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지역문화재를 활용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Title
지역문화재를 활용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How Art class using local cultural assets influences to first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 GI co-learning model based
Authors
김효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현 학교는 학교 폭력, 따돌림과 같은 사회적 문제들이 지속되고 있다. 학생들은 작은 사회라고 할 수 있는 학교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또래관계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사회성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논문은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학생들의 사회성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협동학습의 다양한 모형 가운데 본 연구의 수업에 적합한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미술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사회성 증진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수업 제재로서 지역문화재를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연구를 실행하였다. 첫째, 문헌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역문화재, 지역문화재 교육적 가치, 그리고 지역문화재 교육의 필요성 및 지역문화재 활용 수업 지도방안에 대해 제시한다. 또한, 청소년기의 특성과 사회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사회성 증진을 위한 GI협동학습 모형적용의 관련성에 대해 제시한다. 둘째, 문헌의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이효정, 2007: 이설아, 2008: 배한나, 2011: 박주영, 2013)를 통하여 사회성 증진에 효과적인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지역문화재 활용 미술 수업을 설계 한다. GI협동학습 모형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작품의 주제 선정에서부터 작품을 탐구하여 계획하고, 이를 토대로 실제로 작품을 제작하며, 나아가 감상 ·평가를 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의 사회성을 증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수업을 효과적으로 이끄는 다양한 활동지 및 수업자료를 개발한다. 셋째, 본 연구의 수업은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S여자 중학교 1학년 실험집단(47명), 통제집단(48명) 총 95명 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9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5주 동안 적용하였다.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총 10차시로 구성되었으며 1주에 2차시씩 실시하였다. 수업 실시 전, 중학교 역사 교과서를 참고하여 만든 동질성 설문지를 통하여 동질한 집단 4반을 선정하고, 정범모(1971b)가 개발한 사회성 검사지를 중학생들에게 적합하도록 번안․수정한 이효정(2007)의 사회성 검사지를 수정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한다. 넷째, 실험집단에는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을 진행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모둠수업으로 미술 수업을 진행한 후 사회성 사후 검사를 실시한다. 그리고 감상‧평가지와 소감문을 작성한다. 다섯째, 두 집단의 사회성 사전‧사후 검사의 평가 결과와 실기평가의 통계적 검증을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실기평가는 학생들이 작성한 감상·평가지의 평균값을 내어 상‧중‧하로 평가를 하였다. 또한 양적으로 도출이 힘든 부분은 학생들이 작성한 소감문과 교사의 관찰에 의한 질적 분석을 통하여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지역문화재 활용 미술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결론을 도출한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사회성 사전ㆍ사후 차이 분석 결과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상승효과를 보였다. 즉,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을 실시한 실험 집단의 사회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기평가는 집단별 학생들이 작성한 감상·평가지 결과 분석을 통하여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실기평가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생들이 작성한 소감문과 교사의 관찰에 의한 분석을 한 결과, 미술활동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협동학습을 통해 사회성 증진에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왔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지역문화재 활용 미술 수업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사회성을 증진시키며, 나아가 미술 활동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사회성 증진에 도움이 되는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활성화 되기를 기대한다.;Current schools continually have social issues such as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in school which is regarded as small society and are influenced a lot from peers so that rightful sociality education is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art class influences to increase sociality of students targeting first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 have studied art teaching-learning program apply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which is appropriate for this study class among various models of cooperative learning. Also, to increase the effect of sociability, local cultural asset is used as class material. For this, study has been implemented according to following procedure and methods. First, it suggests local cultural asset, educational value of local cultural asset, necessity of local cultural asset education and class guidance plan with local cultural asse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literature. Also, theoretical consideration about features and sociality of adolescent and relation of apply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promoting sociality are suggested. Second, art class with local cultural asset are designed apply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which is effective to promote socialit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literature and preceding research (Hyo jung, Lee 2007 ; Seol a, Lee 2008; Hanna, Bae 2011; Joo young, Park 2013). Apply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class, students selects the subject of work, explore and plans the work, then based on this, they make works actually, further, they can increase their sociality through appreciating and assessing process. And we develop various activity sheets and materials to lead class effective. Third, this study has applied for 5 weeks, from September 2013 to October 2013, targeting 47 members in experimental group, 48 members of controlled group in 1 grade students in S middle school in Suwon, Gyunggi. The class apply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consist of 10 times and has conducted 2 times in a week. Before the class, we have selected 4 equal group through equivalence survey which is made referring to history textbook in middle school and then have conducted preliminary inspection as revising sociality questionnaire developed by Bum mo, Jeoung(1971). Fourth,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art class is proceeded to experimental group while traditional group art class is proceed to controlled group then follow-up inspection of sociality is conducted. In turn, they write reports and evaluation forms. Fifth, for the results of assessment of preliminary, following-up socially and statistic verification of practical skill evaluation for two groups, we have use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statistic package program and have handled computerized statistics , and have conducted t-test of independent sample and t-test matching sample. Practical skill evaluation has assessed into good, fair and poor with mean value of reports and evaluation forms wrote by students. Also, the part where hard to be deducted quantitatively verifies effectiveness of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art class using local cultural asset and derives the conclusion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reviews by student’s reviews and observation of teachers.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results of sociality preliminary, following-up difference analysis for each group shows that experimental group has higher synergy effect than controlled group. Thus, sociality of experimental group which has conducted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art class has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Second, practical skill evaluation shows that experimental group has regard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practical skill evaluation than controlled group through analyzing results of reports and evaluation form wrote by each group’s students.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by reviews from students and observation of teacher, it is positive to art activity and effective result of promoting sociality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is proved. Therefor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art class using local cultural asset promotes sociality of first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further, it is effective to make students have positive attitude on art activities. Thus, it is expected that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art class which is helpful for promoting sociality of students is developed and promoted in school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