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종훈-
dc.contributor.author임소희-
dc.creator임소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3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9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388-
dc.description.abstractDue to recent population aging and Westernized eating habits and life style changes, prevalence of chronic metabolic diseases are on the rise. According to the Diabetes Association, number of domestic diabetics is 3.2 million in 2012, is steadily increasing and is estimated to double in number by the year 2050. The concept of diabetes treatment is not to cure it but aims to control it through administration of medications, diet control, and exercise to maintain the patient's health close to the healthy state. However, lack of continual management of blood glucose level will lead to poor quality of life due to complications and in severe cases,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itself so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mplications are vital. Diabetic patients record their daily lives in a note book and receive medical diagnosis based on this recording.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erms of portability and usability. On this note, u-health care service, a remote medical care service that fused IT solution and medical service, began to develop in full scale following the amendment of medical law allowing doctor-doctor telemedicine in 2006. In addition, improved living standard and evolution into user centered active service led the patients to expect more complex and high quality medical service in prevention methods, treatments and prescriptions. To meet this expectation, various glucose management applications using mobile service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Glucose management method using mobile equipment allows diabetics to enjoy portability as well as easier and quicker personalized access to medical expertise. Above all, in terms of patients, it is positively accepted due to the fact that it can deliver immediate feedbacks and quick response in case of an emergency. However, since most of the glucose control applications on the market are oriented around the convenience of a medical personnel due to the lack of research on usability, and the patients tend to use the application for a short time, eventually discontinuing the use. These problems are closely related to the user's health; therefore it is far more important to analyze the demands and the needs of the us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tuitive and trustable interface to induce aggressive blood sugar management in order to supply individual customized medical service to the users. Through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test subjects were understood and four different blood sugar management applications, both domestic and foreign, were selected and analyzed. After careful analysis, deduction was made that the vulnerable point was the alarm function based on simple text and used it as an opportunity point to conduct the study of alarm center method. Then, a usability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survey, in-depth 1:1 interview and interviews with the experts, arriving at a conclusion that the "motivation" factor was the core need of improvement to the alarm center.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new Lifestyle M 'Alarm Center' that provides user-friendly complex medical service to suggest exercise and education videos considering the patients diet and physical state as well as their environment, through built in search engine. Lifestyle M ‘Alarm Center’enhances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giving immediate response to the patient’s condition and proposes specific managements plans accordingly, allowing the patients to acquire information more quickly and easily. Especially by notifying the possibility of hypoglycemia, considered as an emergency to diabetic patients, to the patients, it allowed the patients to prevent an emergency situation as well as heightening the trust by providing diabetic information and news through certified institutions. Lastly, through three of the diabetic patients, who had complained of discomfort with using existing applic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 the usability of Lifestyle M's "Alarm Center" was evaluated and verified. Through improved alarm center, it was verified that the patients were assessed to naturally change their eating and exercising habits, and the fact of receiving sense of mental security that they are able to receive medical care any time anywhere, was highly rated.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o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future medical and IT convergence for patients of diabetes.;인구 고령화 및 서구화된 식습관, 생활습관 변화 등으로 인해 만성대사성 질환의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대한당뇨학회에서는 2012년 국내 당뇨병 환자 수는 약 320만 명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2050년에는 지금보다 약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발표하였다. 당뇨병 치료는 완치의 개념이 아니라 약물, 식이조절, 운동 등 꾸준한 관리를 통해 건강한 상태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계속하여 당뇨병 치료, 즉 혈당관리를 하지 않으면 합병증 발생으로 인해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고 심하면 생명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 조기 발견과 치료, 합병증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당뇨병 환자들은 일상생활의 전반을 수첩에 기록하고 이를 참고하여 의료진에게 진단을 받았으나 이러한 방식은 휴대성과 사용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 의료진-의료진 간의 원격진료가 허용되는 의료법이 개정되면서 IT솔루션과 의료서비스를 융합한 원격의료 u-헬스케어서비스가 본격적으로 발전되기 시작하였다. 더불어 생활수준 향상과 사용자 중심의 능동적인 서비스로 진화하면서, 예방·진료·치유·처방·관리 등 복합적인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모바일을 이용한 혈당관리 앱의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모바일을 이용한 혈당관리 방식은 휴대성뿐만 아니라 개인화된 의료 전문지식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무엇보다 환자 측면에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과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출시된 대부분의 혈당관리 앱은 의료진 편의중심의 시스템, 사용자에 대한 연구부족으로 인한 사용성 문제 등으로 인해 단기성에 그치거나 사용이 중단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사용자의 건강에 매우 밀접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용자 요구와 필요성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직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적극적인 혈당관리를 유도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정보를 통하여 연구의 대상을 이해하고, 4종의 국내·외 혈당관리 앱을 선별하여 면밀히 비교·분석하여 기회요소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단순한 텍스트 위주의 알람기능이 취약했고, 알람센터 기능을 앱 개선의 기회요소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와 1:1 심층 인터뷰, 전문가 인터뷰 순으로 사용자 조사를 실시하여 ‘동기부여’의 문제가 알람센터 개선을 위한 핵심 니즈로 도출되었다. 연구의 주안점을 둔 점은 기존의 단순 알람 방식이 아닌 검색 기능을 통한 식습관 개선 및 신체 상태와 환경을 고려한 동영상 운동교육 등 사용자 친화적인 복합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Lifestyle M ‘알람센터’를 새롭게 제안하는 것이다. Lifestyle M ‘알람센터’는 환자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이에 따른 구체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며, 의료진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높여 쉽고 빠르게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당뇨병 환자의 응급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 저혈당의 가능성을 사전에 알림으로써 응급상황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인증된 기관에서의 당뇨 정보와 소식을 받을 수 있도록 신뢰도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1:1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불편을 호소하였던 당뇨환자 3명을 대상으로 Lifestyle M의 '알람센터'의 사용성 평가 및 검증 하였다. 그 결과 개선된 알람센터를 통해 자연스럽게 식습관, 운동습관이 변화할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언제 어디서나 의료진의 케어를 받을 수 있다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준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당뇨병 환자들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미래 의료IT융합 개발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2 Ⅱ.이론적 배경 3 A.u-헬스케어 서비스 3 1.u-헬스케어의 정의 3 2.u-헬스케어 산업의 종류 5 3.국내외 u-헬스케어 현황 7 4.u-헬스케어서비스의 문제점 10 5.의료용 모바일 앱 정의 12 B.당뇨병 13 1.당뇨병의 정의와 현황 13 2.혈당 관리의 필요성 15 Ⅲ.당뇨관리 환경 분석 17 A.당뇨병 수첩을 이용한 전통적 혈당관리 방식 17 B.모바일 앱을 이용한 혈당관리 방식 18 C.혈당관리 모바일 앱 분석 19 1.정보구조 비교분석 20 2.TaskFlow 비교분석 24 3.Look&Feel비교분석 27 4.앱 마켓 사용자 후기 조사 28 5.적극적인 혈당관리를 위한 기회요소 30 Ⅳ.사용자 조사 31 A.설문 조사 31 1.조사 대상 모집 및 수행 31 2.조사 방법 31 3.조사 결과 31 B.1:1사용자 심층 인터뷰 37 1.1:1심층 인터뷰 대상 모집 및 수행 37 2.1:1심층 인터뷰 조사 방법 37 3.1:1심층 인터뷰 수집 항목 38 4.1:1심층 인터뷰 결과 및 분석 39 C.전문가 인터뷰 42 1.전문가 인터뷰 참여 대상 모집 및 수행 42 2.전문가 인터뷰 내용 수집 및 항목 42 3.전문가 인터뷰 내용 43 4.전문가 인터뷰 결과 및 분석 44 D.사용자 조사 종합 결론 45 Ⅴ.Persona제작 46 A.Persona1 47 B.Persona2 48 C.Persona최종목표 49 Ⅵ.앱 기획 및 평가 50 A.앱 목표 50 B.앱 concept 50 C.InformationArchitecture 51 1.메뉴 구조 51 2.UseFlow 52 D.프로토타입 제작 56 1.상세 화면 설계 56 E.사용성 평가 및 검증 59 1.평가 내용 및 방법 59 2.평가 결과 및 검증 59 Ⅶ.결론 및 제언 62 참고문헌 64 부록 66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685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혈당관리를 위한 모바일 앱 UI 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동기부여를 강조한 알람센터 방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Mobile app UI Design for Glucose Management : Focusing on Motivation Emphasized Control Alarm Center Method-
dc.creator.othernameLim, So-hee-
dc.format.pagex,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