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연-
dc.contributor.author남윤진-
dc.creator남윤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1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7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156-
dc.description.abstractModern design paradigm has been bringing many changes to the meaning of a user. The meaning of a user is gradually expanding the concepts of co-creator and contributor beyond a consumer in terms of marketing. This understanding of a user as a receptor makes the user the more important by human-centered approach and ethical design paradigm. Also, it has been forming the user-centered design paradigm in today's digital environment, such as interaction design, user-centered design, user experience design, which lead participation and exchange between design and user. According to this design paradigm, a variety of designs considering users are emerging in fashion design. Since the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can be varied to suit the purpose and it stimulates constantly the various exchanges and participation, the frequency of its appearance and the interest is increasing gradually.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is being emphasized because of eco-friendly sustainability, personality-oriented thinking which is putting a premium on personalized and differentiated emotion, and so on. Above all, the special properties that the user becomes the main that makes change and leads the various exchange between design-designer-user in the process of change, make the transformable design further emphasized in the paradigm of user-centered design.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unlike the general idea of fashion design, requires a paradigm shift with more focused approach to various exchanges and change with the user. Most of previous studies of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were for researches which fundamentally stereotyped application methods and examples with a focus on tools, such as zippers, straps, and fasteners, rather than for an existing relationship with their users. It suggested the design properties of types and methods, but in fact, they become hardly direct ideas. Due to the difficulty of this practical approach to the idea, domestic cases compared to overseas are limited. This study aims at the specificity and the necessity of a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paradigm, and is to set up a way for a transitional paradigm for easier and more positive design approach to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It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backgrounds of occurr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user interaction. Designs based on it could show possibility of expanding expression by suggested idea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can be defined as the design accompanying transformable ability and active participation to make transformation, and the backgrounds of occurrence is based on an acceptance aesthetic, digital-centered, and ethical paradigm, which emphasizes the meaning of active user, interactive user, and expanded user, respectively. And in common, they all intend human-centered and user-centered thinking. Second, since the examples of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interaction with user, the characters of form are increase and decrease, movement, separation and connection, superimposition, double-sidedness, and revelation. Those of substance are indeterminacy of formative arts, common of humor, participation of process, respect of human, and conversional thinking. Third, the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requires new idea method to express various designs in one design appearing in process of transformation unlike previous idea method. And it needs the idea of conversion which switch a fixed idea, a formative, and form to expand interaction with user and accompany various transformation. Fourth, this study suggests the idea method of conversion for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into two. This is the new idea method suggested in the idea of conversion and expansion of form and substance analyzed in former. Design idea through conversion of character is accessible by idea about form based on form and about substance based on story-telling. Design idea through conversion of angle of vision is looking at a thing from a different angle, and it can make various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by synchronization finding the hidden pictures, defamiliarization putting a different picture, multiple viewpoints looking from various angle, and hybridization putting together. The development of designs by the idea of conversion verified the validity and probability of suggested idea method of conversion. First, the geometrical idea can be easily developed from simplified figure into various type design beyond general clothes silhouette and composition. Second, synchronization is the idea which hides the similar formed items or the form of the human body like the hidden pictures. This synchronized design can make new forms by separating, or have deformation in one form. This can release humor and freshness by representing the hidden form through transformation beyond the general form of detachment that is simply revealed outwardly. Third, defamiliarization is putting a different picture, and it makes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conversing between different unfamiliar forms or items through combination them with clothes. The idea through defamiliarization can make it possible to change in various areas surpassing to change just in clothes. Fourth, multiple-viewpoint is the idea to look at with various angles, and it makes more various transformation by the choice of viewpoint through design by changing viewpoints with various angles, or using polyhedral form which has many different facets that seem different with various angles. Fifth, hybridization is the idea of putting many pictures together, and it makes various deformations by combining many forms into one with keeping original each form. Also, the choice of specific part of the form of hybridization can make effect of various overlapping. Sixth, the pattern using stripe makes user recognized the direction of transformation, and Material of Jersey with flexibility and elasticity makes user's manipulation easy. Zipper as fastening system has function to connect and separate easily. Owing to this character of zipper, various transformation is convergent and user can wear and change easil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does not stay at the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transformable design, but analyzes in the specific view of interaction with user emphasized in modern design paradigm. Moreover, the idea method based on it is newly suggested, and applied to actual design to show the feasibility,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previous studies. ;현대 디자인 패러다임은 사용자의 의미에 많은 변화를 가져 오고 있다. 수용자로서의 사용자에 대한 인식은 수용미학적 접근과 인간 중심적, 윤리적 디자인 패러다임에 의해 사용자를 더욱 중요한 대상으로 고려하게 하고 있으며, 디지털 환경 속에서 다양한 교류와 참여를 이끌어 내는 인터랙션 디자인, 사용자 중심 디자인, 사용자 경험 디자인 등과 함께 그 의미가 더욱 강조, 확장되면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패러다임을 형성키시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패러다임 속에서 패션디자인에서도 사용자를 고려한 다양한 디자인들이 출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은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변화가 가능하며 사용자와의 다양한 교류와 참여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그 출현 빈도와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은 친환경적인 지속가능성, 개인화되고 차별화된 감성을 중시하는 개성 중심적 사고 등 다양한 면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사용자가 변화를 직접 행하는 주체가 되며, 변화의 과정 속에서 디자인-디자이너-사용자 사이의 다양한 교류를 이끌어내는 특성에 의해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패러다임의 흐름 속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은 일반적인 패션디자인의 발상과는 달리 사용자와의 다양한 교류와 변화에 좀 더 초점을 맞추어 접근하는 발상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사용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되기 보다는 주로 패스너와 같은 도구를 중심으로 한 응용 방법이나 기존 사례의 유형화를 중심으로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는 유형이나 방법에 따른 디자인 특성들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실제로 그것을 착안하게 하는 발상의 직접적인 방법이 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의 발상의 특이성과 필요성에 착안하여, 그 발생 배경과 사용자와의 교류 특성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을 위한 좀 더 쉽고 적극적인 디자인 접근을 위한 전환적 발상의 방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전환적 발상 방법을 디자인에 적용해 봄으로써 제안한 발상의 방법에 의한 창의적 표현 확대 가능성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이란, 변형할 수 있는 가능성과 변형을 이뤄내기 위한 행동적인 참여를 수반하는 디자인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 발생 배경은 수용미학적, 디지털 중심적, 윤리적 패러다임에 근거한다. 이는 능동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적 사용자, 확장된 사용자의 의미를 강조하면서 공통적으로 인간 중심적 사고, 사용자 중심적 사고를 지향하고 있다. 둘째,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의 사례들을 사용자와의 교류에 초점으로 맞추어 그 특성을 분석한 결과, 형식의 특성은 확대와 축소, 이동, 분리와 연결, 중첩, 양면, 발현으로 나타났으며, 내용적 특성은 조형의 미정성, 유머의 공유, 과정의 참여, 인간의 존중, 전환적 사고로 나타났다. 셋째,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은 사용자와의 교류를 확장시키고 다양한 변형을 수반하기 위한 고정관념의 전환, 조형의 전환, 구조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전환적 사고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존의 디자인 발상 방법이나 선행 연구와 같은 사례 유형이나 표현 방법으로 구체적 디자인을 전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을 위한 전환적 발상의 방법을 크게 2가지로 구축하였다. 이는 앞서 분석한 형식과 내용의 특성을 발전시키는 방향과 전환적 사고를 바탕으로 새롭게 제시한 발상 방법이다. 특성 전환에 의한 디자인 발상은 형태 기반의 형식적 측면의 발상과 스토리텔링에 의한 내용적 측면의 발상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시각 전환에 의한 디자인 발상은 대상을 바라보는 시각의 전환에 초점을 둔 방법으로 숨은 그림 찾기인 동기화 , 다른 그림 넣기인 생소화, 그림 돌려 보기인 다(多)시점화, 여러 그림 합치기인 혼성화를 통하여 다양한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축한 전환적 발상 방법을 실제 디자인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과 가능성을 검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 기반의 형식적 발상에서 기하학 기반의 발상은 단순화되고 도형화된 형식에 의하여 변형을 보다 쉽게 전개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옷의 실루엣과 구성을 넘어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가능케 하였다. 둘째, 동기화는 숨은 그림을 찾듯이 유사한 형태의 아이템이나 유사한 인체의 형태 등을 디자인 안에 숨겨 놓는 발상으로, 동기화된 디자인이 분리되어 또 다른 형태를 만들거나, 동기화된 디자인이 하나의 형태 안에서 변형되면서 새롭게 나타날 수 있었다. 이는 겉으로 드러나는 일반적인 착탈의 형식을 넘어서 숨겨진 형태가 변형을 통해 나타남으로써 유머와 새로움을 전할 수 있었다. 셋째, 생소화는 다른 그림을 넣는 발상으로, 전혀 다른 생소한 형태나 아이템을 인체와 옷에 결합시킴으로써 이 둘 간의 전환을 이루는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을 가능하게 하였다. 생소화에 의한 발상은 옷 안에서의 전환을 넘어 보다 다양한 영역 간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였다. 넷째, 다(多)시점화는 여러 각도로 그림을 돌려 보는 발상 방법으로, 여러 각도로 시점을 이동하면서 디자인하거나 여러 각도에서 달리 보이는 다양한 면을 가진 다면체 형태로 디자인한 결과, 단편적 시각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다양한 형태들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었으며, 형태를 보는 각도의 선택과 경우의 수에 의해 보다 다양한 변형을 가능하게 하였다. 다섯째, 혼성화는 여러 그림을 합치는 발상 방법으로, 여러 개의 모양이 하나로 합쳐진 혼성의 형태는 각각의 특성이 그대로 남아있는 형식 안에서 다양한 변형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각각의 형태가 혼성을 이루게 되는 위치와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서 중첩에 의한 변형의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었다. 여섯째, 사용된 스트라이프 패턴은 변형의 방향성을 쉽게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저지 소재는 신축성과 유연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변형을 조작하는데 용이하게 하였다. 사용된 패스닝 시스템인 지퍼는 연결되고 분리되는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변형을 쉽게 수렴할 수 있게 하였으며, 지퍼가 달리는 위치와 열리는 방향은 사용자가 옷을 쉽게 착용하고 변형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는 트랜스포머블 디자인에 관하여 전반적인 특성 분석과 유형 분류에 머무르지 않고, 현대 디자인 패러다임으로부터 출발하여 점차 그 의미가 강조되고 있는 사용자와의 교류라는 특정한 관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발상의 방법을 새롭게 구축하고 그것을 실제 디자인에 적용하여 그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의의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3 II.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의 개념 9 A.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의 정의 9 B.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의 발생 배경 11 1. 수용미학적 패러다임 12 2. 디지털 중심적 패러다임 14 3. 윤리적 패러다임 17 III.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의 특성 21 A.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의 형식적 특성 23 1. 확대와 축소 (enlargement and reduction) 25 2. 이동 (movement) 26 3. 분리와 연결 (separation and connection) 28 4. 중첩 (superimposition) 29 5. 양면 (reversibility) 31 6. 발현 (luminosity) 32 B.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의 내용적 특성 36 1. 조형의 미정성(indeterminacy) 37 2. 유머의 공유 39 3. 과정의 참여 40 4. 인간의 존중 43 5. 전환적 사고 45 IV.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과 전환적 발상 48 A.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의 전환적 발상의 필요성 48 B.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의 전환적 발상의 요건 52 1. 고정관념의 전환 52 2. 조형의 전환 53 3. 구조의 전환 55 V.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의 전환적 발상 방법의 구축 57 A. 특성 전환에 의한 디자인 발상 58 1. 형태 기반의 형식적 측면의 발상 58 2. 스토리텔링에 의한 내용적 측면의 발상 63 B. 시각 전환에 의한 디자인 발상 64 1. 동기화 (synchronization) : 숨은 그림 찾기 64 2. 생소화 (defamiliarization) : 다른 그림 넣기 66 3. 다(多)시점화 (multiple viewpoints) : 그림 돌려 보기 68 4. 혼성화 (hybridization) : 여러 그림 합치기 69 VI. 전환적 발상에 의한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 제안 71 A. 디자인 계획 71 1. 디자인 제안의 배경 71 2. 디자인 개념 및 의도 71 3. 디자인 전개 및 과정 72 B. 제작 결과 및 해설 75 VII. 결론 및 제언 184 A. 연구 요약 및 결론 184 B. 연구 결과 검토 및 제언 186 참고문헌 188 Abstract 1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8806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전환적 발상에 의한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by the Idea of Conversion-
dc.creator.othernameNam, Yoon-Jin-
dc.format.pagexiii, 19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