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영-
dc.contributor.author박금주-
dc.creator박금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4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7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407-
dc.description.abstractAs the demands of quantitative level of the quality of nursing education is increased because of the short-term expansion of the College of Nursing in recent years, and patient rights and safety awareness are enhanced, it became difficult to perform direct practice as a nursing student in the clinical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nursing students get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opportunity in clinical field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gained from medication administration. The participants were 41 Grade 4 students in the College of Nursing who experienced parenteral medication administration in the clinical field,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2 to September 30 in year 2011 and May 27 to September 30 in year 2013, by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until it was satura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method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by Giorgi (2009), participants’ descriptions are divided into meaning units and categorized into constituents after transformed into disciplinary expressions. The meanings of nursing students' medication administration experiences during clinical practice were extracted as 5 constituents and 17 sub-constituents. First constituent was ‘make an effort to obtain the opportunity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its sub-constituents were ‘explore the level of positiveness for teaching practice’, ‘help nurses to prepare medications’, ‘ask questions to draw nurse's attention’. Second constituent was ‘intimidated in patients’ and nurses’ concerns for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its sub-constituents were ‘be afraid of the problems which might cause to patients by nursing student’s medication administration’, ‘have a difficulty to approach the reluctant patient’, ‘read nurse’s countenance who is uncomfortable with student’, ‘feel sorry because student's delay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might interrupt the nurse's task’. Third constituent was ‘train to prevent the mistakes from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its sub-constituents were ‘try to handle the needed supplies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in advance to be good at’, ‘practice with friends and family for inserting a needle’, ‘learn from having a consciousness through mistake experiences’. Forth constituent was ‘participate in the partial process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its sub-constituents were ‘realize to apply aseptic technique during the process of preparing medications’, ‘pay attention to calculate the medication dose accurately’, ‘acquire the technique during the process of preparing medication’, ‘check the patients’ response for result of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Lastly, the fifth constituent was ‘have self-confidence because of the positive response of others’, and its sub-constituents were ‘have support in perform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with nurse's feedback’, ‘be proud of oneself for nurses’ trust to offer an opportunity of practice’, ‘be dignified for patients’ request for explaining about medic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confirmed the necessity of structured and systematical education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practice in clinical field by presenting the general structure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by exploring the meanings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experiences performed in clinical practice. These findings had provided preliminary data to develop the programs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practice required in clinical practice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nursing students.;최근 단기간에 걸친 간호대학의 양적인 팽창으로 간호교육의 질적인 수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환자 권리와 안전 의식이 강화되면서 임상현장에서 간호학생들의 직접적인 실습 참여가 어려워지고 있다. 투약은 간호업무 중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간호활동이며, 특히 비경구 투약은 침습적인 간호활동으로서 간호지식과 간호술기를 통합하여 임상 상황에 적용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실습 현장에서 간호학생이 어떻게 비경구 투약을 하게 되며, 비경구 투약을 통해 얻는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탐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임상현장에서 비경구 투약을 경험한 간호학과 4학년 학생 41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포커스 그룹 면담을 위해서는 2011년 8월 2일부터 9월 30일까지, 일대일 면담을 위해서는 2013년 5월 27일부터 9월 30일까지였다. 자료수집은 그룹 당 3명에서 7명으로 구성된 8개의 포커스 그룹 면담 35명과 일대일 심층 면담 6명을 이용하여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 (2009)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분석절차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기술을 의미단위로 나누고 이를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여 구성요소로 범주화하였다. 간호학생이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비경구 투약의 의미는 5개의 구성요소와 17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비경구 투약경험에 대한 의미의 첫 번째 구성요소는 ‘투약실습의 기회를 얻고자 노력함’ 이었으며 이에 대한 하위 구성요소는 ‘간호사의 실습지도에 대한 적극성 정도를 탐색함’, ‘투약을 준비하는 간호사에게 도움을 제공함’, ‘간호사의 관심을 끌기 위해 질문을 시도함’ 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구성요소는 ‘투약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우려속에서 위축됨’ 으로 하위 구성요소는 ‘학생의 투약으로 환자에게 문제가 생길까봐 두려움’, ‘학생실습을 꺼려하는 환자에게 다가가기 어려움’, ‘실습 지도를 부담스러워 하는 간호사의 눈치를 봄’, ‘투약지체가 간호업무를 방해하는 것 같아 미안함’ 이었다. 세 번째 구성요소는 ‘투약을 실수하지 않기 위해 연습함’ 으로 이에 대한 하위 구성요소는 ‘투약물품을 익숙하기 위해 미리 다루어 봄’, ‘친구와 가족을 대상으로 주사 삽입을 연습함’, ‘투약 실수를 통해 경각심을 가지고 배움’ 이었다. 네 번째 구성요소는 ‘투약실습에 부분적으로 참여함’ 으로 하위 구성요소로는 ‘약물 준비과정에서부터 무균술이 중요함을 깨달음’, ‘정확한 약물 용량 계산에 주의함’, ‘약물 주입에 대한 기술을 터득함’, ‘투약 결과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확인함’ 이었다. 마지막 다섯 번째 구성요소는 ‘주위의 긍정적인 반응으로 투약에 자신감이 생김’ 이었고 이에 대한 하위 구성요소는 ‘간호사의 피드백으로 투약에 지지를 얻음’, ‘실습 기회를 준 간호사의 신뢰에 자부심을 가짐’, ‘환자의 투약설명 요청에 당당해짐’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간호학생은 투약실습을 경험하기 위해 간호사의 눈에 뜨이는 적극적인 태도를 취할 때 투약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그러나 투약을 수행하는 과정 또한 간호학생을 바라보는 주위의 시선으로 인해 긴장과 경각심을 갖는 등 편안하지 않은 환경이었지만 투약과정을 미리 익히고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투약실습에 참여하고 간호사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때 투약을 해냈다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임상현장에서 비경구 투약에 참여하는 간호학생의 적극적인 태도를 격려하고 투약결과에 대한 임상현장에서의 정확한 피드백이 간호학생에게 투약실습에 대한 동기부여가 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문헌고찰 5 A. 간호학생의 임상실습경험 5 B. 간호학생의 투약경험 8 Ⅲ. 연구방법 12 A. 연구 설계 12 B. 연구 참여자 12 C. 자료 수집 13 D. 자료 분석 17 E. 연구의 질 확보 21 F.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23 G. 연구의 제한점 24 Ⅳ. 연구결과 25 A. 연구 참여자의 특성 25 B. 간호학생의 비경구 투약에 대한 임상실습경험의 구성요소 26 C. 간호학생의 비경구 투약에 대한 임상실습경험의 일반적 구조 61 V. 논의 64 A. 간호학생의 비경구 투약에 대한 임상실습경험 64 B. 간호학적 의의 74 VI. 결론 및 제언 78 A. 결론 78 B. 제언 80 참고문헌 81 부록 91 영문초록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98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간호학생의 비경구 투약에 대한 임상실습경험-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xperience of Parenteral Medication Administration by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dc.creator.othernamePark, Kuem Ju-
dc.format.pagev,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