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4 Download: 0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이 여중생의 사회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이 여중생의 사회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the Dance Activity of the School Sports Club on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Middle School Girls
Authors
김희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이 여자 중학생들의 사회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 영역의 활성화와 여학생의 자발적인 신체활동 참여 및 무용활동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3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9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 중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총 36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회수된 자료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조사내용 중 일부가 누락된 62명의 자료는 연구자의 판단 하에 제외했으므로 실제 분석에서는 현재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여학생 150명과 무용 활동에 한 번도 참여한 적 없는 여학생 150명으로 총 300명을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 참여유무와 장르 및 참여기간에 따른 사회성과 정서지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와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무용활동 장르와 참여 기간에 따른 사회성 및 정서지능의 차이와 사회성과 정서지능 간의 상관관계, 사회성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등은 현재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여중생 150명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여중생의 사회성과 정서지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회성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방법과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 참여 유·무에 따른 사회성과 정서지능의 차이는 사회성 하위요인 예절성, 자율성, 지도성, 근면성, 안정성, 사교성, 수용성, 준법성 8개 모두 현재 무용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여중생이 높게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경우 정서인식 및 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 능력이 현재 무용활동에 참여중인 여중생에게 높게 나타났고 정서사고촉진, 정서활용 능력은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 장르에 따른 사회성 및 정서지능의 차이는 사회성과 정서지능 모두 통계적으로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 참여 기간에 따른 사회성 및 정서지능의 차이는 사회성의 경우, 무용 활동에 참여한 기간이 3개월-1년 이상인 학생들이 3개월 미만인 학생들 보다 예절성, 안정성, 사교성 요인에서 각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수용성은 참여기간이 6개월-1년 미만인 학생들이 3개원 미만인 학생들 보다 수용성 사회적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 외 자율성, 지도성, 근면성, 준법성은 참여기간에 따른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경우, 정서조절 요인에서만 참여기간이 3개월-1년 이상인 학생들이 3개월 미만인 학생들 보다 정서조절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그 외 참여 기간에 따른 정서인식 및 표현, 감정이입, 정서사고촉진, 정서활용은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에 참여하는 여중생의 사회성과 정서지능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에 참여하는 여중생의 사회성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근면성과 수용성, 준법성의 사회적 능력이 높을수록 정서인식 및 표현능력이 높아지고, 예절성과 준법성이 높을수록 정서사고촉진 능력이 높아지고 자율성이 높을수록 정서사고촉진 능력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면성과 준법성이 높을수록 정서활용 능력이 높아지며, 사교성과 준법성이 높을수록 정서조절 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이 여중생들의 사회성 및 정서지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중생들의 사회성과 정서지능에 변화가 있었으므로 지속적인 무용활동 참여와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수준별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더 많은 여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흥미로운 프로그램을 끊임없이 연구하고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무용 수업을 전문적으로 지도할 교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무용전공자들에게 무용교사 자격증 혹은 무용·스포츠강사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여중생들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개선 및 전문 인력 개발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ance activity of the school sports club on the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middle school girls and clarify the relations to provide basic data in order to activate the dance activity area of the school sports club and raise female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and recognition of the dance activity.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13 to a total of 300 students including 150 middle school girls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dance activity of the school sports club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150 middle school girl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at all, and the resul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for the collected data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review the differences between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he dance activity of the school sports club, genre and participation period and Duncan test was performed as post hoc test. But, the difference of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dance activity genre and participation perio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ffect of sociality on emotional intelligence were analyzed from only the 150 middle school girls, participating in the dance activity of the school sports club.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middle school girls, participating in the dance activity of the school sports club,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in order to review the effects of sociality on emotional intellig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gained from the above research method and data analysis are as below. First, as for the difference of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the dance activity of the school sports club, middle school girls,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were shown high in all the 8 items of sociality subfactors such as manners, self-control, leadership, diligence, stability, sociability, acceptability and law-abiding. In case of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empathy, emotional control ability were shown high in middle school girls, participating in the dance ability and promotion of emotional thinking and emotional utilization abi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Second, the difference of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dance activity genre of the school sports club, all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wo groups. Third, as for the difference of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dance activity participation period of the school sports club, in case of sociality, students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the dance activity from 3 months to more than one year showed higher abilities in the factors of manners, stability and sociability than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for less than 3 months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it comes to acceptabil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for 6 months to less than one year showed a higher social ability of acceptability than those for less than 3 months and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sides, self-control, leadership, diligence and law-abiding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articipation period. In case of emotional intelligence, students with participation period for 3 months to more than one year showed a high emotional control ability only in the emotional control factor than those with participation period for less than 3 months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empathy, promotion of emotional thinking and emotional utiliza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period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Fourth,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middle school girls, participating in the dance activity of the school sports club was found. Fifth, as for the effects of the sociality of the middle school girls, participating in the dance activity of the school sports club on emotional intelligence, the higher the social abilities of diligence, acceptability and law-abiding are, the higher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ability are; the higher manners and law-abiding are, the higher the ability of emotional thinking promotion is; the higher self-control is, the lower the ability of emotional thinking promotion i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diligence and law-abiding are, the higher emotional utilization ability is; the higher sociability and law-abiding are, the higher emotional control ability is.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dance activity of the school sports club could help improve the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middle school girls. Because the 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middle school girls, who participated in the dance activity were changed, it is required to develop systematic and various learning programs that can induce consistent participation in dance activity. In addition, interesting programs should be consistently studied and developed to apply to the filed in order to induc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by level and participation of much more female students. Furthermore,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teachers to professionally guide dance lessons, system improvement and professional manpower development are required to make middle student girls learn to professional systematic education by expanding dance instructor certificates or dance·sports instructor programs for dance maj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