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3 Download: 0

농촌거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모형

Title
농촌거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모형
Other Titles
Successful Aging Model of Rural Elderly Women
Authors
노준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odel to explain about successful aging after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ccessful aging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256 elderly women over 65 years old residing in rural areas. participated in a structured interview using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successful Aging Scale, Health Behavior Assessment Instrument, Perceived Heath Status Instrument,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orea Version(MoCA-K),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GDSSF-K), and productive activity Instru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8, 2012 to March, 4, 2013. Fitness of the model was verified with SPSS WIN 20.0 program and AMOS 18.0 program based on overall goodness of fit index such as , AGFI, CFI, IFI, TLI, SRMR, and RMSE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participants was 74.24 years. The mean scores of successful aging were 102.40±17.63, 95.53±11.03 for health behaviors, 8.95±2.43 for perceived health status, 22.15±3.27 for cognitive function, 5.84±3.13 for depression and 12.39±5.84 for productive activitie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ccessful aging to the following variables; living arrangement(F=4.73, p=.003) perceived economic status(F=12.51, p<.001) history of chronic disease(t=2.73, p=.007),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varied by living arrangement (F=2.71, p=.046) perceived economic status(F=4.88, p=.003). The degree of depression varied significantly by perceived economic status(F=5.56, p=.001). 3. The overall fitness of the final model was good in general. The model-fit indexes of the final model were =0.094, AGFI=0.997, CFI= 1.000, IFI=1.000, TLI=1.000, SRMR=0.004, and RMSEA=0.000. 4. Successful aging resulted from higher cognitive function (γ=.166, p<.001) higher productive activities (γ=.133, p=.007) higher health behaviors (β=.593, p<.001) and lower depression (β=-.123, p=.014). These predictors explained 61.2% of variance in successful aging. 5. Depression resulted from lower perceived health status (γ=-.184, p<.001) and lower productive activities (γ=-.490, p<.001). These predictors explained 33.5% of variance in depression. 6. Health behaviors resulted from lower depression (β=-.290, p<.001), higher perceived health status (γ=.295, p<.001), higher cognitive function (γ=.110, p=.019) and higher productive activities (γ=.247, p<.001). These predictors explained 43.8% of variance in Health behaviors. 7. The findings suggested depression was shown to be the mediator on perceived health status (=1.988, p=.047) and productive activities (=2.374, p=.018). Health behaviors was shown to be the mediator on perceived health status (=5.153, p<.001), cognitive function (=2.312, p=.021), depression (=-4.606, p<.001) and productive activities (=4.036, p<.001). In addition,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s was shown to be the mediator on perceived health status (=2.721, p=.007), productive activities (=4.103, p<.001). As a result, cognitive function, productive activities,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s had a direct effect on successful aging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s, and it was also identified that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s had an mediator effect on their successful aging.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aging of rural elderly women, it is recommended that when developing the program for successful a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utilized as basis.;본 연구는 농촌거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 및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농촌거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J도 3개의 군 단위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여성노인 256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12월 8일부터 2013년 3월 4일까지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3개 외생변수인 지각된 건강상태, 인지기능과 생산적 활동, 3개 내생변수인 우울, 건강행위와 성공적 노화로 총 6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20.0 (SPSS 20.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카이제곱()값, AGFI, CFI, IFI, TLI, SRMR 및 RMSEA의 전반적인 적합도 지수를 기준으로 검증하였고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4.24±5.61세, 성공적 노화의 평균점수는 102.40±17.63점(155점 만점)이었다. 성공적 노화와 관련요인의 평균점수는 건강행위 95.53±11.03점(132점 만점), 지각된 건강상태 8.95±2.43점(15점 만점), 인지기능 22.15±3.27점(30점 만점), 우울 5.84±3.13점(15점 만점), 생산적 활동 12.39±5.84점(27점 만점)이었다. 2. 대상자의 동거형태(F=4.73, p=.003) 주관적 건강상태(F=12.51, p<.001) 만성질환 유무(t=2.73, p=.007)에 따라 성공적 노화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동거형태(F=2.71, p=.046) 주관적 경제상태(F=4.88, p=.003)에 따라 건강행위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주관적 경제상태(F=5.56, p=.001)에 따라 우울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본 연구 최종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통계량이 0.094, AGFI는 0.997, CFI는 1.000, IFI는 1.000, TLI는 1.000, SRMR는 0.004, RMSEA는 0.000이였으며, 최종 모형과 실제 자료 간의 모델 적합도가 전반적으로 적합하였다. 4. 모형 내 농촌거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는 인지기능 수준이 높을수록(γ=.166, p<.001) 생산적 활동 수준이 높을수록(γ=.133, p=.007) 우울 수준이 낮을수록(β=-.123, p=.014) 건강행위 수준이 높을수록(β=.593, p<.001)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61.2%였다. 우울은 지각된 건강상태 수준이 낮을수록(γ=-.184, p<.001) 생산적 활동 수준이 낮을수록(γ=-.490, p<.001)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 대한 이 들 변수의 설명력은 33.5%였다. 건강행위는 우울 수준이 낮을수록(β=-.290, p<.001) 지각된 건강상태 수준이 높을수록(γ=.295, p<.001) 인지기능 수준이 높을수록(γ=.110, p=.019) 생산적 활동 수준이 높을수록(γ=.247, p<.001)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행위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3.8%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우울과 건강행위의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지각된 건강상태(=1.988, p=.047)와 생산적 활동(=2.374, p=.018)은 우울을 매개로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건강상태(=5.153, p<.001), 인지기능(=2.312, p=.021), 우울(=-4.606, p<.001)과 생산적 활동(=4.036, p<.001)은 건강행위를 매개로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건강상태(=2.721, p=.007)와 생산적 활동(=4.103, p<.001)은 우울과 건강행위를 매개로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인지기능, 생산적 활동, 우울 및 건강행위는 농촌거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농촌거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설명하는데 있어 우울과 건강행위가 간접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성공적 노화에 직 ·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활용하여 성공적 노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고려해야 한다. 더불어 실무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농촌의 지역적 특성과 여성노인의 연령, 교육수준, 거주형태, 일상생활수행능력 등을 고려한 성공적 노화를 위한 중재전략을 제시하여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증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