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난지-
dc.contributor.author권영진-
dc.creator권영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53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7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5339-
dc.description.abstractDansaekjo painting (literally, monotone painting), the Korean Monochrome painting, is one of the major achievements of contemporary Korean art of the 1970s. Its monotone canvas stripped of figurative forms has been regarded as a unique manifestation of ‘Korean Modernism’ which applied Korean identity to Western abstraction.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the meaning of ‘Korean Modernism,’ a term that is used almost without exception in the discourse on Dansaekjo painting. In order to avoid repeating similar aesthetic criticism on Dansaekjo painting, the paper focused on the history of Dansaekjo Painting Movement and reviewed how this painting style was created and developed in relation with the social context, rather than investigating the issues intrinsic to this style. In particula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overall situation of Korean society of the 1970s which witnessed the birth and flourishing of Dansaekjo painting, the author tried to overcome the limited scope of existing criticism and further illuminate in broader social context the meaning of ‘Korean Modernism’ which is always associated with Dansaekjo painting. Korea went through modernization, referring to the precedents of the West and Japan.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Japan, which had accomplished modernization decades earlier and strived to overcome Western modernism, brought about hybrid compromise in Korean art - that is, infusion of rediscovered East Asian or Korean identity into Western abstract art. While Dansaekjo painting imitated Western modernization through abstract form, it responded keenly to the geopolitical dynamics of the time, by complying with suppressive nationalistic ideology of ‘Yusin System’ (literally, revitalizing reform system) of the then President Chung-hee Park and reviving colonial aesthetics of the kind sought by Yanagi Muneyoshi (柳宗悦, 1889-1961), which appealed to the taste of Japanese people. Meanwhile, the emphasis on ‘action’ in contemporary abstract art of the West offered an opportunity for the artists of Dansaekjo painting to reconsider their method of production. However, in Dansaekjo painting, the action was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that in Western abstract art, as a tool for practice of achieving unity between the materiality and the subject as well as that between the canvas and the self, and therefore was viewed in association with East Asian tradition. Production by repetitive actions, which served as a metaphysical tool to overcome material civilization of the West, conferred the status of ‘High Art’ to Dansaekjo painting, guaranteeing trades at high prices in the art market. Dansaekjo painting represented aesthetics of unworldliness, seeking a paradoxical “action of non-action (無爲)” in the midst of westernization of people’s lives. Korean Dansaekjo painting stayed aloof from the world, and thereby differentiated itself from Western abstract art which strived for the progress and innovation. Paradoxically, however, this feature appealed to the urban elite who reacted quickly to the changes in real life. Combining two contradicting values - modernization through westernization and preservation of Korean identity - Dansaekjo painting came out with a hybrid solution of ‘Korean Modernism,’ and had established itself as the artistic taste of the ruling class of the newly reorganized society. In addition, the artists of Dansaekjo painting tried to reform pure art with avant-garde spirit while competing to seize hegemony in art circles. Carrying out these two contrasting tasks simultaneously, the artists claimed that Dansaekjo painting realized ‘Korean modernism,’ and by so doing they institutionalized the avant-garde spirit. Diverse contradictory values coexist in the discourse on Dansaekjo painting, a unique cultural product of the time when Korean society was required to modernize by westernization while keeping Korean identity. ‘Korean Modernism,’ which serv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Dansaekjo painting, was also riddled with contradictions and paradoxes; Dansaekjo painting established itself as a style of contemporary abstract art by relying on traditional love for white color, sought minimalism by use of indefinitely repetitive actions, appealed to the artistic taste of the urban elite with its pursuit of the aesthetics of the unworldliness or the action of non-action, and exploited the avant-garde spirit in order to seize hegemony in the art world. This paper revealed that Dansaekjo painting movement and its aesthetic background did not merely seek pure abstract art, but also weaved a multi-layered hybrid structure where different interests clashed and contradicting values coexisted.;단색조 회화는 1970년대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구상적인 형상이 제거된 단색조의 화면 구성은 서구식 추상에 한국적 정체성을 반영한 ‘한국적 모더니즘’의 독특한 발현으로 일컬어져 왔다. 본고는 단색조 회화에 대한 해석에서 예외 없이 동원되는 ‘한국적 모더니즘’이라는 서술어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기존의 미학적 비평에서 벗어나기 위해 본고에서는 단색조 회화 내부의 문제를 고찰하기 보다는 운동사에 주목하여 미술 양식이 사회적 맥락과 상호 연관을 맺으며 생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단색조 회화가 탄생하고 번성하는 1970년대 한국 사회의 문맥을 함께 살핌으로써 그간의 한정된 논의에서 벗어나는 것은 물론 그것을 둘러싼 ‘한국적 모더니즘’ 논의의 의미를 확장된 사회적 문맥에서 조명하고자 했다. 한국의 근대화는 서구식 근대와 일본식 근대를 참조하여 이중의 억압과 굴절 속에 전개되었고, 미술에서 이러한 영향은 서구식 추상 양식에 동양적 정체성 혹은 한국적 전통을 재발견하여 덧입히는 혼성적 타협이 도출되는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 단색조 회화는 추상미술을 통해 본격적인 서구식 근대화를 표방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유신체제의 억압적인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에 부응하고 외부적으로는 일본인들의 취향에 부응한 야나기식 식민 미학을 되살려 내는 등 당대의 지정학적 역학관계에 긴밀하게 반응했다. 동시대 서구 추상의 ‘행위’에 대한 강조는 한국의 단색조 회화가 작품을 제작하는 방법을 새롭게 조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서구식 ‘행위’로서 보다는 물성과 주체, 화폭과 자아의 합일을 이루는 수행적 자질로 해석되어 다시 한 번 동양적 전통에 연결되었다. 서구의 물질문명을 극복하는 형이상적적 담론으로 기능했던 반복적 행위의 제작 기법은 단색조 회화에 고급예술의 위상을 부여하고 이는 상업 미술시장에서 단색조 회화 작품이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는 현실적 토대가 되었다. 단색조 회화는 서구식으로 재편되는 일상 속에서 역설적으로 무위자연(無爲自然)을 반추하는 탈속의 미학을 추구한 예술경향이다. 서구의 추상이 진보와 혁신을 지향한 반면, 한국의 단색조 회화는 오히려 현실로부터의 퇴거에서 변별점을 찾았다. 이러한 단색조 회화가 현실적인 변화에 기민하게 반응하고 발빠르게 대처하는 도시 엘리트 계층의 예술취향으로 자리 잡는 역설적 결과를 가져온 것이다. 서구식 근대화와 한국적 정체성이라는 모순적인 두 가치가 교차하는 가운데 단색조 회화는 ‘한국적 모더니즘’의 혼성적인 해법을 주조해 내고 이를 근거로 새롭게 재편된 사회의 지배계층을 위한 예술취향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단색조 회화는 전위미술의 혁신과 화단 내 패권경쟁이라는 상충되는 두 과제를 동시에 실행에 옮겼다. 단색조 회화의 작가들은 순수한 예술적 혁신을 위해 전력투구하는 전위정신을 표면에 내세웠지만, 이러한 예술적 혁신은 뒤집어 보면 화단 내 주도권 장악을 통해 추진되었다. 단색조 회화가 ‘한국적 모더니즘’의 구현물로 의미화되는 과정은 전위정신이 제도권에 영합하는 모순적인 결과로 귀결되었다. 단색조 회화를 둘러싼 논의에는 이처럼 여러 이질적이고 상충하는 가치들이 공존한다. 단색조 회화는 서구식 근대화를 이룩하는 동시에 한국적 정체성을 고수해야 했던 시대적 요구가 만들어낸 특수한 문화적 산물이었다. 또한 단색조 회화를 지지한 ‘한국적 모더니즘’의 담론은 백색의 전통으로 현대적 추상미술을 정립하고, 무한 반복적 행위를 통해 최소한의 미학을 추구하며, ‘무위자연’이라는 탈속의 사상을 내세워 세속의 엘리트 예술 취향을 구현하는 한편, 전위미술 운동으로 화단 정치를 실행에 옮기는 등 모순과 역설을 포괄하는 담론이었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의 논의를 통해 단색조 회화 운동과 이를 지지하는 미학이 순수한 추상미술 그 자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들이 충돌하고 모순적인 가치들이 공모하는 중층의 혼성적인 구조로 직조되어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B. 연구의 방법과 본문의 구성 7 Ⅱ. 1970년대 한국 사회와 미술 13 A. 유신시대 민족주의 전통 이데올로기 13 B. 고도 경제성장과 도시 중간계급의 탄생 22 C. 서구화된 삶의 방식과 문화의 계층 구분 30 Ⅲ. 단색조 회화의 성립과 전개 36 A. 한일관계의 전환과 단색조 회화의 형성 40 B. 한·미·일의 지정학적 관계 속 단색조 회화의 공식화 50 C. 한국미술의 국제화와 단색조 회화의 번성 60 Ⅳ. 당대의 사회적 맥락을 통해 본 한국적 모더니즘의 이면 69 A. 백색 미학에 내재된 지정학적 역학 관계 69 1. 백색의 전통을 통한 현대적 추상미술의 정립 69 2. 백색 미학의 민족주의적 의미 80 3. 한일관계를 통해 부각된 백색 미학 92 B. 무한 반복적 행위로 창출한 경제적 가치 104 1. 행위의 반복을 통한 최소한의 미학 추구 104 2. 서구 근대주의의 대안으로서의 신체의 의미 118 3. 금전적 가치로 환산된 신체 미학 132 C. 무위자연 사상으로 구현한 도시 엘리트 계층의 예술취향 144 1. 수양의 과정으로서의 예술개념 144 2. 탈속을 표방한 미술의 주류화 160 D. 전위미술 운동 이면의 화단 정치 173 1. 전위미술로서의 추상미술 173 2. 전위미술 운동의 제도권화 183 Ⅴ. 결론 197 참고문헌 205 도판목록 236 도판 243 Abstract 2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7840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1970년대 한국 단색조 회화 운동-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한국적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적 고찰-
dc.title.translatedThe Korean Monochrome Painting Movement of the 1970s : The Critical Consideration on ‘Korean Modernism’-
dc.creator.othernameKwon, Young Jin-
dc.format.pagevi, 28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