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인성-
dc.contributor.author이송아-
dc.creator이송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50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8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5086-
dc.description.abstract세계 여러 나라들이 국가 이미지 향상과 관광객 유치를 위한 관광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하여 지역 문화산업을 중심으로 문화전략을 시도하고 있다. 산업화 이후 지역 경제의 쇠퇴를 극복하고 지역의 활성화와 경제적 이윤 추구를 위해 생겨난 축제가 그 문화전략 중 하나이다. 축제는 투입된 비용보다 많은 이윤을 얻을 수 있는 문화산업으로, 경제적으로는 지역의 경제 발전 및 일자리 창출의 기회를, 사회적으로는 지역사회의 단합을, 문화적인 면에서는 토착 문화의 발굴 및 발전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1995년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축제의 수와 규모가 급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1000여개나 되는 우리나라 축제 대부분이 지역 고유성을 나타내고 있지 못하고, 비슷한 축제나 모방 축제가 생기면서 지역 간의 갈등, 예산 낭비라는 비난을 받고 있으며 ‘축제 무용론‘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축제들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축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축제를 ‘브랜드’화하여, 타 축제와 차별되는 그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중심으로 축제 이미지를 확립하고, 이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축제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축제와 축제브랜드의 개념에 대해 고찰하여 축제브랜드 디자인의 표현특성을 도출하였고, 이를 축제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가치 평가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서울등축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하여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 1장 축제와 축제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축제브랜드가 축제의 속성인 ‘일탈성’, ‘지역성’, ‘대동성’, ‘상호작용성’과 축제의 표현적인 특성인 ‘비전 전달력’, ‘고유·독창성’, ‘체험·유희성’, ‘관계성’, ‘조형성’과 긴밀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토대로 축제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축제브랜드 사례 조사를 통해 디자인 시스템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디자인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제 2장 서울등축제 일반현황과 디자인 현황을 분석하여 디자인 시스템 측면과 축제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의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서울 거주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서울등축제 브랜드 아이덴티티 인지도 및 이미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축제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전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제 3장 서울등축제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여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축제디자인 가이드북을 디자인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서울등축제 브랜드의 문제점을 통한 개선 방향은 아래와 같다. ➀ 서울등축제는 축제의 역사적 당위성을 제시하여야 한다. ➁ 축제브랜드 네임에 당위성을 제시하여야 한다. ➂ 서울등축제는 명확한 컨셉을 제시하여야 한다. ➃ 서울등축제를 표현할 수 있는 상징적 요소 제시하여야 한다. ➄ 기본 디자인 요소를 제시하여 일관되고 통일된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⑥ 앞에서 구축된 디자인 시스템으로 통해 디자인 가이드북을 제시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서울등축제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해서 축제브랜드 표현특성인 ‘비전 전달력’, ‘고유·독창성’, ‘체험·유희성’, ‘관계성’, ‘조형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아이덴티티의 본질과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확립 방안을 도출해 보았다. 첫째, 축제브랜드의 비전 및 컨셉을 축제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통해 선정해야 한다. 둘째, 축제브랜드 아이덴티티는 축제의 고유․독창성을 표현하여야 한다. 셋째, 축제브랜드는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해 일관성 있고 통일된 디자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넷째, 축제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유지와 브랜드 관리자를 위해 디자인 가이드북이 제시되어야한다. 이러한 축제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 방안을 통해 지속적인 축제브랜드 관리를 유지한다면 축제브랜드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등축제 디자인 전략 연구를 통하여 다른 축제브랜드의 아이덴티티 확립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서 나아가 연구자의 연구가 국내 축제 문화 발전에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A lot of countries in the world have tried cultural strategies centering on local cultural industries in order to grow up tourism industry for inducing tourists together with national image elevations. Festivals occurred to pursue local revitalization and economic profits by recovering declines of local economies after industrialization, Festivals belong to cultural industry that can more profits than inputted expenses, and are being developed centering on local governments in that they provide opportunities of local economy development and job creation from economic aspects, unity of local society from social aspects, and excavation of indigenous culture and its development. In our country, festival numbers and scales were increased rapidly centering on local governments in 1995. However, most festivals in Korea corresponding to nearly 1,000 ones did not express local uniqueness, and got blames like regional conflicts or budget waste while similar or imitating festivals came to the front, and thus ‘Festival uselessness’ is being proposed actually. So, establishing festival brands centering on unique culture and tradition of the region itself and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festivals are required by making the festival to ‘branding’ in order to activate the festival and relieve conflicts between festivals. And then, strategies for setting up festival brand identity strategically are necessary too.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inducing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estival brand designs by looking into the concept of festival and festival brands, and establishing a design system after developing brand identity of Seoul Lantern Festival based on its results. The study was progressed in the following processes. First, this study lightened up a fact that the festival brand had close correlations between its property such as ‘deviance’, ‘locality’, ‘unity’, ‘interactivity’ and ‘the transmission power’, ‘the indigenous creativity’, ‘the experience·pleasure’, ‘the relationship’, ‘the formativeness’ as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oretical reviews on festival and festival brand identity, and then inquired into the necessity of having to develop festival brand identity accordingly. Also, the study analyzed design systems through case researches on festival brands, and made them utilized for design improvements based on its results. Second, by analyzing general status and design’s present situations of Seoul Lantern Festival, the study indicated characteristic problems of expressions in festival brand identity together with design system aspects. And this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objecting to 100 Seoul residents, and derived recognition and image problems on brand identity of Seoul Lantern Festival, and then confirmed the necessity of design strategies on festival brand identity. Thirdly, the study suggested design directions and final design guidebook for festivals by presenting improvement directions for solving problems of Seoul Lantern Festival.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brand problems of Seoul Lantern Festival are same as follows. ➀ Seoul Lantern Festival shall present historical justification. ➁ The justifiability should be presented in the name of Festival Brand. ➂ Clear concept has to be made for Seoul Lantern Festival. ➃ Symbolic elements that can express Seoul Lantern Festival have to be exhibited. ➄ The consistent and unified design system should be built by presenting the basic design factor. ⑥ Through the design system having been set up previously, design guidebook has to be proposed This thesis has considered the essence and the characteristic of Identity by analyzing the transmission power, the indigenous creativity, the experience · pleasure, the relationship and the formativeness fiducially as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Festival Brand for the establishment of Seoul Lantern Brand Identity, has drawn the establishment plan for Brand Identity through this. First, the vision and the concept of Festival Brand should be selected through the indigenous culture and tradition of Festival area. Second, the Festival Brand Identity should express the uniqueness․creativity of Festival. Third, the consistent and unified design systems are required for the reinforcement of Festival Brand Identity. Fourth, the design guidebook should be presented for the maintenance of Festival Brand Identity and the Brand Manager.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reinforcement of Festival Brand if the continued management of Festival Brand is maintained through this establishment plan of Festival Brand Identity. It is desired to be helpful for the establishment of other Festival Brand Identity through the strategic study of Seoul Lantern Festival design, prior to this; further the study of research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Festival cul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 목적 2 C. 연구 방법 및 범위 3 II. 용어 및 개념의 정의 4 A. 축제 4 1. 축제의 기원 및 정의 4 2. 축제의 유형 5 3. 축제의 속성 9 4. 축제의 기대효과 11 B. 우리나라 등축제 14 1. 연등축제의 개념과 의미 14 2. 우리나라 등축제의 역사와 문화 16 3. 조선시대 관등놀이 17 C. 축제브랜드 19 1. 축제브랜드 이미지 19 2. 축제브랜드 20 3. 축제브랜드 아이덴티티 21 4. 축제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23 5. 축제브랜드 표현특성 26 III. 축제브랜드 현황 및 사례분석 32 A. 분석 대상의 선정 32 1. 분석 대상 선정 기준 32 2. 분석방법 33 B. 축제브랜드 사례분석 35 1. 국외 축제 사례분석 35 2. 국내 축제 사례분석 43 C. 국내 등축제브랜드 사례분석 51 1. 연등회 연등축제 51 2. 진주남강유등축제 55 IV. 서울등축제 현황 및 문제점 59 A. 서울등축제 일반 현황 59 B. 서울등축제브랜드 디자인 현황 61 1. 서울등축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63 2.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68 C. 설문조사 분석 및 결과 69 1. 서울등축제 설문조사 분석 69 2. 소결 및 문제점 도출 77 V. 서울등축제 디자인 전략 79 A. 개선 방향 79 B. 디자인 방향 81 1. 서울등축제 기원 및 표현방법 82 2. 서울등축제 컨셉 84 3. 디자인 표현 전략 85 C. 디자인 시안 89 VI. 결론 및 제언 114 참고문헌 117 부록-1 서울등축제 설문지 120 Abstract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7667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축제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등축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design for the establishment of Festival Brand Identity : focusing on the Seoul Lantern Festival-
dc.creator.othernameLee, Song A-
dc.format.pagex, 13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