단 대상유아의 문제행동이 큰 폭으로 감소되었다. 그리고 문제행동의 하위영역인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 영역 모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변화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셋째, 일반유아와의 상호작용은 3가지 차원, 즉, 놀이상호작용, 놀이붕괴, 놀이단절의 하위요소로 나누어져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유아와 통제집단 유아의 놀이상호작용 변화정도, 놀이붕괴 변화정도, 그리고 놀이단절의 변화정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통제집단 대상유아는 놀이상호작용이 감소하거나, 그대로 머물러 있었던 반면, 실험집단 대상유아의 놀이상호작용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통제집단 대상유아의 놀이붕괴는 증가하거나, 그대로 머물러 있었던 반면, 실험집단 대상유아의 놀이붕괴는 큰 폭으로 감소되었다. 그리고 통제잡단 대상유아는 놀이단절이 더 증가되거나, 그대로 머물러 있었던 반면, 실험집단 대상유아의 놀이단절은 큰 폭으로 감소되는 결과가 나왔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의 학급차원 실행’이 정서․행동장애 위험유아의 사회성 기술 향상, 문제행동 감소, 일반유아와의 상호작용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첫째,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모두 가진 유아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증거기반실제의 초석을 마련한 점, 둘째, 대상유아가 속한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중재를 실행함으로써 통합 환경에 적용 가능한 사회성 기술 교수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 셋째, 국외에서 증거기반실제로 알려진 스킬스트리밍 교수를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국내 유아에게도 그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스킬스트리밍 교수의 국내 적용성을 높였다는 점, 넷째, 유아교육과정에 사회성 기술 교수가 좀 더 체계적으로 포함되어야한다는 것을 각인시킨 점, 다섯째,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를 통해 대상유아 뿐 아니라 학급전체 분위기도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At the age of young children, it is the period when the basis of human nature is formed. The young children's attitude and habit formed during this period are continued for their whole life. And the human nature of young children affect form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ers and at once it is related with young children's desirable social development. By the way, all of young children always don' t have the same and universal procedure of social development in the natural situation. The you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re not accepted by their peers because of their problem behaviors such as problem with internalization or externalization, do not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peers, more and more they are isolated from their peers, and finally they become to experienc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y. Therefore they must be taught to social intervention at earlier age. As the above facts, in the climate when 'the education for social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must be strengthened, the 'social skill intervention' which is one of programs for social promotion began to be developed. And most of researchers do social skill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developing for themselves and reconstructing some social skill programs which are being used now. As a result, for the sake of you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social skill program on the evidence - based practices is needed. Skillstreaming is the program of social skill intervention of which object is the children with the problem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which is emphasized on generalization through natural instruction in the condition of integration, and which is the knowledge-based and experience-based instruction. The effectiveness of Skillstreaming has been evidenced by many researchers. 『the third edition of Skillstreaming in Early Childhood, 2012』 applied to this study is consisted of 40 social skills in 6 fields which are essential to young children. Its instructional forms are modeling, role-play, feedback and generalization including 9 guiding detail principles.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ocial skill and is to reduce the problem behavior in you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is to improve their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y, by applying to faithfully basic phases and guiding principles of Skillstreaming, and by applying to the materials and methods of 'enhanced Skillstreaming' such as animation-typed social stories which I developed and to successive progress which are from large group through small group to large group, and process with the same class to all children including the participants in a cla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 young children at the age of 3 to 5 who attended at 3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Inchoen, and Chungnam.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hose number is 12 respectively, through a pairing process based their life age, the internalization scores and the externalization scores of C-TRF. The class-wide implementation of enhanced skillstreaming was appli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no information or guidance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7 months in the order of intervention preparation, pre-test, intervention, and post-test. In the phase of preparation, producing animation-typed social story, writing plan of instruction, and training sub researchers and teachers were conducted. In the phase of intervention, class-wide implementation of enhanced skillstreaming was given to experimental group: define the skill, model the skill, select the first role-player, set up the role-play, conduct the role-play, provide performance feedback, establish student skill need, select next player, assign skill homework.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ass-wide Implementation of enhanced skillstreaming on social skill,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interaction with peers without disability in you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teachers in charge of participants measured them in the natural daily life through K-SSRSP, PKBS, PIPPS at the phase of pre-test and post-test and were collected. And finally,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see if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social skill, problem behavior, and interaction with peers without disabi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kill of experimental group improv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In all of 4 subelement social skill such as problem-solving, emotional expression, sense of the public order and self-confidenc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 the problem behaviors of experimental group improv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In all of 2 subelement of problem behavior such as problem behavior of internalization and of externaliz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rd, the interaction with peers without disability consisted of 'play interaction',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of experimental group improv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lass-wide implementation of enhanced skillstreaming had positive influences on social skill, problem behaviors and interaction with peers without disability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the condition that there are few social intervention on the evidence-based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 wish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social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