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민화 이미지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연구

Title
민화 이미지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carf Design Using Folk Images
Authors
최유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섬유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임선
Abstract
21세기 세계화 안에서 오늘날 한국 디자인의 대부분은 아직도 주로 서구문화의 조형적 요소를 바탕으로 디자인되고 있다. 현대 한국의 섬유시장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문양 역시 서구의 자연이나 정서가 반영된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전통문양이나 모티프를 이용한 디자인은 대부분 대중적인 제품으로 상품화 되지 못하고 주로 외국관광객을 상대로 하는 문화상품에 국한되어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한국의 섬유디자인이 더 이상 외국의 디자인에 의존하지 않고, 한국의 전통 문화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면서 현대적인 감각을 융합한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하여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에서 한국 고유의 주체성을 갖은 고급 제품이 세계적인 브랜드로 자리 잡는 일이 시급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시대 상황에서 한국의 전통미와 현대미를 동시에 담은 새로운 섬유 디자인을 스카프로 상품화하여 대중과 세계시장에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 문화가 반영된 소재 중에서 한국 민족의 소박한 기질과 화려하고 솔직한 표현 특성을 잘 담아낸 민화(民話)를 본 연구자의 스카프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개발 가능성으로 찾았다. 그 이유로 민화는 한국적인 요소를 지닌 그림으로 한국의 독특한 미적 고유성을 끌어 낼 수 있는 좋은 전통 요소이며, 민화만이 갖는 다양한 소재와 한국 고유의 표현 양식, 색채 등은 서구의 디자인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함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즉 다양한 한국 민화의 이미지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을 세계시장에 제시함으로서, 한국의 정체성을 고수하면서도 서구의 디자인에 비해 수준이 뒤쳐지지 않는 아름답고 가치 있는 대중적이면서도 세계적인 디자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민화 이미지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을 제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한다. 첫째, 본 논문의 목적과 의의를 밝히고, 디자인 제작과정의 연구 방법과 범위를 설정하였다. 둘째, 민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민화의 개념을 연구하고, 민화를 소재별로 분류하여 그 안에 내포된 상징적 의미 및 조형성을 분석 및 연구 하였다. 셋째, 민화가 사용된 디자인의 사례를 어패럴, 스카프, 홈 퍼니싱-벽지로 나누어 조사한다. 이와 같은 조사를 통하여 각 제품의 디자인 트렌드를 파악하고 패턴요소를 분석하였다. 넷째, 위의 이론적 연구와 시각적 자료를 바탕으로 민화 이미지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을 모색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자가 조선시대 민화들을 소재별로 분류한데 기인하여, 스카프 디자인에 활용하기 적합한 ‘화훼도’의 목단도, 초충도, 화조도, ‘책가도’의 책가기명도, 책갑기명도, ‘호도’의 작호도, 호피도, ‘문자도’의 백수백복도, ‘십장생도’, ‘평생도’ 소재를 선택하여 8가지의 주제를 정하였고, 각 주제 마다 사이즈와 용도에 맞게 3점씩의 디자인을 코디네이팅 하여, 총 24점의 스카프를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화는 한국의 자연과 정서가 독특하게 표현되어 있어 스카프 디자인으로 활용함에 있어 한국 문화상품의 대중화에 적합한 소재이다. 둘째, 민화는 소박함과 동시에 화려함을 갖은 독특한 조형성으로 현대적인 감각을 융합하기에 좋은 소재이다. 셋째, 민화는 그 소재가 다양하기 때문에 무궁무진한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이 있다. 넷째, 민화 특유의 질감을 통해 소박한 한국 정서를 표현 할 수 있고, 정교한 장식 미와 색채를 통하여 고급스러운 디자인으로 전개해 나갈 수 있다. 다섯째, 민화의 전통미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감각을 융합함으로서 한국 민족의 정서를 계승하면서 다국적 시대에 맞는 세계적 디자인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한국 민화 속에 들어난 전통미를 현대적으로 재발견하여 민화 이미지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 민화의 전통미와 현대적인 예술적 감각의 조화를 통해 21세기에 맞는 디자인으로 재창조하여 세계화에 앞장 설 수 있는 텍스타일 디자인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한국의 섬유 디자인 제품이 서양의 모티프에 의존 하지 않고 한국 고유의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In the globalization of the 21st century, most part of the Korean design is still being realized based on the formative element of the western culture. Most of the patterns being used in the Korean textile market reflect western nature or emotion. Korean traditional patterns or motif designs have been created being limited to cultural goods for foreign tourists since 1980s, not being commercialized as public products. In this situation, the researcher considers it is time for the Korean textile design to actively utilize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develop new designs by combining the modernistic sense, not relying on the foreign design any more. Thus, the researcher judges that it is urgent for high-quality products that have the unique independence of Korea to get settled in the world market as well as in the Korean market. The researcher tries to commercialize new textile designs as scarfs that have Korean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beauty at the same time, and intends to suggest them to the public and the world market. Of materials reflecting the Korean culture, folk paintings that well express the simple dispositions and splendid and honest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were selected as the developmental possibility that can be used for scarf designing of this researcher, because it is judged that folk paintings, pictures that have Korean elements, are good traditional elements that can draw Korean esthetic peculiarity, and various materials and Korean unique expressional modes and colors that only folk paintings have cannot be found in the western designing. Tha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ick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at the same time, perform popular and world-class designing that is beautiful and does not shrink from comparison with western designing. This paper conducted a research to suggest the scarf design using folk painting images as follows. First, it determined its purpose and meaning, and set up research methods and the scope of the design production process. Second, it examined the concept of folk paintings through analyzing them, divided folk paintings into seven groups considering their materials, and interpreted and studied their symbolic meaning and formativeness. Third, it investigated design cases using folk paintings by dividing them into apparels, scarfs, and home-furnishing wallpapers. Through this investigation, it grasped the design trend of each product and analyzed their patterning elements. Fourth,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visual data above, it sought the scarf design using folk painting images. Fifth,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folk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into seven groups, the researcher decided eight themes by selecting Mokdando, Chochoongdo, and Hwajodo of ‘Hwahwedo’, Chaeckgagimyungdo and Chaeckgapgimyungdo of ‘Chaeckgado’, Jackhodo and Hopido of ‘Hodo’, Baecksubaeckbokdo of ‘Munjado’, ‘Shipjangsaengdo’, and ‘Pyeongsaengdo’ that can be properly used for the scarf design, and designed 24 pieces of scarfs by performing three different coordinating designs for each theme considering the size and use.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lk paintings are proper materials for popularization of Korean cultural goods in that they express Korean nature and emotion distinctively. Second, folk paintings are good materials that can combine the modernistic sense with unique formativeness that has simplicity and splendor at the same time. Third, folk paintings have limitless design developmental possibility due to their various types of materials. Fourth, our simple emotion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unique texture of folk paintings, and they also can be processed with high-quality designs through detailed decorative beauty and colors. Fifth, folk paintings, by combining the modernistic sense with their traditional beauty, can play the role to succeed emotion of Korean people and suggest developmental possibility fitting for the global design era. This paper studied the scarf design using folk images by rediscovering traditional beauty that appears in Korean folk paintings in the modern way. It suggested the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the textile design that can lead globalization, by recreating traditional beauty and the modernistic sense of folk paintings into the design suitable for the 21st centur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Korean textile design products can abide by the unique traditional Korean characteristics and, at the same time to be creative designs, not replying on the western moti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