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방미란-
dc.creator방미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8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7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81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reinforcement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on the family resilience, caregiver burden, family adaptat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The study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tudy subjects were 36 in all, with 18 persons of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18 persons of control group, targeting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registered with 2 dementia support centers in Seoul. The family resilience reinforcement program was implemented for 60 minutes each time, once a week, for 8 weeks. According to 3 factors of Walsh(1998)’s family resilience, family resilience reinforcement program was classified into: 1 to 2 sessions as belief system, 3 to 5 sessions as organizational pattern, and 6 to 8 sessions as communication proces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February 18 and April 12, 2013 from dementia support centers. Pre and post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assess differences and changes in family resilience, caregiver burden, family adaptat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χ²-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test,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SPSS Statistics version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fter intervention, the level of entire family resilience of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but control group didn’t show any meaningful change, an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significant. Also, after intervention, while the level of family resilience by subfactors of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in organizational pattern and communication process, that of control group reduced in significantly in organizational pattern Difference of family resilience by subfactors between two groups after intervention was significant in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pattern and communication process. 2. After intervention, the level of entire caregiver burden of experimental group reduced significantly, but control group didn’t show any meaningful change, an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significant. Also, after intervention, while the level of caregiver burden by subfactors of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negative change in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person and caregiver and psychological burden, that of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financial and economic activity burdens. Difference of caregiver burden by subfactors between two groups after intervention was significant in negative change in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person and caregiver and psychological burden. 3. After intervention, the level of family adaptation of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that of control group meaningfully dropped, an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significant. 4. After intervention, the level of perceived health status of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but control group didn’t show any meaningful change, an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significant. 5.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not any meaningful change in the level of depression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either. In the light of these results, the family resilience reinforcement program is considered to decrease caregiver burden of famili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o gi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family resilience, family adaptat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Consequently, this family resilience reinforcement program will be expected to be a help in the future as nursing intervention to strengthen family resilience not only in the community but also in the area of clinical nursing.;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가족을 위한 가족탄력성 강화프로그램이 가족탄력성, 부양부담, 가족적응, 지각된 건강상태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2개의 치매지원센터에 등록된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 중 실험군 18명, 대조군 18명으로 총 36명이었다. 실험군은 가족탄력성 강화프로그램을 2013년 2월부터 4월까지 8주 동안, 주 1회, 회당 60분을 제공받았다. 가족탄력성 강화프로그램은 Walsh(1998)의 가족탄력성의 세 가지 하위 구성요소에 따라 신념체계, 조직유형 및 의사소통과정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구조화된 도구를 이용하여 대상자와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 치매노인 부양관련 특성, 가족탄력성, 부양부담, 가족적응, 지각된 건강상태 및 우울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후의 차이는 Paired t-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고, 중재 후 집단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의 전체 가족탄력성은 프로그램 중재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중재 후 두 집단 간의 차이도 유의하였다. 또한 중재 후 실험군의 하위 구성요소별 가족탄력성은 조직유형과 의사소통과정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 대조군은 조직유형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중재 후 두 집단 간 하위 구성요소별 가족탄력성 차이는 신념체계, 조직유형 및 의사소통과정에서 유의하였다. 2. 실험군의 전체 부양부담은 프로그램 중재 후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중재 후 두 집단 간의 차이도 유의하였다. 또한 중재 후 실험군의 하위 구성요소별 부양부담은 노인­주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와 심리적 부담에서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대조군은 재정 및 경제 활동상의 부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중재 후 두 집단 간 하위 구성요소별 부양부담은 노인­주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와 심리적 부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실험군의 가족적응은 프로그램 중재 후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 대조군은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중재 후 두 집단 간의 차이도 유의하였다. 4. 실험군의 지각된 건강상태는 프로그램 중재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중재 후 두 집단 간의 차이도 유의하였다. 5. 실험군의 우울은 프로그램 중재 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중재 후 두 집단 간의 차이도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 개발․적용된 가족탄력성의 세 가지 요소인 신념체계, 조직유형 및 의사소통과정의 강화를 위한 교육과 그룹 활동으로 구성된 가족탄력성 강화프로그램은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을 감소시키고 가족탄력성, 가족적응 및 지각된 건강상태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가족탄력성 강화프로그램은 향후 지역사회 재가 뿐 아니라 시설 또는 기관에 입원한 치매노인 가족의 가족탄력성을 강화시키는 간호중재로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연구가설 4 D. 용어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7 B. 가족탄력성 12 C. 가족적응 16 Ⅲ. 연구방법 19 A. 연구설계 19 B.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20 C.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22 D. 연구도구 23 E. 연구진행절차 26 F. 자료분석방법 35 G. 연구의 제한점 36 Ⅳ. 연구결과 37 A. 집단 간의 동질성 검정 37 B. 가설 검정 44 Ⅴ. 논의 53 Ⅵ. 결론 및 제언 59 A. 결론 59 B. 제언 61 C. 간호학적 의의 62 참고문헌 63 부록 73 Abstract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348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치매노인 가족에게 적용한 가족탄력성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Reinforcement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dc.creator.othernameBang, Mi Ran-
dc.format.pagevii,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