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9 Download: 0

민화 모티브를 활용한 쥬얼리 브랜드 개발 전략

Title
민화 모티브를 활용한 쥬얼리 브랜드 개발 전략
Other Titles
A study on brand development strategy of Fork painting motif Jewelry
Authors
주한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재경
Abstract
문화산업의 시대가 왔다. 문화 산업이 강조되면서 한국적 디자인을 찾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최근 K-DESIGN이란 말이 떠오르며 사회적으로는 서바이벌 TV프로그램으로 만들어져 한국적 디자인 찾기에 고심을 하고 있다.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는 K-DESIGN의 의미를 ‘한국의 디자인 정체성(한국다움, Koreanness)이 조화롭게 구현된 국내외에서 기획·생산되는 모든 우수 디자인’이라고 정의한다. 여기서 말하는 한국의 디자인 정체성이란 한국의 미적·철학적 DNA와 현재 세계인이 인지하고 있는 한국 디자인의 특성이다. 물론 전통문화에 대한 답습이 아닌 현대의 새로운 트랜드와 접목하여 현대적인 미와 전통의 미가 조화를 이룬 독창적인 디자인을 말함은 모든 디자이너들의 공통된 생각이라 여겨진다. 그러나 현재 한국적 이미지를 살린 제품들은 획일화되고 국적이 불분명한 제품들이 대부분이어서 두 가지 모두 한국의 문화가 저평가 되는 계기가 되어 진다. 쥬얼리 또한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브랜드 상품들이 많아지고 해외 수입 브랜드들로 더욱 다양화 되고 있지만 한국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제품들은 매우 적고 민화를 소재로한 쥬얼리는 더욱 보기 어렵다. 쥬얼리는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서 선물로써의 가치가 높으며 다른 산업분야 및 특정 요소와의 접목이 용이한 상품으로 최근 들어 기능성이 추가된 쥬얼리나 스토리텔링이 가미된 쥬얼리 등이 주목 받고 있다. 민화는 과거 조상들의 생활과 밀착되어 진솔한 삶의 모습이 다양한 소재와 화법으로 표현되어진 아름다운 그림이며 전통회화의 격식을 차린 그림이 아니라 자유스런 마음의 표현이기에 더욱 친근감 즉 ‘정’이 느껴지는 전통 이미지라 할 수 있다. 그러기에 민화를 바라보는 현대적 의미는 한국적인 정서와 이미지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화의 다양한 소재적 특성, 색체의 특성을 살려 독특하고 심미성, 실용성을 가지며 기계화 된 공정과정을 통한 쥬얼리 상품을 제작하여 디자인 경쟁력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 시키려 한다. 이것은 한국의 고유문화를 감성적으로 느낄 수 있으면서 현대적인 감각이 살아있는 쥬얼리 브랜드를 개발하여 내부적으로는 한국적 이미지 쥬얼리 브랜드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고 외부적으로는 한국의 브랜드의 가치를 보여줄 수 있는 쥬얼리 브랜드를 개발하여 한국의 국가 이미지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The era of cultural industry has come. As the cultural industry is emphasized, the activity of looking for Korean design is active. As the word K-Design booms recently, A survival program is also made about it socially and they are looking for Korean-like design painstakingly. The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defined K-Design as 'all the excellent designs in which the Korea's design identity (Koreanness) is planned and produc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Korean Design's identity here is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aesthetic and philosophical DNA and the Korean design recognised currently by the world people. It is the common idea of all the modern designers that it means the unique design where the more modern beauty and traditional beauty are in harmony by grafting the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new trends not by only simulating the traditional culture. However, as products which revive the current Korean image is unified and the nationality of most of the products are unknown, these two elements become opportunities for the Korean culture to be underestimated. As for the jewellery also, the number of brand products developed domestically becomes high and they are becoming even more various with the imports of foreign brands. But, the number of products which have Korean image is very little and the jewellery of which the material is folk painting can more hardly be seen. Accordingly, various products which show the unique Korean culture should be developed. Development of products and brands where the unique cultural and traditional emotions of our country and the refinement of Modern Korea co-exist. In line with this situation,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jewellery brand by selecting folk painting of which the characteristic is its unique color since its material is various among the traditional images studied so far in the precedent studies. The study intends to improve the design competitiveness and product's quality by producing the jewellery products through the process procedure which is unique and has aesthetics and practicality by reviving the various material and color characters of the folk paining. This i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Korea' national image by developing the jewellery brand which can develop the new market of Korean image jewellery brands internally and can show the value of Korean brands externally by developing the jewellery brands in which the unique Korean culture can be felt emotionally and the modern viewpoint is al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