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덕유-
dc.contributor.author박종덕-
dc.creator박종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9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7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96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증가하는 중증질환의 가정방문급여 이용자에게 간호급여와 요양급여가 통합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방문간호를 포함한 가정방문급여의 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의 개발연구는 지표의 개발단계와 검증단계의 방법론적인 연구로서, Donabedian(1980)의 구조-과정-결과 측면의 질 접근을 기본적인 개념 틀로 하였으며 보건복지부(2010)의 방문요양, 방문목욕 그리고 방문간호의 공통지표와 급여종별 고유지표 총 64개 지표가 예비지표 개발의 초안이 되었다. 예비지표는 총 60개로 구성되었으며 2010년의 재가장기요양기관 평가결과와 일본, 독일, 오스트리아의 재가급여 평가지표 그리고 2011년 입소시설평가의 추가된 지표가 반영되었다. 예비지표에 대한 내용타당도는 전문가 9인에 의해 각 지표별 CVI(Index of Content Validity)를 산출하여 80% 이상의 합의가 이루어진 53개의 예비지표가 선정되었다. 전문가의 제안에 따라 시범적용(2개) 및 법적준수의무(2개)인 4개의 지표가 추가되었으며, 총 57개 평가지표의 실행가능성과 적용성에 대한 사전조사는 방문간호를 포함한 가정방문급여 제공기관의 10개소에서 실시되었다. 사전조사를 거친 최종 57개 지표가 본 조사에 적용되었으며, 대상기관은 2011년 6월 30일 기준 www.longtermcare.or.kr의 장기요양기관 정보 검색 사이트에 가정방문급여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전국의 540개 재가장기요양기관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46개 기관이었다. 검증단계 자료 수집은 2011년 9월 4일부터 2012년 7월 3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ASW Statistic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가지표에 대한 기관의 시행 수준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준거타당도 검증으로서 2010년 재가장기요양기관 평가의 참여여부에 대한 평가영역별 평균점수를 Kruskal-Wallis test로 검증하였으며, 방문간호와 방문요양의 평가에 참여한 기관의 2010년 평가결과와 본 연구 결과간의 등급변화를 Wilcoxon signed-rank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는 5개 영역의 57개 지표로 개발되었다; 기관운영(12), 환경 및 안전(3), 권리 및 책임(7), 급여제공과정(31), 급여제공결과(4). 본 조사 결과, 영역별 평균점수는 기관운영의 76점, 환경 및 안전의 71.8점, 권리 및 책임의 80.7점, 급여제공과정의 78.2점 그리고 급여제공결과의 72.3점이었다. 2.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 .94로 나타났다. 3. 2010년 재가장기요양기관 평가에 참여한 기관그룹의 영역별 평균점수는 5개의 모든 평가영역에서 미 참여기관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평가에 참여한 집단이 기관의 질관리에 적극적이며 평가에 준비된 상태임을 나타냈다. 4. 2010년 재가장기요양기관 평가 중 방문간호와 방문요양 평가에 참여한 기관의 평가결과와 간호와 요양으로 분류한 본 연구의 결과간의 등급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2010년의 평가결과 우수한 기관은 본 연구결과에서도 우수기관으로, 비우수기관은 비우수기관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5개 영역의 57개 지표로 구성된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를 적용한 평가결과로서 기관별 통합급여의 수준파악이 가능하였다. 또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으므로 방문간호를 포함한 가정방문급여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기관들의 급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평가 할 수 있는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integrated evaluation indicators of home care services in the hope that the increasing group of long-term home care patients with severe diseases could receive care services as well as home nursing care services within a reasonable and integrated system. The foregoing development involves a methodological study on a development phase and a verification phase, based on a qualitative approach from the aspect of structure, process and result (Donabedian, 1980). The evaluation indicators, which are to be developed in this study, are founded on the common indicators existing in the categories “Visiting Care”, “Visiting Bath” and “Visiting Nursing Care”, including also the indicators set up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South Korea, 2010). The main survey at a verification stage was a complete enumeration conducted on 540 relevant organizations all over the countr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utonomously by the staff at 146 institutions who agreed to participate on this study.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September 4th, 2011 to July 31st, 2012.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e of the program SPSS(PASW, version 19.0). The implementation rates of the 57 evaluation indicators were worked out i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ter-institutional differences caused by the participation in the 2010 evaluation were analyzed through the Kruskal-Wallis-Test. Changes in rank, also caused by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the Wilcoxon Signed-Rank-Test, wherewith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verifi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evaluation index for the integrated home visit care of 57 indicators in 5 areas has shown following development: Managing Institution(12), Environment and Safety(3), Right and Responsibility(7), Process of Care Provision(31) and Effects of Care Provision(4).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eans for each area was as follows: 76 points for Managing Institution, 71.8 points for Environment and Safety, 80.7 points for Right and Responsibility, 78.2 points for the care process, and 72.3 points for the outcome of the care provided. 2.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applied to the main survey was verified by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which showed 0.94. 3.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verified in regard to the participation in the 2010 evaluation. Evaluated organization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unevaluated ones in relation to each of the 5 areas of evaluation. 4. In the Visiting Care and Nursing Care there were, at any rank,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f institutions which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of home visit nursing and home visit care and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institutions which had participated in 2010.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classified as an evaluated result regarding care and nursing care.) The result of evaluation clearly displayed excellent performances as well as poor ones of the participating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evaluation index of the integrated home visiting care, which is composed of 57 indexes in five categories, the level of integrated care provided by the institutions could be determined. A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it is expected to utilize them as evaluating indicators in managing and evaluating the way of how institutions integrate and provide home visit care services as well as home nursing care servi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가정방문급여 현황 및 문제점 7 B. 재가장기요양기관 평가지표 17 C. 2010년 재가장기요양기관 평가결과 25 III. 연구의 개념적 기틀 30 IV. 연구 방법 33 A. 연구 설계 33 B. 연구 절차 34 V. 연구 결과 41 A.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안) 개발 41 B.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 적용 53 C.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 검증 64 VI. 논의 68 A.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 68 B.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 검증 76 VII. 간호학적 의의 79 VIII. 결론 및 제언 81 A. 결론 81 B. 제언 83 참고문헌 84 부록 91 Abstract 1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067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integrated home visit care-
dc.creator.othernamePark, Jong Duk-
dc.format.pagexii, 15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