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연순-
dc.contributor.author김예훈-
dc.creator김예훈-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51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8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5180-
dc.description.abstractFabric pattern expression technique includes weaving, dyeing, embroidery, screen printing, and digital textile printing. In this study, we can recognize the potential and importance of three-dimensional pattern expression in line with the periodic trends and flows going beyond the boundary of pattern expression shown in the existing fabric work that is characteristic of two-dimensional planarity. As the importance of materials becomes the conversation topic in textile fashion industry, its development possibility is expanding. As fabrics are used in various fields although they never used fabrics in those fields in the past, it is seen that fabrics are expanding from the materials for fashion to the concept of materials. In the same context, this study aims to make a new approach to pattern expression. As the role of the design that applied Korea's traditional motif as the content representing Korea and informing our culture is being required, it is believed that our modernistic interpretation of Goryeo Buddhist Painting-elements that represent the excellence of Korean culture is a meaningful work. Goryeo Buddhist Paintings have been developed to the highest level in Korean history and the patterns expressed in Buddhist Paintings contain unbounded energy. This study looks for meanings from the geometric patterns referring to the existing research data of folk story sentences shown in Seolhwagumun, one of the Goryeo Buddhist Paintings and investigates the cases that geometric patterns were applied into the current design products. In addition, this study simplifies the folk story sentences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to look for connection with paper folding and presents the texture of a new pattern expression technique that applied the pleats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presenting new materials that interpreted folk story sentences while understanding them from Korea's cultural aspect beyond simply interpreting its religious aspect and demonstrating its possibility. Our research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and meaning of folk story sentences shown in Seolhwagumun, one of the Goryeo Buddhist Painting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ses that geometric patterns are applied into the current design products. Third, this study segments folk story sentences and identifies its connection with origami. Fourth, this study experiments the characteristics of pleats method. Fifth, this study manufactures fabric designs that folk story sentences were expressed in three-dimensional texture. From this research process,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implied abstract meanings into the concrete geometric patterns and identified the meaning of folk story sentences shown in Goryeo Buddhist Paintings through Korean relics and bibliographic data. Second, we investigated the cases that geometric patterns were applied into the current design products and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designs that could apply Korea's traditional patterns including folk story sentences. Third, we identified the connection with origami through the segmentation process of folk story sentences and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its changes into the unbounded shapes. Fourth, we applied the pleats method of synthetic fiber and natural fiber, silk fabric to overcome its planar characteristics and presented differentiated pleats methods in a three-dimensional form. Fifth, we manufactured products with various materials and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designs. We presented the textur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through the connection with clothes. From this research, it seems that the challenge given to this researcher is to continue to develop and create unique brands based on what's learned. To be competitive as a modernized, gentrified, and differentiated design based on the motif of traditional Korea, deep understanding and continuous research of our culture seem to be necessary. If we present fabric design by making a new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it will be a valuable work to combine various materials for the beholder, have them imagine connecting such materials into their works, and help them to develop a modernistic applied design. ;패브릭(Fabric)에 문양을 표현하는 기법은 직조, 염색, 자수,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디지털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 등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적인 기존의 패브릭에서 전개되는 문양 표현의 한계를 넘어 시대적인 트랜드와 흐름을 같이 할 수 있는 입체적인 문양 표현 연구의 가능성과 중요성을 제시한다. 섬유 패션 산업에서 소재의 중요성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앞으로 그 발전 가능성은 주목할 만큼 넓게 확대되고 있다. 기존에는 섬유를 사용하지 않았던 다양한 분야에서 섬유가 적용되면서 섬유가 패션의 소재에서 디자인 전 분야의 재료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문양 표현의 새로운 접근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한국 전통의 모티브를 응용한 디자인이 우리의 문화를 알리고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콘텐츠로서의 역할로 요구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문화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고려 불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일은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고려불화는 한국 역사상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달하였고, 불화에 표현된 문양은 무한한 에너지를 함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려불화 수월관음도에서 보이는 설화구문(雪花球紋)에 관한 기존 연구자료를 참고하여 기하문의 의미를 찾고, 현 시대 디자인 제품에 기하문을 응용한 사례를 조사한다. 그리고 고려불화의 설화구문을 단순화하여 종이접기와의 연결성을 찾고 플리츠 기법을 응용한 새로운 문양 표현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종교적 측면의 해석을 넘어 한국의 문화적 측면에서 이해하면서 설화구문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새로운 소재를 제시하고 그 가능성을 보이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불화 수월관음도에서 보이는 설화구문의 개념과 의미를 분석한다. 둘째. 현 시대의 디자인 제품에 기하문이 응용된 사례를 조사한다. 셋째. 설화구문을 면분할하여 종이접기의 연결성을 확인한다. 넷째. 플리츠 기법의 특성을 실험 연구한다. 다섯째. 설화구문을 입체적인 질감으로 표현한 섬유디자인을 제작한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추상적 의미를 구상적인 기하문에 함축하여 표현한 한국의 유물과 문헌자료를 통해 고려불화에서 설화구문이 담고 있는 의미를 확인하였다. 설화구문은 물을 의미하는 육각문과 우주를 상징하는 구문과 함께 구성한 문양으로 생명과 영원불멸을 상징한다. 수월관음도의 관음보살 너울의 바탕문양으로 성스러움을 극대화하여 표현하고 있다. 둘째. 현 시대의 디자인 제품에 기하문이 적용된 사례를 조사하였다. 기하문을 선형 구조물, 실리콘, 건물 외벽 등으로 응용한 사례를 통해 설화구문을 비롯한 한국 전통문양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설화구문의 면분할 과정을 통해 종이접기와의 연결성을 확인하였고 문양의 배열과 차원의 확장을 통해 무한한 형태로의 변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합성섬유와 자연섬유인 견직물의 플리츠기법을 응용하여 평면성을 극복하고 입체적인 형태의 차별화된 플리츠를 제시하였다. 다섯째.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하고 새로운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습득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한국 전통 문양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제품을 개발하고 자체 브랜드를 창출하는 것이 본 연구자에게 주어진 과제라고 생각한다. 한국 전통 문양을 모티브로 하여 현대화, 고급화, 차별화된 디자인으로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우리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와 끊임없는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 전통문양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섬유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보는 이들에게 다양한 소재와의 결합, 제품으로의 연결 등을 상상하게 하고 현대적인 응용 디자인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귀한 작업이 되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방법 2 2. 고려불화의 설화구문 및 관련 디자인 3 2.1. 고려불화 수월관음도의 설화구문 3 2.2. 기하문의 종류와 관련 디자인 8 3. 설화구문의 표현방법 연구 15 3.1. 설화구문의 면분할과 종이접기의 연결성 15 3.2. 플리츠 가공기법 20 4 작품제작 및 분석 23 4.1. 제작의도 23 4.2. 제작과정 25 4.3. 작품분석 33 5. 결론 57 참고문헌 59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738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고려불화 설화구문의 선적요소를 응용한 섬유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Fabric Design with Goryeo Buddhist Painting Seolhwagumun’s Linear Composition-
dc.creator.othernameKim, Ye Hoon-
dc.format.pagex,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섬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