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은-
dc.contributor.author박희경-
dc.creator박희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7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7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733-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학교는 사회 환경의 급속한 변화, 외부의 기대와 요구의 증가 등으로 인해 그 어떤 시기보다 변화와 개혁의 소용돌이 속에 갈등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도전의 시기에 학교가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한 명의 지도자에게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지도성으로는 부족하다. 학교가 직면하고 있는 모든 문제에 있어서 학교장이 전적으로 조직의 성과와 책임을 다할 수 없는 시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전통적 지도성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교 구성원 모두가 함께 지도성을 발휘하는 ‘실행상황’에 중점을 두는 새로운 지도성, 분산적 지도성 논의가 필요하다. 학교조직의 중심 구성원인 교사는 학교조직의 변화와 발전을 이루어가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므로 교사 각자를 중요 요소로 인식해야 한다. 교사의 자발적인 변화․개혁의 의지 없이는 어떠한 교육 개혁도 성공할 수 없기에 능동적인 조직 구성원으로서 교사 임파워먼트가 강조되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 개인의 파워나 동기부여를 통해 학교조직을 활성화시키고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내는 분산적 지도성과 능동적 구성원으로서 교사들의 활력을 이끌어내는 교사 임파워먼트가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및 구조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은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경력, 학교규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지도성이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에, 교사 임파워먼트가 학교조직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지도성과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고자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문항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문항을 토대로 3차에 걸쳐 내용타당도 및 안면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쳤다. 예비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를 위해 서울 소재 초등학교 20개교 250명의 교사를 임의표집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 소재 초등학교 42개교 1,0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984부(98.4%)중 총 965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측정 설문지의 문항내적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 값을 산출하고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배경변인별 차이검증을 하였다. 연구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문제 3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변인들 간의 직․간접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8.0과 AMOS 21.0을 이용하였고, 유의도 p<.05, p<.01, p<.001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남교사, 경력 20년 이상인 교사, 규모가 큰 학교의 교사일수록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둘째,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상호간의 영향력 분석결과 분산적 지도성은 교사 임파워먼트에 대하여 약 46.8%의 설명력이 있었다. 의사결정 참여에 대해 약 44.5%, 역량에 대해 약 27%, 자율성에 약 26.7%정도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교사 임파워먼트 전체로 볼 때, 분산적 지도성은 학습조직문화, 지도자확대, 실행상황, 비전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분산적 지도성은 학교조직 효과성에 대해 약 67.8%정도를 설명했다. 조직적응에 약 61.6%, 직무만족에 약 58.5%, 직무성과에 약 49.9%정도의 설명력을 보였다. 학교조직 효과성 전체로 볼 때, 분산적 지도성은 학습조직문화, 지도자확대, 비전, 실행상황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교사 임파워먼트는 학교조직 효과성을 약 52.2%정도 설명했다. 직무만족에 약 48.8%, 조직적응에 약 44.9%, 직무성과에 약 36.9%의 설명력을 보였다. 교사 임파워먼트는 의사결정 참여, 역량, 자율성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가설적 경로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는 학교조직 효과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분산적 지도성은 학교조직 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교사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여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남교사 집단과 여교사 집단 모두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가 학교조직 효과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남교사 집단의 경우 분산적 지도성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교사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만 유의하였다. 여교사 집단의 경우 직․간접 효과가 모두 유의하였으며,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여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직경력에 따른 경로계수 추정결과 5년 미만, 5-9년, 10-19년 경력 교사 집단은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가 학교조직 효과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분산적 지도성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도 모두 유의하였고,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할 때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20년 이상 교사 집단의 경우, 분산적 지도성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으며, 교사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교규모별로 경로계수를 추정한 결과 모든 규모의 학교 교사 집단의 경우,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가 학교조직 효과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분산적 지도성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도 모두 유의하였으며,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할 때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학교현장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학교조직은 학생, 학부모, 교원, 행정직원 등 다양한 속성을 지닌 구성원들로 형성되어 있다. 실제 이들이 학교경영 행위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경우는 매우 제한적이다. 단위학교 책임경영을 강조하는 지금의 시점에서 민주적이고 자율적인 학교경영을 통한 학교조직의 목표달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학교현장에서는 다양한 학교구성원들의 적극적인 분산적 지도성의 발휘, 특히 교사들의 임파워먼트 증대가 필수적이다. 둘째, 교육과정, 인사 재정 등 학교경영의 중요영역에 대해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단위학교의 의사결정 기구를 구성하고 이것을 국가적 차원에서 법제화해야 할 것이다. 물론 참여적 의사결정기구가 책무성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가 기반이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들이 개혁의 주체로 인식되어야 한다. 교육개혁이나 학교개혁의 목적은 교육의 질 향상에 있으며 이는 교사들이 학교경영, 특히 교수학습과 관련된 분야에서 학교개혁을 이끌어나가는 주체로서 참여할 때 궁극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분산적 지도성을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를 개혁의 주된 과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일정 기간에 실시한 설문지 조사를 중심으로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따라서 이들 변인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롭고 다양한 측정도구의 개발과 장기간에 걸쳐 정기적으로 조사대상자를 추적하는 종단적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분산적 지도성과 관련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태이다. 지속적인 실증연구를 통해 이 연구결과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대상 선정에서 여교사 비율이 높은 초등학교의 특수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여교사가 많이 표집되었다. 이러한 점은 본 연구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된 인과관계 모형이 남교사와 여교사의 비율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다음 연구에서는 남․여교사를 표집에 있어서 비슷한 수준으로 표집하거나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통한 면밀한 추가적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분산적 지도성은 지도자 확대를 통해 학교의 실행상황에 분산되어 발휘되는 지도성이므로 본질적으로 학교공동체를 지향하는 지도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인식이 전체 구성원의 인식을 모두 반영할 수는 없으므로 교장, 교감을 비롯한 학교 전 구성원이 지각하는 수준으로 확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분산적 지도성에 관한 연구주제와 연구영역이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 집중된 지도성 이론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선행연구는 그동안 많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학교조직에서 무엇보다 필요하며 요즘 대두되고 있는 분산적 지도성과의 연구는 미흡하여 본 연구 결과와의 비교분석이 어려웠다. 따라서 분산적 지도성에 관한 연구 주제와 영역을 확산하여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의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분산적 지도성이 이론적 논의 수준에 머물던 것을 전체 연구대상, 초등학교 교사 배경변인별(성별, 교직경력), 학교 배경변인(학교규모)으로 차별화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As a new type of leadership practice, distributed leadership is focused on enhancing the performance and accountability of school organizations in which become more professionalized, diversified, and complicated these days. In this contex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leadership theory, all members of the school to show new leadership with an emphasis on 'practicing situation', discuss distributed leadership is needed. Also, the importance of teacher empowement is can't pass away because it is the method of teachers' autonomy highly and rich originality. It is a keyword that goes success of education reform for teacher ability properly correspond to verity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research problem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sex, career, school size)? Second, what are the effects among the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what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solve these problems, a research model on the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In the first phase of the preliminary study, preliminary measurements were designed after three phases of examination to develop the questionnaire. In the second phase, the 250 sample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Seoul were analyz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reliminary measurements. The final mesurements for 24 distributed leadership, 24 teachers' empowerment, 19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 questions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selected questions. The final phase, the 1000 persons took part in this study. However, total of 965 persons were finally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except for the data whose contents of responses were faithless or which were responded by certain rules, not by respondents' thoughts. First of all,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each measurement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and GFI, AGFI, RMR, NFI, CFI, IFI were used to examine the conformit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as used to examine if there is a difference of perspective on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teacher and school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operated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three factors and their influence on one anoth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xecuted to verify the effect the teachers' empowerment mediating the distributed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teacher, higher career teachers who worked for more than 20 years, more than 43 classes have relatively high acquisition on the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lated to second research issue, the distributed leadership effects to teachers'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eachers' empowerment effects to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istributed leadership effect on teachers' empowerment by 46.8% of explanation power. Refer to low level area, about 44.5% on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27% on capacity, 26.7% on autonomy. Distributed leadership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67.8% of explanation power. Refer to low level area, about 61.6% on adaptability of organization, 58.5% on job satisfaction, 49.9% on job performance. Teachers' empowerment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52.2% of explanation power. Refer to low level area, about 48.8% on job satisfaction, 44.9% on adaptability of organization, 36.9% on job performance. Third, for all subjects,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ffect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sitively. It was observed that distributed leadership and teachers' empowerment affect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sitively. The results also show that distributed leadership had a direct effect i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eachers' empowerment. Fourth, for male teachers' group and female teachers' group,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ffect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sitively. For male teachers' group, the results show that distributed leadership had a direct effect i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had not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eachers' empowerment. For female teachers' group, the results show that distributed leadership had a direct effect i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eachers' empowerment. For less than 5 years group, 5-9 years group, 10-19 years group,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ffect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sitively. The results also show that distributed leadership had a direct effect i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eachers' empowerment. But in case of more than 20 years group, distributed leadership did not affec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ly distributed leadership had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eachers' empowerment. For less than 18 classes group, 18-42 classes group and more than 43 classes group,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ffect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sitively. The results also show that distributed leadership had a direct effect i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eachers' empowerment.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ractice of distributed leadership consider about sex, career, size of school, surely. Second, all of principal and teachers is are co-leader.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use of such as the distributed leadership factors and such as teachers' empowerment in order to increas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could help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Third, it was found that teachers' empowerment served as a positive mediator to the effects of distributed leadership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o principals should realise the importance of teachers in school organization, approve of them, extend their autonomy, and let them take part in major decision-making in order to enhanc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suggestions are as following: First, it's necessary to do in-depth follow-up studies by developing the mesurement tool for the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s' empowermne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longitudinal studies. Second, this study based on a teachers' perceptions of leadership because it was self-assertion rather than the dispersive properties of teachers felt so read and so there can be a difference. in following research, the principal, vice-principal, including all members of the school expanded to the level of perception research will be done. Third, in rapidly changing education reality principal's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are important, but empowerment of teachers to improve the co-principal & teacher participation in training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Finally to learn about the research of distributed leadership of the principal to any mediator affect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respect to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is will be a meaningful research topic.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mpirical research that the distributed leadership which received a lot of attention in the theorical discussion was differentiated by all the subjects of study,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sex, career) and school background(siz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 연구 문제 5 II . 이론적 배경 7 A. 분산적 지도성 7 1. 지도성 이론의 발달 7 2. 분산적 지도성의 개념 및 특성 11 3. 분산적 지도성의 구성요소 18 B. 교사 임파워먼트 30 1. 임파워먼트 배경과 의의 30 2. 교사 임파워먼트의 개념 31 3.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소 39 C. 학교조직 효과성 46 1. 학교조직 효과성의 개념 46 2. 학교조직 효과성의 이론 접근 모형 49 3. 학교조직 효과성의 구성요소 54 D.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 61 1. 분산적 지도성과 학교조직 효과성 61 2. 분산적 지도성과 교사 임파워먼트 63 3. 교사 임파워먼트와 학교조직 효과성 64 4.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 66 III. 연구방법 70 A. 연구모형 70 B.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73 C . 측정도구 79 D . 자료처리 93 IV. 연구결과 95 A. 배경변인별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인식차이 95 B.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영향력 105 C.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 112 V. 요약 및 결론 133 A. 요약 및 논의 133 B. 결론 및 제언 139 참고문헌 145 부록 159 ABSTRACT 1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951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등학교의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among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t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Park, Hee Kyoung-
dc.format.pagexii, 17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