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종진-
dc.contributor.author이선희-
dc.creator이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0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9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092-
dc.description.abstractBased on the Jung Jung-ryul style, the Kim So-hee style Chunhyangga is a school that was newly recreated after being influenced by the Song Man-gab style, Jung Eung-min style, and the Kim Yeon-su style. Its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were shed light on by revealing the differences in parts configuration, change in the text, text buchimsae, and melody comparison. First of all, parts configuration the development aspects of the parts for each style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 parts into connection, farewell, hardship, and reunion. The Kim So-hee style has a parts configuration that is overall similar to the Jung Jung-ryul style Chunhyangga, but the connection part has the configuration of the Jung Eung-min style. Also, by inserting the famous parts of each style, it tries to take advantage of their fame. The text is recreated through the three forms of expansion, reduction, and replacement. The additions to each sentence and paragraph in order to describe in detail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and the situation of the events is linked to expansion. Reduction occurs when the content is repeated or the part interfere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and just as with expansion it consists of the deletion of sentences and paragraphs. The Kim So-hee style has 25 parts songs, identical to existing styles, and nine text songs mixed with the assimilation of several songs, and 47 songs in its parts that have undergone change. The text buchimsae actively accommodates the buchimsae of the existing style, but differs its appearance location and number. The Kim So-hee style drives the buchimsae of the Song Man-gab style, which consists of the daemadi daejangdan, by reducing the text which has two beats into a single beat, so that the number of beats in each part is reduced with the attachment of the text to the 5th and 6th beat of the jinyangjo. The daemadi daejangdan is maintained despite this. By comparison with the Jung Jung-ryul style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utbuchim, the Kim So hee style relaxes the expressional form while accepting the utbuchim by differing in number and location. Tension and relaxation are repeated by being composed with the daemadi daejangdan and reducing the continued utbuchim. It also receives the juseobuchim of the Kim Yeonsu style, but it reduces the syllable that goes into each beat and attaches it to the next beat thereby adjusting the number of syllables that go into each beat. It maintains the buchimsae that belongs to existing styles but expresses by tuning the number and form. Melody comparison looked into key and mode, range, tone and sigimsae. Two styles within the same relationship of influence have the same key and mode, and when modulation occurs, modulation to the Kim So-hee style appears more frequently. The tone and range are similar, and the biggest difference is revealed in the use of sigimsae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melody. In an identical text, the Song Man-gab and Kim Yeon-su styles sound simple, but the Kim So-hee style sounds complicated and sophisticated beyond the various melodies and 1 beat 1 note style. With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e advanced research,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Kim So-hee style were pointed out as the refinement of the text, the tension and relaxation of the text buchimsae, and the use of sigimsae through the expansion of melody. It was refined through expansion, reduction, and replacement of a text that fits the situation and characters, and the text buchimsae maintains the big characteristics that belong to existing styles, but at the same time, repeats tension and relaxation by guarding against the frequent appearance of them. The use of sigimsae through the expansion of melody reveals differences by forming frequent sigimsae going beyond the 1 beat 1 note system and the formation of an upper register when compared with the Song Man-gap and Kim Yeon-su styles in particular. Also the significance of the Kim So-hee style Chunhyangga is noted for the recreation of existing styles during an era when preservation and inheritance was valued. It is valued for the derivation of styles through such attempts in the present, when the styles of pansori are not increas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hunyangga over a long period of time starting with the wanchangbon of 1958, shows that Kim So-he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musical aspect more than any other school. Factors that caused such a perspective include the fact that she was active with her teachers during her youth, that she was able to encounter various styles through her teachers, and that her teachers were masters who went through a period of creativity. This adds new arrangements to traditional pansori so that its value as for its domain can be discovered. ;김소희제 춘향가는 정정렬제를 근간으로 송만갑제, 정응민제, 김연수제의 영향을 받아 새롭게 재구성된 유파이다. 이를 대목 구성, 사설의 변화, 사설붙임새, 선율비교 등으로 드러나는 차이점을 통해 김소희제 춘향가의 특징과 그 의의를 조명해 보았다. 먼저 대목 구성은 결연, 이별, 고난, 재회로 나누어 각 제별 대목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김소희제 춘향가의 대목 구성은 전체적으로 정정렬제 춘향가와 유사하나 결연부분은 정응민제의 구성이다. 또한 각 제별 유명대목을 삽입하여 그 명성에 편승하고자 함을 엿볼 수 있다. 사설은 확대, 축소, 교체의 세 가지 형태를 통해 재구성된다. 인물의 심리나 사건의 상황을 더욱 상세하게 묘사하기 위한 문장 및 단락별 추가가 확대로 이어지고, 축소는 반복되는 내용이거나 상황의 전개에 방해되는 대목일 경우 일어나며, 확대와 마찬가지로 문장 및 단락별 삭제로 이루어진다. 교체는 인물의 행동이 과격하게 표현된 경우나 거친 단어 등을 순화한 경우에 일어난다. 김소희제와 기존의 제 사이의 동일한 대목 24곡이며, 여러 제의 접변으로 섞인 사설 9곡, 변화를 일으킨 대목이 47곡으로 나타난다. 사설붙임새는 기존의 제가 지닌 붙임새를 적극수용하되 등장위치와 회수를 달리한다. 대마디대장단으로만 구성된 송만갑제의 붙임새를 김소희제는 두 각안에 든 사설을 한 각으로 몰아서 진양조의 5, 6박에 사설을 붙임으로 대목마다 각 수를 줄였다. 그럼에도 대마디 대장단은 유지하였다. 엇붙임으로 대표하는 정정렬제와 김소희제의 비교를 통해 회수를 줄이고, 위치를 달리하는 등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엇붙임을 수용하되 표현형태를 완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계속된 엇붙임을 줄이고, 대마디 대장단을 함께 구성함으로써 긴장과 이완을 반복한다. 김연수제의 주서붙임을 또한 수용하였으나 한 각에 드는 음절을 줄여 다음 각으로 붙이는 등 한 각안에 드는 음절수를 조절하였다. 기존의 제가 갖는 붙임새를 그대로 유지하며 회수 및 형태 등을 조율하여 표현한다. 선율비교에서는 악조, 음역, 구성음 및 시김새 등을 살펴보았다. 영향관계 속에 있는 두 제가 대부분 같은 악조를 지니며, 변조가 일어날 경우 김소희제의 변조가 더 자주 나타난다. 구성음과 음역은 유사하며, 가장 큰 차이점은 선율확대를 통한 시김새활용에서 드러난다. 동일사설에서 송만갑제와 김연수제는 평이하게 들리는데, 김소희제는 다양한 선율과 1자 1음을 탈피해 복잡하고 기교적으로 들린다. 앞선 연구로 얻은 결론으로 김소희제의 음악적 특징을 사설의 정제, 사설붙임새의 긴장과 이완, 선율확대를 통한 시김새의 활용으로 꼽았다. 상황과 인물에 부합되는 사설로 확대, 축소, 교체를 통해 정제하였고, 사설붙임새는 기존의 제가 갖는 큰 특징은 유지하되 잦은 등장을 경계하여 긴장과 이완을 반복적으로 구성하였다. 선율확대를 통한 시김새활용은 특히 송만갑제와 김연수제와의 비교를 통해 1자 1음의 탈피, 고음역대의 구성 등을 통해 시김새를 자주 구성함으로써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김소희제 춘향가가 지닌 의의는 보존과 계승에 가치를 두는 시기에 기존의 제를 재구성하여 만들어졌다는 점으로 들 수 있다. 더 이상 판소리의 제가 늘지 않는 현재에 이러한 시도를 통한 제의 파생으로써 가치를 지닌다. 1958년의 완창본을 시작으로 오랜 기간에 걸친 춘향가의 성립은 김소희가 유파보다 판소리의 음악적 측면을 중요하게 인식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런 시각을 갖게 된 요인으로는 어린 시절 그의 스승들과 함께 활동을 했다는 점, 그의 스승들을 통해 다양한 제를 접할 수 있었던 점, 당시의 스승이 창작의 시기를 거친 대가라는 점 등으로 꼽을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전통판소리에 새로운 편곡이 더해져 그 영역으로써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4 C.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8 Ⅱ. 김소희의 예술세계와 김소희제 춘향가의 성립 16 A. 김소희의 예술세계 16 B. 김소희제 춘향가의 성립 18 Ⅲ. 김소희제 춘향가의 대목 및 사설구성 25 A. 김소희제 춘향가의 대목 구성 25 1. 결연(結緣)부분 26 2. 이별(離別)부분 31 3. 고난(苦難)부분 34 4. 재회(再會)부분 38 B. 김소희제 춘향가의 사설변화 45 1. 사설의 확대 45 2. 사설의 축소 52 3. 사설의 교체 59 C. 소결 64 Ⅳ. 김소희제 춘향가의 음악적 수용과 구성 70 A. 사설붙임새 비교 70 1. 각 제별 붙임새의 변화 70 1) 송만갑제 변화형 71 2) 정정렬제 변화형 80 3) 김연수제 변화형 92 B. 선율 비교 97 1. 악조 및 시김새 비교 97 1) 송만갑제 변화형 97 2) 정정렬제 변화형 114 3) 김연수제 변화형 130 C. 소결 137 Ⅵ. 결론 142 참고문헌 145 부록악보 149 ABSTRACT 2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9395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김소희제 춘향가의 비교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송만갑제·정정렬제·김연수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hunhyangga> of Kim Sohee’s Pansori Style-
dc.creator.othernameLee, Sun Hee-
dc.format.pageix, 24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