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디자인 진흥기관 모형과 발전 방향 연구

Title
디자인 진흥기관 모형과 발전 방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odels of Agency for Design Promotion  and Directions of Their Development : Centered in Daegu Gyeongbuk Design Center
Authors
조지혜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선
Abstract
As new design areas are created, technology innovation and its fusion with other industries are accelerated. Service design for the public started to gain general attraction. In addition, as general people get able to make their wanted products with 3D printer distributed and convenient softwares developed, design-specialized companies are required of integrated design consulting service over entire designs as well as higher level of design development ability. Government has enforced design policies so far, catching market trend. It established Korea Design Package Center in 1970 and promoted export boost by package designs. It has struggled to build present state of the Korea Institut for Industrial Design Promotion and mainly executed Design Promotion Projects. Government has acted Design Promotion Policies, positioning DIC (Design Innovation Center) and RDC ( Regina Design Center) as design hubs. However, the types of industries and design market sizes are different in each area. So, local design center needs to be managed fit to its features. In Daegu Gyeongbuk area, income per capita and gross production of the area showed the lowest among those of all local governments in metropolitan areas. The area has the most frequent brain drain of excellent designers in 20s to 30s into the Metropolitan areas. Common SMEs and SMEs located in industrial complex continue to demand designs. However, small sizes of design-specialized companies and their lack of capacities make them require of continuous company design and HR support from government. Based on Studies on Daegu Gyeongbuk Design Industry performed by DGDC (Daegu Gyeongbuk Design Center) and undergoing projects, present state of Daegu, Gyeongbuk Design Industry needs to be identified. Catching up with trend in world competitive age, the directions of design promotion model development in Daegu Gyeongbuk was to be researched by reviewing design promotion models from management cases of major region design center. IDZ (Internationales Design Zentrum Berlin), DDC (Danish Design Center), Design Council and Toyama Design Center. The sources of these centers' budgets are diverse but they direct support rather than do their best about diffusion of private design sense. Each center has common point that it plays roles of broker and platform to gather people with common background, 'design'. Finally, based on these facts, modified project model is suggested in quadripartite contract method to input design professional manpower in addition to beneficiary enterprise, executing enterprise, DGDC into undergoing SME design support projects in Daegu Gyeongbuk Design Center. And membership (Design Membership) is suggested in this paper in order to support professionals development issue and the lack of manpower which is the biggest problem in Daegu Gyeongbuk. The roles of Agency for the Promotion of Industrial Design are not limited to supporting companies' designs and fostering design manpower. It should lead tasks which can't be done in private sector and expand new concepts and trends so as to cover local demerits. It should attract excellent manpower to the areas. Through these studies and suggestions on design promotion models, it is expected to be base for specific studies on promotion models along with design industries researches in Daegu, Gyeongbuk.;디자인의 영역이 새롭게 정의되기 시작하면서, 기술 혁신과 산업간 융합이 가속화 되고 공공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이 주목받고 있다. 또한 사용이 편리한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3D프린터의 보급으로 일반인들이 스스로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 사용 할 수 있게 되면서 디자인 전문 기업은 더 높은 수준의 디자인 개발 역량과 더불어 디자인 전반에 걸친 통합디자인 컨설팅 서비스의 능력을 요구받고 있다. 정부에서는 시장의 흐름에 맞추어 꾸준히 디자인 정책을 시행해 왔으며, 1970년 한국디자인 포장센터를 설립하여 포장디자인을 통해 수출 증대를 도모한 것을 시작으로 한국디자인진흥원이 현재의 모습을 갖추고 디자인 진흥사업을 중점적으로 시행하게 되기까지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정부는 디자인 혁신센터(DIC : Design Innovation Center)와 지역디자인센터(RDC : Regina Design Center)들을 디자인 진흥정책의 거점으로 삼아 꾸준히 디자인 진흥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지역별로 산업군과 디자인 시장의 규모가 상이하므로 지역디자인센터별로 지역 성격에 맞는 운영을 할 필요가 있다. 대구·경북 지역의 경우, 1인당 소득 및 지역 총 생산이 주요 광역 지자체 중 가장 낮은 수준이며, 20~30대 디자인 우수 인력들의 수도권 유출이 심한 지역으로 일반 중소기업 및 산업단지에 입주한 중소기업들의 디자인 수요가 꾸준히 있는 편이나 디자인 전문회사의 영세화와 역량 부족으로 정부의 지속적인 기업 디자인 지원과 인력양성 지원 등이 필요하다. 대구경북디자인센터(DGDC : Daegu Gyeongbuk Design Center)에서 추진한 대구·경북지역 디자인 산업에 대한 연구 내용과 진행 중인 사업들을 바탕으로 현재 대구경북 디자인 산업의 현실을 파악해 볼 필요가 있겠다. 세계 경쟁시대에 걸 맞추어 세계 디자인정책의 현황을 파악하고 일본의 도야마 현 디자인센터(Toyama Design Center), 독일의 베를린 디자인센터(IDZ-Internationales Design Zentrum Berlin), 덴마크의 덴마크 디자인센터(DDC : Danish Design Center)의 운영 사례 조사를 통해 이들의 디자인 진흥 모델을 살펴 봄으로써 대구경북지방의 디자인 진흥 모델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도록 하였다. 이들은 예산 출처는 다양하나, 직접적인 기업의 지원 보다는 디자인 민간의 디자인 의식 확산에 최선을 다 하고 있으며, 각 센터들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디자인’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진 이들이 모이게 하는 중재자이자 플랫폼 역할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대구경북디자인센터에서 중점적으로 진행 중인 중소기업디자인 지원 사업에 수혜기업, 수행기업, 주관기관(DGDC)외에도 디자인 전문 인력을 투입하는 4자 계약 방식으로 사업의 수정 모형을 제안하고, 대구경북지방의 가장 큰 문제인 인력부족현상과 전문 인력 양성의 문제에 도움이 되고자 디자인 멤버쉽(DGDC Design Membership)을 제안 하는 것으로 논문을 마친다. 디자인 진흥기관의 역할은 기업의 디자인 지원과 디자인 전문 인력의 양성 뿐만은 아니다. 민간에서 하지 못하는 일들을 선도해 나가고 지방의 약점 보완을 위해 새로운 개념 및 트렌드의 확산에도 힘써야 할 것이며, 우수한 인재를 다시 지역으로 끌어 들일 수 있어야 한다. 이 디자인 진흥 모델 연구와 제안을 통해 대구·경북지역의 디자인산업의 조사와 더불어 진흥 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시작되는 발판이 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