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미술관 미술치료의 정서 함양 효과 연구

Title
미술관 미술치료의 정서 함양 효과 연구
Other Titles
미술관 미술치료의 정서 함양 효과 연구
Authors
고신영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재경
Abstract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a preventive level of an art therapy designed to the images and characteristics of a museum, not a treatment level of, and the art therapy was performed to a total of six patients, four women and two men, classified as normal children, pregnant teenagers, and adults under usual high stress. The study period was from August 1st, 2013 to October 20th, 2013, and the whole program consisted of 8 sessions, each of which included 50 minutes pre and post session performances. During the control period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s provided a place in their home while the experimental period was conducted in the sculpture park of open-air museum, and co-therapist in observing role participated. This study is performed through an integrated method based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validation in order to verify if an art therapy performed in a museum is effective to general public as a preventive art therapy. The program performed by The Korean Guidance was us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as a measurement tool of the quantitative test, depression test, emotion stability test, and self-esteem test were examined for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period separately. HTP, PPAT was examined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and a qualitative change was also analyzed for a control and experimental period respectively. In order to verify the objectivity of the qualitative analysis, it was planned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the art therapist, and the post-program satisfaction level and the in-depth questionnaire result were also analyzed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ventive art therapy showed a reduction in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period than the control period for the research group. Second, the preventive art therapy showed an increase in 'emotional stability' in the experimental period than the control period for the research group. Third, the preventive art therapy showed an increase in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period than the control period for the research group. Fourth, the result investigated qualitatively through a control and experimental period respectively in preventive respect revealed that the art therapy in the museum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showed more positive effect in the research group than that performed at home during the control period. Thus proved that the art therapy in the research group in terms of preventive level showed more positive effect in the experimental period than the control period, and during this test, it is learned that controling emotion and easing stres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research group by visually expressing the inner fears and emotion which can not be verbally expressed. As a result, the art therapy in a museum promoted a self-efficacy in this autonomous space without being conscious of the public eye in a relaxing and comfortable atmosphere. Therefore, it is proved that the art therapy in a museum helps improving an emotional function as a part of an educational service for a local society. ;본 연구 대상은 미술관 이미지와 특성에 맞추어 치료 차원의 미술치료가 아닌 예방적 차원의 미술치료로서 평소 스트레스가 많은 일반 아동, 청소년 임산부, 성인으로 구분지어 선별 하였으며 여성 4명, 남성 2명, 총 6명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시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8월 1일부터 10월 20일까지이며 전체 프로그램은 1회기마다 50분간 사전, 사후 포함하여 총 8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과정에서 통제기간은 연구자의 집에서 장소를 제공하였고 실험기간은 야외 미술관 조각공원에서 실시하였으며 관찰 역할 협력치료사 1명이 함께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미술관에서 시행하는 미술치료가 일반인에게 예방적 미술치료로서 효과가 있는지 입증하기 위해 정서변화에 대한 수치 평가와 함께 질적 평가를 바탕으로 통합적 방법을 통하여 시행하였으며 수치 평가의 결과는 한국 가이던스에서 시행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측정도구로 우울증검사, 정서 안정성 검사, 자아 존중감 검사가 통제기간과 실험기간을 구분하여 검증되었다. 질적 분석으로 HTP, PPAT를 검사하였으며 질적 변화 또한 통제기간, 실험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질적 평가에 대한 객관성을 입증하기 위해 미술치료사의 검증을 받아 분석을 도모하였으며 사후 프로그램 만족도와 심층 면접지 결과도 함께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방적 차원에서 실시한 미술치료가 연구 집단에게 ‘우울증’에서 통제기간보다 실험기간동안 ‘우울증’이 감소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둘째, 예방적 차원에서 실시한 미술치료가 연구 집단에게 ‘정서안정감’이 통제기간보다 실험기간동안 ‘정서안정감’이 높아졌음을 나타내었다. 셋째, 예방적 차원에서 실시한 미술치료가 연구 집단에게 ‘자아존중감’이 통제기간보다 실험기간동안 ‘자아존중감’이 높아졌음을 나타내었다. 넷째, 예방적 차원에서 통제기간과 실험기간을 나누어 HTP, PPAT검사를 실시하여 질적으로 검증한 결과 연구 집단에게 통제기간보다 실험기간 즉, 집에서 실행하는 미술치료보다 미술관에서 실행하는 미술치료가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예방적 차원에서의 미술치료가 통제기간보다 실험기간동안 연구 집단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증명하였으며, 이 검사에서 연구 집단은 언어적 수단을 통해서는 표현할 수 없는 내면적 감정과 두려움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서 감정의 조율성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데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미술관에서 시행하는 미술치료는 남의 눈을 의식하지 않고 편안하고 쾌적한 분위기 속에서 자신의 내면을 통찰함과 동시에 이러한 자율적인 공간에서 자기 효능감 또한 증진시켰다. 이로서 미술관에서 시행하는 미술치료는 지역사회를 위한 교육 서비스의 일환으로서 정서적인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됨을 입증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