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원-
dc.contributor.author최경화-
dc.creator최경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52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7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5278-
dc.description.abstractWhite porcelains produced in the royal kilns when they were located in Bunwon-ri are of a unique and distinctive style tha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porcelains. The reason is that the conditions for white porcelain production changed since the beginning of Bunwonri, and these changes were directly reflected in the porcelains resulting in a unique style known as the “Bunwonri style.”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white porcelains of the Bunwonri period; however, a substantial portion of these earlier studies needs to be reexamined.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new insight into some studies that have not been ful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by looking into various data that has accumulated and renew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Bunwonri white porcelain by exploring under-researched aspects of the porcelain war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opens a new dialogue on topics including production background and methods, chronology, international relations, style, and period classification. New facts have been found in regards to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the Bunwonri white porcelain ware.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the cause of the prosperity of sabeon (私燔, porcelain produced for personal use) was due to the tonggongbalmae (通共發賣, a policy that allowed goods to be sold outside the Six Licensed Stores). Considering the fact that merchants started to take control over manual industry sites in the mid-18th century and expanded until the 19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sabeon around the mid-18th century reveals the high value of porcelains produced in Bunwon, the government-subsidized kilns located in Bunwon-ri. However, the development of sabeon also indicates how Bunwon’s role as a place for ceramic production for public use changed, and this fact can be found from the breakdown of the byeonsu (邊首, the head of Bunwon) system in the 1830s. Also, journals written by gongin (貢人, merchants who offered goods to the court) provide specific details about the time of Bunwon’s privatization (1883), which has been incorrect so far, the abolition (1895) of Bunwon Gongso (a branch of Bunwon that was privatized by gongin),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Gongso, and the ceramic industry in Bunwonri following its shift to Gongso. Recent excavations and the accumulation of resources have laid out data that fill in the largest chronological gap in the history of Bunwonri white porcelain, which is during the third quarter of the 18th century and from the fourth quarter of the 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Particularly, the excavation of the second kiln in Bunwonri, which can be included in the period from the fourth quarter of the 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shows the change in features such as the foot style that differs from porcelains made during the mid-Joseon period. Meanwhile, artifacts excavated at Gyeongbok Palace, of which are recorded as during the 19th century, also include jojil (rough quality) white porcelains, which show a phase of jojil types in the 19th century that was not well known. Furthermore, this excavation offers an opportunity to compare the foot and foot trimming of jojil types with those of yangjil (high quality) white porcelains in order to infer the production tendencies of Bunwonri white porcelains at that time. In addition to excavated artifacts, chronological dating has become possible since numerous artifacts from previous eras have been newly discovered. Also, existing chronological dating of certain artifacts has been modified after reexamination of the chronicle and properties of those artifacts. In regards to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e time, existing opinions about Joseon’s relations to China have been reconsidered. After the official records in 1873, the use of Chinese porcelain was no longer found in historical records after Korea’s ports were first opened for trade. And since the Sino-Japanese War in 1894, trade with the Qing Dynasty was suspended, and the influence of Chinese porcelains was no longer seen. However, the Qing’s influence continued to affect trade even after the Sino-Japanese War until it rapidly declined following the Russo-Japanese War (1904). From the records of official banquets from 1901 to 1902, many Chinese porcelains were used, which indicates that the preference for Chinese porcelains continued. With regard to Joseon-Japan relations, a detailed study on the situation following the port opening as well as the inflow of Japanese porcelain prior to the port opening was conducted for this paper since previous studies have been insufficient. What is notable is that the records of envoys and relics confirmed the fact that the export of Japanese porcelains to Joseon was already conducted around the mid 18th century, which is earlier than the An‘ei era, or the era of peaceful eternity, (1772-1781) publicly declared by Japan. Although Japanese porcelains were often used by the royal family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they were hardly considered important at royal events, for their status as craftworks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of Chinese porcelains. Following the port opening, the establishment of the Article of Association on Exclusive Wholesalers in Export to the Joseon Dynasty (朝鮮國輸出 一手問屋定款) in 1888 boosted the domestic supply of Japanese porcelains, and such large-scale distribution of Japanese porcelains led to the encroachment of the domestic market, going as far as contributing to a disconnection of Korean ceramic tradition. Regarding the style of white porcelain, this paper illuminates new insight into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popularity of the gilsang pattern, or auspicious pattern believed to bring good luck. The popularity has been attributed to gilsang paintings, which formed the mainstream of painting during the late Joseon era, and the prevalence of the gilsang pattern on foreign porcelains. Furthermore, the commercial-oriented society, the popularity of Taoism, and growing production of sabeon toward the late Joseon era accelerated the use of the gilsang pattern. Another evident characteristic of the pattern is the elements of folk painting, the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an aesthetic society around the mid-18th century that began in the early 18th century.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orcelain type, bowls of the Geumsari form produced in the late 18th century were either no longer produced from the 19th century or morphed into a different form. Since the 19th century, the decorative inlay technique decreased in frequency, which was commonly seen on bowls produced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and technical advances took place such as the use of pressed molds instead of carving individual floral leaf patterns on the surface of a bowl. Also, plates with carved surfaces grew more splendid while developing a deep relation with foreign porcelains. This paper also newly classifies the dates for the Bunwonri period, deviating from the existing classification of the late 18th century through the late 19th century. This paper defines the primary phase as “the Bunwonri style mixed with that of Geumsari,” spanning from 1752 to the early 19th century; and the original style of Bunwonri was considered to appear later than the 1790s. What is noticeable is that the appearance of the original Bunwonri style came with changes in production technique as well, including new foot forms for yangjil white porcelains and the use of gab-bal (匣鉢, a small case that protects the porcelain in the kiln from contamination by ashes). Furthermore, the new form of gab-bal enabled mass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 which implies that the mass production of the Bunwonri-style white porcelain began after the 1790s. The secondary phase is “th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the Bunwonri white porcelain,” ranging from the 1820s to 1890s. Existing studies largely divided the 19th century into two periods, the first and later half of the 19th century, yet this paper posits that the style in the first half period continued until the later half period, therefore it is hard to find a clear ground for simply dividing the 19th century into two periods. The third phase was “the decline of the Bunwonri white porcelain,” which came after the 1890s. The production shifted towards jojil-porcelain-orientated along with the changes in white porcelain style, especially regarding the degradation in quality of white porcelain that started to take place around 1895. It is anticipated that the discussions mentioned in this paper will renew the understanding of Bunwonri white porcelain. This paper was able to confirm once again that Bunwonri white porcelain is ceramic ware that represents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the style of Bunwonri white porcelain has as various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s its background factors surrounding it. This analysis of Bunwonri porcelain has the significant implication that in the process of breaking away from being an exclusive property of certain classes and entering into commercialization, Bunwonri white porcelain reflected a greater variety of tastes and demand than the royal white porcelains of any other era. ;分院里 시기 官窯백자는 이전 시기의 백자와는 뚜렷하게 구분되어 독특하고 개성 있는 양식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분원리 극 초기부터 백자제작을 둘러싼 많은 여건의 변화가 백자에도 그대로 투영되어 ‘분원리 양식’이라고 하는 고유의 양식을 창출하였기 때문이다. 분원리 시기 백자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상당 부분에 대해 재검토가 불가피하고, 그 동안 연구가 미진하였던 부분 역시 새롭게 고찰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여러 문제점들을 그동안 축적된 각종 자료를 통해 해결하고, 미진하였던 부분에 대해서도 고찰하여 분원리 백자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새롭게 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고에서는 분원리 백자의 제작배경, 편년문제, 대외관계, 양식분석, 시기구분 등에 대해 새롭게 논의하였다. 제작배경에 대해서는 새로운 사실들을 살펴볼 수 있다. 우선 18세기 중엽 私燔의 융성 원인이 상업에서 通共發賣 경향 때문임을 알게 되었다. 상인들의 수공업장 지배가 18세기 중엽부터 시작되어 19세기 일반화되었던 것으로 볼 때, 18세기 중엽 사번의 발달은 분원자기의 상품가치가 매우 높았음을 시사해 준다. 그러나 사번의 발달은 동시에 분원의 官窯 성격 변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같은 사실은 1830년대에 邊首의 혁파 사실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어 貢人의 일기를 통해서는 그동안 잘못알고 있던 분원의 민영화 시점(1883)을 비롯하여 分院貢所의 하한(1895), 공소의 운영실태 그리고 공소 이후 분원리에서의 요업상황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하게 되었다. 편년문제는 최근 활발한 발굴과 자료의 축적으로 분원리 백자의 가장 큰 편년 공백기인 18세기 3/4 분기와 18세기 4/4분기-19세기 초로 편년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였다. 특별히 18세기 4/4분기-19세기 초로 편년되는 분원리 가마2호 발굴을 통해서는 조선중기와는 다른 굽받침법과 같은 제작기술상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이어 19세기 편년유물이 다수 출토된 경복궁 발굴은 조질백자도 포함되어 있어 여태까지 정확하게 알 수 없었던 19세기 조질백자의 양상을 파악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조질백자에 나타나는 굽받침·굽깎음 등 양질백자와의 비교를 통해서는 당시 분원리 백자의 제작경향 또한 유추해 볼 수 있다. 발굴유물에 이어 새롭게 출현한 다수의 전세유물에 대해서도 편년을 설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기존에 편년하였던 전세유물은 재검토를 통해 편년과 유물의 성격을 수정하기도 하였다. 대외관계 중 대중관계는 기존 연구를 재검토 하였다. 기존 견해는 1873년 의궤에서 중국자기의 사용 기록을 끝으로 개항 이후에는 의궤에서 중국자기의 사용이 보이지 않으며, 1894년 청일전쟁 이후로는 청과의 교역도 단절되어 더 이상 중국자기의 영향이 확인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무역 시장에서 청의 영향력은 청일전쟁 이후로도 지속되어 러일전쟁(1904) 이후에야 급감하였고, 1901-1902년의 연향에서는 많은 수의 중국자기가 사용되어 중국자기의 지속적인 애호를 살펴볼 수 있었다. 대일관계는 그동안 연구가 미진하였던 개항 이전 일본자기의 유입을 포함하여 개항 이후의 상황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중 주목되는 것은 使行기록과 유물을 통해 일본 측이 공식적으로 표방하는 安永연간(1772-1781) 보다 이른 18세기 중엽 경에 이미 일본자기의 對조선 수출이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18세기 후반 이후 일본자기가 왕실에서 활발히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왕실행사에서는 중요하게 취급되지 못하였는데, 이는 중국자기와 공예적 위상이 근본적으로 달랐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개항 이후에는 1888년 ‘朝鮮國輸出 一手問屋定款’의 정립으로 일본자기의 국내 보급이 크게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일본자기의 대규모 유통은 국내시장 잠식으로 이어져 전통도자 단절의 요인으로까지 작용하였다. 백자양식에서는 문양에 보이는 큰 특징인 길상문 유행의 근본 원인을 새롭게 파악하고 그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는 조선후기 회화의 큰 흐름인 길상화와 외래자기에 만연하였던 길상문의 영향 때문으로 이와 함께 조선후기 상업중심 사회, 도교의 유행, 사번의 발달 등은 길상문의 사용을 가속화시켰다. 문양에 보이는 또 다른 큰 특징으로는 민화적 표현을 들 수 있는데, 이 역시 18세기 초 제작되기 시작하여 18세기 중엽 이후 크게 발전하였던 화단의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한편 기종에 나타나는 특징으로는 18세기 후반 제작된 금사리 기형의 발·대접은 19세기 이후에는 제작되지 않거나 변화된 형태로 제작되었다. 그리고 19세기 이후에는 18세기 후반 발·대접에 빈번하였던 면각장식이 감소하였고, 내면을 화판형태로 일일이 깎던 것에서 틀을 사용하는 기술적 진보를 보였다. 또한 면각접시의 경우는 외래자기와 깊은 연관성 속에서 더욱 더 화려하게 제작되었다. 시기구분은 기존에 18세기 후반, 19세기 전반, 19세기 후반으로 구분한 것과는 달리 새롭게 구분하였다. 제 1기는 ‘금사리 양식과의 혼재기’로 1752-19세기 초까지로 보았으며, 분원리 고유양식의 출현은 1790년대 이후로 파악하였다. 그 중 주목되는 것은 분원리 고유양식의 출현과 함께 양질백자에서 새로운 굽받침과 갑발의 사용과 같은 제작 기술상의 변화도 수반되었다는 점이다. 더욱이 새로운 형태의 갑발은 백자의 양산을 가능케 하는 것이어서, 1790년대 이후 분원리 백자는 양산체제로 전환되어 갔음을 시사해 준다. 제 2기는 ‘분원리 백자 양식의 정착 및 발전기’로 1820년대-1890년까지로 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19세기를 대개 전반과 후반으로 양분하였으나 전반의 양식이 후반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현재 전·후반으로 구분할만한 뚜렷한 근거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제 3기는 ‘분원리 백자의 쇠퇴기’로 1890년 이후로 설정하였다. 백자양식의 변화와 함께 조질 위주로 생산이 변화되었으며, 특별히 백자의 질 저하는 대개 1895년 무렵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논의들을 통하여 분원리 백자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였다. 아울러 분원리 백자는 양식에 나타나는 특성만큼이나 백자를 둘러싸고 있는 배경 요인 또한 여느 시기와도 뚜렷이 구분되고 다양하여, 시대상을 망라하는 산물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가운데서도 특정 계층의 전유물에서 점차 벗어나 상품화 되는 과정에서 어느 시기의 관요백자보다도 확대된 수요층의 다양한 취향을 그릇에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머리말 1 1. 연구현황 및 문제제기 1 2. 연구목적과 내용 6 Ⅱ. 분원의 고정과 백자의 제작배경 9 1. 분원리로 영구정착 9 2. 상업자본의 수공업장 지배와 私燔의 융성 12 3. 분원의 민영화와 이후 貢所의 운영 16 1) 분원의 관요 성격 변질 16 2) 減省廳의 구조조정과 분원의 민영화 18 3) 分院貢所의 성격 및 운영 23 (1) 성격 23 (2) 운영 23 ① 백토 24 ② 번목 27 ③ 진상 28 ④ 유통 29 ⑤ 장인 31 Ⅲ. 분원리 백자 편년자료에 대한 고찰 35 1. 발굴유물 35 1) 경희궁 출토유물 35 2) 분원리 1호요지 가마2호 상부퇴적 및 바닥내 출토유물 37 (1) 상부퇴적 출토유물의 시기추정 38 (2) 상부퇴적 및 바닥내 출토유물의 유사성 검토 52 (3) 상부퇴적 및 바닥내 출토유물의 제작 특징 55 3) 경복궁 출토유물 58 (1) 출토유물의 편년 59 (2) 19세기 편년유물의 제작 특징 및 의미62 (3) 편년추정이 가능한 명문자료 71 4) 창덕궁 출토유물 73 2. 傳世유물 73 3. 문헌기록 유물 95 Ⅳ. 분원리 백자의 대외교류 100 1. 외래자기의 유입배경 100 2. 대중관계 105 1) 중국자기에 대한 인식 105 2) 기록에 나타난 중국자기의 유입사실 107 3) 중국자기 유입의 전개양상 113 (1) 왕실 소용 114 (2) 일반 소용 121 4) 분원리 백자에 나타난 중국자기의 요소 123 (1) 문양 123 (2) 기종 127 (3) 굽깎음 131 (4) 기타 132 3. 대일관계 132 1) 일본기명에 대한 인식 132 2) 기록에 나타난 일본자기의 유입사실 136 3) 일본자기 유입의 전개양상 144 (1) 개항 이전 144 (2) 개항 이후 147 4) 분원리 백자에 나타난 일본자기의 요소 154 (1) 문양 154 (2) 기종 160 (3) 요도구 161 4. 대외교류의 특징 164 Ⅴ. 분원리 백자의 양식 특징 169 1. 문양의 종류 및 특징 169 1) 문양의 종류 171 (1) 산수문 171 (2) 사군자문 173 (3) 길상문자 175 (4) 화조문 177 (5) 기명절지문 186 (6) 인물문 187 (7) 동물문 189 (8) 어해문 204 (9) 장생문 204 (10) 기타 207 2) 문양의 특징 209 2. 기종별 형태 및 특징 212 1) 기종 및 형태 212 (1) 발 212 (2) 대접 213 (3) 접시 214 (4) 잔 216 (5) 호 216 (6) 병 219 (7) 기타 221 2) 기종별 형태에 따른 특징 223 Ⅵ. 분원리 백자의 시기구분 232 1. 기존학설 검토 232 2. 시기구분 235 Ⅶ. 맺음말 244 참고문헌 249 표목록 274 도판목록 276 도판 289 Abstract 3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3770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朝鮮後期 分院里 時期 官窯白磁 硏究-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1752-1895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White Porcelains Produced in the Royal Kilns during the period of Bunwonri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rom 1752 to 1895-
dc.creator.othernameChoi, Kyung Hwa-
dc.format.pagevi, 33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