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5 Download: 0

지면의 종류에 따른 줄넘기 운동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체력 및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지면의 종류에 따른 줄넘기 운동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체력 및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Jumping Rope According to Surface Type on Physical Fitness and Concentration in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Authors
김혜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jumping rope according to surface type on physical fitness and concentration in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4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rom the Seoul area. The test group consisted of 7 individuals jumping rope barefoot on highly elastic mats, while 7 individuals jumping rope barefoot on a wooden floor formed the control group. Over an eight-week period, subjects exercised twice a week for 50 minutes per session. During each session subjects performed six distinct movements. First, subjects performed the basic two foot simultaneous jump. Second, subjects ran in place. Third subjects moved laterally while jumping rope. Fourth, subjects performed a forwards and backwards "scissor step," while jumping. Fifth, subjects performed the simultaneous 90 degrees turning while two foot jump. Sixth, subjects performed the second, third, and fourth movements in combination with the 90 degree turn. Subjects performed each movement for 100 repetitions, completing 600 repetitions per session. Independent variables were surface type: either a highly elastic mat or wooden surface. Dependent variables were physical fitness and concentration. Physical fitness was measured through a 1KM run (cardio vascular endurance), sit and reach (flexibility), sit ups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standing long jump (power), body fat percentage (body composition), single leg stand (balance). Concentration was evaluated via a questionnaire for their parents. The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the paired t-test (pre-post differences) and independent t-test. (between-group differences). Significant level was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Both highly elastic mats and the wooden floor increased in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and power. However, the elastic mats also increased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balance.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according to surface type. Subjects jumped rope in barefoot to maximize the engagement tendons, muscles, and ligaments in the feet as well as moving the foot through the entire range of motion. On the wooden floor subjects benefited from a stable surface, however, on the highly elastic mats, subjects were required to constantly adjust their balance and exert extra energy to maintain stability and mobility. Thus, elastic mats increased not only flexibility, strength, endurance, and power, but also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balance. Although there appeared to be no change in concentration among test subjects, this result could be attributed to a number of methodological factors. First, it's possible that an eight-week test period was not long enough to gauge a change in concentration. Secondly, concentration was evaluated indirectly by the subject's parents. Although subject's parents benefitted from close contact, each parent was different, therefore making it impossible to standardize the evaluation process. Lastly since subject's parents had extended daily contact with subjects it is possible that they were unable to perceive gradual changes that occurred during an eight-week period. Future studies should refine the method used to evaluate concentration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지면(탄성 지면, 마루 지면)의 종류에 따라 실시한 줄넘기 운동이 체력(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근지구력, 순발력, 체지방률, 균형 감각) 및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일반 및 특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청소년(중학교 1학년 - 고등학교 3학년)으로 구성하였다. 총 연구 대상은 14명으로 탄성 지면에서 줄넘기 운동을 실시한 집단 7명과 마루 지면에서 줄넘기 운동을 실시한 집단 7명의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운동 프로그램 내용은 개인 줄넘기를 이용한 (1) 양발모아뛰기 (2) 제자리 구보뛰기 (3) 바위보뛰기(좌우로 벌렸다 붙여 뛰기) (4) 가위뛰기(앞뒤로 번갈아 벌려 뛰기) (5) 변형과제1 (6) 변형과제2를 실시하였다. 실시 방법은 위의 개인 줄넘기 프로그램을 각각 20회 실시 후 90도 왼쪽/오른쪽으로 방향 전환을 하여 100회씩 점프하였다. 1회 수업 시 약 600회를 실시하였고, 총 운동기간은 8주간 주 2회 회당 50분 동안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체력 측정과 주의집중력 설문지를 사용했다. 체력 측정에서 심폐지구력은 1000M 오래달리기, 유연성은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근력/근지구력은 윗몸일으키기, 순발력은 제자리멀리뛰기, 체지방 측정기를 이용한 체지방률, 균형 감각은 키바운더 위에서 외발로 오래 버티기 검사를 측정하였고, 주의집중력은 주의집중행동 평정 척도 설문지-부모용(Conners, 1997)을 사용하였다. 독립 변인은 지면의 종류 즉, 탄성 지면과 마루 지면 두 집단으로 나누었고, 종속 변인은 체력(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근지구력, 순발력, 체지방률, 균형 감각)과 주의집중력으로 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집단내 실험 전후의 각 요인별 변화에 대한 통계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고, 집단간 실험 전후의 각 요인별 변화에 대한 통계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 지면에 따른 줄넘기 운동(탄성 지면과 마루 지면)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체력(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근지구력, 순발력, 체지방률, 균형 감각)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여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단간 사전 사후 차이 집단간 사전 사후 차이에는 두 집단(탄성 지면, 마루 지면)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아 사전에 집단간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근지구력, 순발력, 체지방률, 균형 감각 능력에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처음에 두 집단을 설계할 때 무선할당으로 집단을 구성하였고, 두 집단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일한 집단으로 적절하게 선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집단내 차이 사전 사후 차이 첫째, 지면의 종류에 따른 줄넘기 운동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유연성, 근력/근지구력, 순발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탄성 지면에의 줄넘기 운동은 특별히 심폐지구력, 균형 감각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줄넘기 운동은 두 지면 모두 유연성, 근력/근지구력, 순발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탄성 지면은 심폐지구력, 균형 감각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주의집중력에서는 탄성 지면에서 줄넘기 운동을 실시한 집단과 마루 지면에서 줄넘기 운동을 실시한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두 집단 모두 주의집중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위 실험은 방학 기간에 진행되어 장애 청소년들이 평소 활동에 비해 움직임이 부족하였으며 실험 기간이 짧은 것이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의집중력은 학부모가 수행하는 것으로 직접적인 검사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직접적인 주의집중력 과제 개발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에 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탄성 지면에서의 줄넘기 운동이 마루 지면에서의 줄넘기 운동 보다 균형 능력과 심폐지구력에서 우수했음을 알 수 있다. 균형 능력은 단순히 근력이나 근지구력만 좋다고 향상되는 되는 것이 아니다. 균형 능력은 몸의 깊은 곳에 위치하는 속근(Deep Muscle)과 조절근 등의 협응도 중요하다. 탄성 지면은 또한 미세한 흔들림을 제공하여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정계 활성화에도 도움을 준다. 이러한 기전에서 탄성 지면이 균형 능력을 향상시켰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8주간의 운동 처치로 주의집중력은 향상되지 못하였다. 좀 더 처치기간을 늘려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은 추후 과제로 한다. 탄성 지면에서의 줄넘기 운동은 또한 심폐지구력의 증가를 나타냈다. 탄성 지면에서 맨발로 줄넘기를 하는 것은 마루 지면보다 발의 좀 더 많은 근육과 균형을 잡기 위해 협응에 필요한 근육들을 동원하게 되어, 근 활성도를 향상시켜 근육에 동원되는 혈류의 양 또한 증가되어 나타난 결과인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이것에 대한 기전의 규명 역시 추후 과제로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