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선-
dc.contributor.author이영지-
dc.creator이영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6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9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6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액티브 시니어의 스마트폰 활용 행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고령화 사회의 시니어 계층은 주요 소비자 계층으로 급부상 하여 민영기업뿐만 아니라 공공부문에서도 시니어 계층을 타깃으로 한 제품과 서비스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스마트폰 시장은 성숙기에 접어들어 시니어 계층도 스마트폰 유저로 빠르게 흡수되고 있다. 시니어 계층 중 액티브 시니어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하며 경제적으로도 안정된 계층으로서 모든 소비의 중심이 IT 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현 시점에서 액티브 시니어의 심리적, 기능적 니즈에 부합 하는 IT 제품과 서비스는 각 기업의 성장에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기존의 연구들은 전통적 시니어와 액티브 시니어를 시니어라는 하나의 타깃으로 가정하여 연구한 사례가 다수를 차지하며 사용 기능 면에 있어서는 시니어 계층은 통화, 문자, 주소록 등의 기본 기능을 위주로 사용한다는 전제 하에 기본 기능에 한정하여 조사한 사례가 많았다. 또한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들이 주로 시니어 계층의 신체적인 제약 사항에 기반을 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현대는 과거와는 달리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시니어 계층이 두터워졌고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인해 전통적 시니어와는 다른 성향의 액티브 시니어 계층이 형성되었으며 전체 시니어에서 액티브 시니어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들은 전통적 시니어와 달리 부가기능과 다양한 다운로드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대한 니즈가 높고 신체적 기능 저하에 관한 차별 점 보다 정신적, 심리적 차이점이 더 많다. 이렇듯 시대의 변화와 인구 구성비의 변화에 따른 타깃의 세분화를 통해 액티브 시니어의 스마트폰 활용 행태를 조사하는 것은 급격한 고령화가 시작되고 스마트폰의 성숙기에 접어든 현재의 시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귀납적 방법을 이용한 정성적 조사(질적 연구)로 진행 하였다. 신체적·정신적 건강, 경제력, PC의 활용도, SNS의 활용도, 스스로를 젊다고 느끼는지 등을 기준으로 액티브 시니어 조사 대상자를 선정하고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 관찰(Observation), 맥락적 연구(Contextual inquiry)를 통해 니즈 항목을 발견하였으며 친화도법(Affinity Diagramming)을 이용하여 관찰한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데이터는 유사성을 기준으로 핵심니즈에 따른 키워드 추출, 소비자 가치를 기준으로 기능적 가치·심리적 가치·심미적 가치 로 분류하였고, 맥락에 따른 니즈를 기준으로 사용자 맥락·사회적 맥락·상황적 맥락으로 분류하였다. 데이터의 분석 결과 액티브 시니어는 특히 심리적 가치와 사회적 맥락을 중시하였고 모든 면에서 젊은 사람들과 동일하게 사용하기를 원했다. 신체적 기능이 저하되긴 했지만 미약한 수준으로 신체적 제약사항이 큰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그 외에 기능적 가치와 사용자 맥락, 상황적 맥락에서의 니즈는 2-30대의 젊은 층의 니즈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모바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해서는 첫째, 전통적 시니어와 액티브 시니어를 완전히 다른 사용자로 구분하여야 한다. 신체적 기능 저하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정신적 가치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액티브 시니어의 니즈를 발견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둘째, 젊은 사람들과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여야 한다. 스스로를 젊다고 느끼기 때문에 노인용이라는 경계가 없는 탈(脫)실버화를 추구해야 한다. 셋째, 심미성에 집중하여야 한다. 세련되고 중후한 멋을 추구하여 지나치게 큰 폰트나 아이콘 사이즈로 심미성을 저해하지 않아야 한다. 넷째,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네비게이션, 사진, 여행, 공공서비스, SNS 등의 액티브 시니어의 활용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에 집중하여야 한다. 다섯째, 서비스 디자인과의 연계를 통해 스마트폰의 원리 이해와 학습을 할 수 있는 서비스 라운지를 제공하여야 한다. 모바일 기기에만 한정된 경험 디자인이 아닌 사용자의 환경과 심리적 니즈까지 고려한 확장된 개념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confirm how the active seniors use their smart phones. A senior stratum in an aging society rapidly rose as a mainstream consumer group, and both private enterprises and public sectors are actively making a research on a wide range of products and services targeting this class. As a smart phone market reaches maturity, a senior stratum is being included as a smart phone user quickly. Active seniors among them are in good physical and mental health. Also they have gained financial stability. Now that IT is central to every consumption, IT products and services in accord with psychological and functional needs of active seniors have a significant meaning for a company growth. Many existing studies supposed that conventional seniors and active seniors are one type of target called seniors and they premised that a senior stratum mainly uses basic functions including calls, text messages and address books as well as limited lists of used func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most cases are based on physical limitations of a senior stratum. However, as today, unlike the past, is changing into an aging society, this class became stronger. Also, active seniors emerged with a different tendency from conventional seniors and the percentage of them is growing. Unlike conventional seniors, they have high needs to use added functions and various download applications, and there are more mental and psychological differences rather than differences related to physical ability reductions. Thus, with target segmentation depending on the change of time and population ration, researching a smart phone utilization style among active seniors plays a major role at this point when the population is aging rapidly and smart phones reach matur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inductive method.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economic power, PC utilization, SNS availability, and the feelings that they thought they are young. Then we figured out needs items through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s, and contextual inquiries and classified data observed with affinity diagramming. Data was classified as functional values, psychological values and aesthetical values based on similarity and keyword extraction, consumer values according to core needs. It was sorted into user contexts, social contexts and conditional contexts focused on needs by contexts. The result showed that active seniors were more concerned with psychological values and social contexts especially and they wanted to use phones equal to the young in all aspects. Even though their physical abilities declined a little, physical limitations were not a big problem. Except for that, the needs in functional values and user contexts and conditional contexts was almost the same but on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young in their 20s and 30s. Therefore, to design a mobile user experience for active seniors, first, we have to separate conventional seniors and active seniors as complete different users. We should try to find needs of active seniors in mental values and social contexts instead of focusing on physical ability reductions. Second, We have to provide a user experience like young people equally. We have to pursue desilverization without boundaries for the elderly because they feel young about themselves. Third, We should pay attention to aesthetic. We should not hamper aesthetic due to its overlarge font or an icon size to show an elegant and solemn style. Fourth, We should focus on a linkage between various applications. We should concentrate on well-used applications by active seniors including navigations, photos, trips, public services and SNS. Fifth, we should offer service lounges which are almost everywhere to understand and learn the principle of smart phones through the connection with a service design. We should supply an extended user experience concept which considers not a limited experience design of a mobile device but psychological needs as well as user environ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A. 고령화 사회와 액티브 시니어 4 1. 고령화 사회의 특징 4 2. 액티브 시니어의 라이프스타일 8 B. 시니어의 스마트폰 사용 행태와 시니어를 위한 휴대폰 15 1. 시니어의 스마트폰 사용 행태에 관한 선행연구 15 2. 시니어를 위한 휴대폰과 애플리케이션 20 가. 시니어를 위한 피처 폰 20 나.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폰 23 다. 시니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28 B. 사용자 경험디자인과 맥락적 연구방법 29 1. 사용자 경험디자인 29 가. 사용자 경험디자인의 개념 29 나. 사용자 경험디자인의 요소 35 2. 맥락적 연구(Contextual Inquiry) 40 Ⅲ. 액티브 시니어의 스마트폰 사용 행태 조사 46 A. 사용자 조사 개요 46 1. 조사의 목적 46 2. 조사의 설계와 대상자의 선정 47 3. 조사의 진행 48 B. 사용자 조사 결과의 분석 및 해석 50 Ⅳ.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모바일 사용자 경험 디자인 전략 60 Ⅴ. 결론 71 A. 연구결과 요약 71 B. 향후 연구과제 72 참고문헌 73 부록-1. 심층인터뷰 대상자 선정을 위한 설문지 77 부록-2. 인터뷰 참여 동의서 79 부록-2. 인터뷰 내용과 분류 항목 80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607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모바일 사용자 경험 디자인 전략-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맥락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Mobile User Experience Design Strategy for Active Seniors-
dc.creator.othernameLee, Young Ji-
dc.format.pagex,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