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경-
dc.contributor.author조은진-
dc.creator조은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0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8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073-
dc.description.abstractModern society requires not only changes within inflow of massive knowledge and complex information, but also integrated knowledge that can integrate and apply the urgent issues, instead of fragmentary knowledge. In such society, it is desperately needed to integrate knowledge in various areas, rather than acquiring simple knowledge in a single area. Owing to its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the integrated approach through art can enhance comprehensive viewpoints and multidisciplinary thinking skills. Also art is a subject in which I can raise abilities of understanding ourselves and the surrounding world, and also distinguishing and selecting information necessary among so much information. The subjects of society and art commonly aim to have understanding of life and culture. Various art works reflecting the times of the society indicate such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subjects. Thu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expression class with integrated approach of art and society subjects on elementary school 6th graders'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By having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society subject and also expressing ceramics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in art subject, it aimed to increase understanding and interest with integrated class of art and society subjects. As research subjects, I selected 59 sixth graders from two classes(mixed wi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uwon-si. The experimental group(30 students) received the integrated class including the selected unit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of society subject and expression area of art subject while the control group(29 students) received ordinary art expression class.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written test and practical test on pre/post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r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the class, I analyzed if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n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reparing the evaluation tool in advance, the academic motivation of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measured through questionnaires while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tested through written test for art and society subjects. In order to prepare the written test, the researcher created questions by extracting questions from textbooks, guidebooks for teachers, and Edu-Net, and then they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two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for more than five years. Regarding the practical test, an expert in ceramics, two current teachers and the researcher conducted evaluation through the prepared practical test tool. By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data was electrically processed. I also conducted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like following.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integrated class of art and society subjects showed higher academic motivation than the control group's receiving ordinary art clas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integrated class of art and society subjects receiv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receiving ordinary art class.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integrated class received overall higher evaluation on unique expression of themes than the control group receiving ordinary art class. Fourth, the educational effect that could not be expected from a single subject could be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class of art and society subjects. The understanding of concept in society subject and expression class in art subject focusing on the theme of 'traditional cultur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understanding and expressiveness. Despite of many classes based on integrated approach between art and other subjects, most of them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art and society subjects were researches on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lass focusing on paintings. Thus the researcher selected 'traditional culture' as a common theme of art and society subjects, designed a program in which ceramic art(that was not easily provid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be properly applied to class, and then verified its educational effect on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lead educational values by applying various integrated approaches to the educational field.;현대사회는 거대한 지식과 복잡한 정보의 유입 속에서 변화를 요구하고 당면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단편적인 지식이 아닌 종합하고 응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지식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한 분야의 지식 습득이 아닌 여러 분야의 지식 통합을 절실히 필요로 한다. 미술을 통한 통합적 접근은 교수 방법이 다양해지고 타 교과와의 통합으로 한 접근 수업은 포괄적인 시각을 기르며, 다각적으로 사고 할 수 있는 종합적 사고력을 증진 시킬 수 있다. 또한 미술은 우리 개개인과 주변의 세계를 이해하고 많은 정보 속에서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분별하고 선택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과이다. 사회과와 미술과는 공통적으로 생활, 즉 문화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하며 그 사회의 시대를 반영하는 여러 가지 미술품 들은 두 교과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와 사회과의 통합적 접근의 표현 수업을 통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사회과에서 학습하고 전통문화를 활용한 도자기 수업을 미술과에서 표현하여 , 미술과 사회과의 통합수업으로 흥미를 촉진하고 이해를 높이는데 목표를 두었다. 연구대상은 수원시에 위치한 S 초등학교 6학년 남녀 혼반으로 구성된 2학급 59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30명은 사회과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단원을 선정, 미술과의 표현영역을 통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통제집단 29명은 일반적인 미술 표현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 사후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를 각각 설문지 및 지필평가 그리고 실기평가를 통하여 미술과와 사회과를 통합한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방법은 평가도구를 사전에 작성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학습동기를 설문지로 측정하고 학업성취도는 미술과와 사회과의 지필평가 및 실기평가를 통하여 검사하였다. 지필평가는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에듀넷의 문항을 추출하여 본 연구자가 만든 문항을 5년 이상의 초등학교 현직 교사 2인의 수정 및 보완을 통하여 작성되었다. 그리고 실기평가 또한 작성된 실기평가 도구를 통하여 도자실기 전문가 1인과 현직교사 2인과 본 연구자가 평가 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일원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와 사회과의 통합 수업으로 진행한 실험집단은 일반적인 미술수업을 한 통제집단보다 학습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미술과와 사회과의 통합 수업으로 진행한 실험집단은 일반적인 미술수업을 한 통제집단 보다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셋째, 미술과와 사회과의 통합 수업으로 진행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미술수업을 한 통제집단 보다 전반적으로 주제표현 및 표현방법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넷째, 미술과와 사회과의 수업을 통하여 단일교과에서 얻지 못했던 교육적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전통문화’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사회과에서의 개념 이해와 미술과에서의 표현 수업을 함으로써 이해도 및 표현 수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미술과와 타 교과간의 통합적 접근 수업이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초등학교에서의 미술과와 사회과에서는 주로 감상영역에 대한 연구와 회화 위주의 표현수업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미술과와 사회과의 공통된 주제인 ‘전통문화’를 선정하여 초등학교 수업 현장에서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도자 공예영역을 수업 시간 내에 적절하게 수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통합적 접근 수업을 적용하여 교육적 가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통합교육의 이해 4 1. 통합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4 2. 통합교육의 유형 8 B. 초등학교 미술과와 사회과의 통합적 접근 12 1. 발달단계에 따른 표현 수업 12 2. 미술과와 사회과의 교과 특징 14 3. 미술과와 사회과의 통합수업의 교육적 의의 1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1 A. 연구대상 및 절차 21 B. 연구도구 25 C. 자료처리 51 Ⅳ. 연구결과 및 논의 52 A. 연구결과 52 B. 논의 78 Ⅴ. 결론 및 제언 80 참고문헌 84 부록 87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674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미술과와 사회과의 통합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6학년 표현 수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Combinative Approach of Fine Art and Social Affairs Division on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 Focuced on Elementary Grade 6 Students-
dc.creator.othernameCho, Eun jin-
dc.format.pageix,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