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0 Download: 0

노인요양시설 적응 측정 도구 개발

Title
노인요양시설 적응 측정 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Evaluate Adaptation of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in Korea
Authors
최경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건정

김미영
Abstract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된 이후, 장기요양시설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하는 노인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적응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부족하므로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Roy의 적응모형에서 4가지 적응양상을 기반으로 노인의 노인요양시설 적응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도구개발을 위한 초기 예비문항은 문헌 고찰과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적응에 관한 개념들을 추출한 후, Roy의 4가지 적응 양상에 따라 생리적기능, 자아개념, 역할기능, 상호의존 양상으로 118개의 문항이 분류되었다. 분류된 문항은 전문가집단의 검토과정을 거친 후 76개의 2차 예비문항으로 작성되었다. 삼차에 걸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및 보완하는 과정을 통해 55개의 3차 예비문항이 선정되었다. 최종 55개의 예비문항으로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 32명을 대상으로 한 사전 조사를 통해 문항의 이해도를 확인한 후, 32개의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 323명을 대상으로 도구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도구의 타당도는 구성타당도와 준거타당도로 검정되었으며, 구성타당도는 문항분석과 요인분석, 집단비교로 검정되었다. 구성된 문항이 요인분석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문항분석을 실시한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5가지 요인인 긍정적 태도 요인, 지지관계 요인, 심신안정 요인, 현실회피 요인 그리고 자아애착 요인으로 구성된 31개의 최종 문항이 선정되었다. 본 도구의 5개 요인은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의 적응에 대해 53%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거타당도는 노인의 무료요양원 적응 척도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노인의 노인요양시설 적응 점수가 높을수록 무료요양원 적응 척도의 점수도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준거타당도도 검정되었다. 도구의 신뢰도 검정은 최종 도구의 내적 일치도로 보았는데, 전체 31개 문항에 대한 Cronbach΄s α계수는 .899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노인요양시설 적응 측정 도구는 우리나라의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의 적응을 측정하는데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도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적응을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 수행 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n instrument that comprehensively assesses adaptation of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in Korea. The instrument development process comprised the following steps: 1.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based on the Roy adaptation model. Based on the 4 adaptive modes of this model, the content domains were developed via literature review, and data acquired from in-dept interviews with elderly of nursing home. Those items were submitted to experts for consultation and 3th rounds of content validity evaluation, resulting in 13 factors and 76 preliminary items. A panel of experts performed 3th rounds of review on the items. Items with content validity score(CVI) greater than .8 were adopted. A total of 55 items belonging to 13 domains were generated. A 5-point Likert response scale was used to generate responses, namely, strongly agree, agree, neither disagree nor agree, disagree, strongly disagree. A total of 32 nursing home residents reviewed the understanding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of sentences used in the questionnaire provided to them. The level of comprehension for these items was evaluated using a pilot survey, and a 55 items final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323 elderly residing in 32 nursing homes in Korea. This data was analyzed for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3.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 version 18.0 For extracting factors in the factor analysis for verifying the construct validit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Kaiser rotation was used. 4 adaptive modes, 5 factors, and 31 items were determined. Construct validity was evaluated b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validity. Items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Classical Test theory. Factor analysis yielded the 31 items in five factors including 1) positive attitude, 2) supportive relationship, 3) mind and body rest, 4) escape from reality and 5) attachment to oneself, explaining 53% of the total variance of adaptation of nursing home residents in Korea.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assessment too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cale of Free Nursing Home Adjustment for the Elderly. 3. The Cronbach's α reliability coefficient was .899 for the overall instrument. The data indicated that the adaptation instrument of nursing home for elderly in Korea has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measuring nursing home adaptation for the elderly. However, for further validity and reliability, repeated researches ar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