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서울시 마을버스 외관디자인 연구

Title
서울시 마을버스 외관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xterior Design of Seoul Town Bus
Authors
김미경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인성
Abstract
산업의 급속한 발전은 공업화, 정보화, 도시화라는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고 이와 함께 도시가 발전하고 인구가 늘어나면서 대중교통도 함께 발전했다. 대중교통은 도시 속을 달리는 교통수단으로서 도시 환경의 일부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이 중 특히 버스는 시민의 이동을 책임지는 기능과 더불어 도시의 움직이는 환경요소로서 그 도시에 머무르는 사람들에게 미치는 시각적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버스는 그 도시를 대표하는 교통수단일 뿐만 아니라 상징적 의미로서 그 가치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버스 디자인은 도시를 대표하는 하나의 이미지로서 도시경관을 크게 좌우한다. 따라서 버스는 지역도시의 정체성을 지녀야 하며, 여러 시설물들과도 서로 조화로운 모습을 보이는 마을버스 외관디자인이 필요하다. 버스는 불특정 다수의 일반 시민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 중 하나로 지하철과 함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마을버스는 1982년부터 주로 시·군·구의 도시지역에서 시내버스 및 철도 등 대중교통 서비스가 제공되기 어려운 변두리 및 교통사각 지대를 중심으로 불특정 다수인 일반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수단으로 한정면허의 형태로 운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마을버스는 시내버스와 더불어 대중교통의 한 축으로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마을버스의 외관은 지선버스의 보조역할을 수행한다 하여 초록색의 동일한 색상과 외관으로 정체성이 상당히 모호하며 상징성도 없을 뿐만 아니라 서울시 도시 환경과도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 마을버스는 지선버스를 보조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지만 일반버스가 운행하는 노선에서 거리가 먼 지역, 오르내리기 힘든 고지대, 일반버스가 다니지 않는 지역 등 이른바 일반버스 노선의 틈새 구역을 운행하거나 일반버스와 지하철을 연계하는 수단으로도 이용된다. 또한, 기본적으로 일반버스와 경합하지 않는 노선을 운행하기 때문에 일반버스가 운행하기 어려운 대중교통 취약지구를 중심으로 일반 시민들의 교통편의 증진과 이동권 확보 차원에서 운행되는 대중교통수단으로 그 특수성을 가지고 운행되고 있다. 하지만 마을버스는 개인사업자인 여러 운수회사를 통해 운행되고 있어 각기 다른 버스 외관디자인이 적용되고 있어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마을버스라는 뚜렷한 특수성을 가지고 운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버스만의 상징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근본적으로 지선버스와의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 문제점이다. 또한 과도한 색채의 광고물이 버스 외관 색채와 조화롭지 못하고, 각 자치구의 마을버스마다 폰트의 종류와 크기가 상이하게 적용되어 가독성과 시인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정보성이 중요하게 요구되는 버스의 특성상 그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고 있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큰 불편을 주고 있으므로 레이아웃의 정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서울시 마을버스만의 시각적 정체성과 상징성을 표현하는 외관디자인의 개선이 요구된다. 서울시 마을버스 외관디자인 개선을 통해 서울시 도시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더 나아가 서울시 도시브랜드 강화에 긍정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서울시 마을버스 외관디자인 개선으로 일반 시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보다 나은 서울시 마을버스로서 그 외관디자인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한다.;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dustry brought industrialization, informatization and urbanization, a big chang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ity. The population has grown as well, increasing public transportation. Public transportation running in the city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is a factor that is part of the urban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movement of the bus, which is responsible for moving people staying in the city, with the function as environmental factors, or its visual impact that influences the citizen of the city can be very large. That bus is not only the transportation on behalf of the city, but also the value as an important symbolic meaning to. And a bus design as an image to represent the city greatly influences the urban landscape. Thus, buses should possess and also the identity of cities. A town bus requires exterior design that also look harmonious with many other facilities. Buses used by unspecified number of the general public are responsible for a pivotal role as one of the public transportations. Since 1982 town buses have been provided in urban areas, city, county, ward where bus and rail public transport services are not reached because of the hard outside and transportation center of the blind spot as the format service for an unspecified number of the general public to use public transport to the limited license. Although the town bus is the representative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to the axis of bus transportation with city bus. The green identity of the town bus is quite ambiguous without any symbolism and also does not form coordination with the urban environment. Town bus in Seoul is not only to assist in the branch, but also serve as a regular bus service on routes to distant areas, making a tough hill climb, where regular local bus service not provided. And it is also used as a means of connection with the subway or regular bus service. Also, not competing with regular bus routes town bus runs regular bus service where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vulnerable citizens for geocentric enhancement of the transport service in terms of ensuring that the movement rights public transport service, which is the particularity it has. But the private operators of local bus transportation company with several different bus service cause a lack of consistency of the exterior design. In addition, as we have seen, although the local bus service has a distinct uniqueness and symbolism, despite the formation of a local bus, but do not fundamentally Green Bus and the big difference is that there is no problem with that. A bus advertisement does not harmonize with the excessive appearance of color hues. Each borough's town bus has every type and size of the font which is applied differently interferes with the readability and visibility which is importantly required. Because the informational requirements of the bus and it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re considerably reduced giving great inconvenience to the user, which make the theorem of the visual layout necessary. Thus, by improving these problems, Seoul, village bus requires the visual identity and symbolism to express the exterior design improvements. Through improved local bus exterior design in harmony with the Urban Environment, it will be a great chance for promoting the positive effects in strengthening Seoul city brand. Through this study with the exterior design improvements, Seoul village bus takes the opinions of ordinary citizens, and conducts field research by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actual situation ultimately in order to prepare the exterior design improve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