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3 Download: 0

당뇨병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연구

Title
당뇨병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연구
Authors
유승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지영
Abstract
배경: 당뇨병을 관리하기 위한 자기관리 노력을 통한 습관 변화는 매우 중요하며, 당뇨병 교육을 통해서 임상적인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지속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모바일 기술을 당뇨병 관리에 접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당뇨병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만성질환 관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앱을 기반으로 한 당뇨병 자가 관리 지원 시스템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8월부터 2013년 3월까지 강북삼성병원 당뇨병전문센터 외래에 방문한 당화혈색소 6.5%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 연구로 수행하였으며, 총 66명의 값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스마트폰을 통한 자가 관리를 지원하는 시험군과 통상적인 진료만을 수행하는 대조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앱을 통해서 스스로 측정한 값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강화될 수 있었으며 담당 간호사가 보내는 맞춤형 메시지를 통해서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또한 혈당 측정값에 대한 분석과 행동변화를 위한 다양한 관리자와의 쌍방향 소통이 가능했다. 임상에 참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당화혈색소를 포함한 실험실 결과 값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그 외에도 당뇨병 관련 자가관리 행위의 변화 및 삶의 질을 두 군 모두에서 살펴보았다. 결과: 시험군의 경우 6개월 이후 당화혈색소 및 총 콜레스테롤 수치와 중성지방 값의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조군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당화혈색소의 목표 달성 여부를 살펴보았을 때, 7.0%미만으로 조절된 경우는 시험군에서 48.7%로 대조군 14.8%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P=.008). 또한 순응도에 따라서 당화혈색소의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세 군의 변화 값은 Good-user group, Poor-user group, Control group 각각 -0.55±0.70%, +0.10±0.40%, +0.03±0.83%로 Good-user group의 경우 당화혈색소가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7). 스트레스나 만족도 설문 결과에서 대조군과 달리 시험에 참여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대부분의 환자들이 먹고 마시는 문제로 인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당뇨병 환자에게 스마트폰 앱 기반의 관리 시스템을 통상적인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여, 환자들 스스로의 자기관리 행위의 증가를 통한 당화혈색소를 비롯한 임상적인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목표 설정과 관리자의 지원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치료의 효과 및 만족도 증가에도 불구하고 삶의 질은 감소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보다 식사와 관련된 지원을 추가한 서비스의 고려가 필요하겠다. 앱의 자가 측정값 입력 기능 및 메시지 기능을 통해 간호사에 의한 질환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당뇨병 관리행위를 강화하는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Back ground: Reinforcement of diabetes self-care education may be necessary component in diabetes management and it is well established that the importance of diabetes education in supporting patient's efforts to improve self-management but difficult to sustain. The mobile technology is potentially available to the diabetes management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mart phone based diabetes self-management supporting system. Methods: In this randomized controlled but open labelled study, total 70 patients were randomized to either a smart phone based self-management supporting group or control group. 66 patients completed the study. In this study intervention group received automated realtime educational behavioral coaching messaging in response to individually analyzed blood glucose levels and other behavior reports. Participants were accessed for HbA1c levels, and other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 also evaluated diabetes-self ca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of both group. Results: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levels of HbA1c,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fter 6 months follow-up compared to the baseline in the intervention group, but not in control group. The achievement of target HbA1C (below 7.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14.8% in control group vs. 48.7% in intervention group, P=.008). In subgroup analysis, the HbA1c level after 6 months follow-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good-user group than Poor-user and control group, with change in mean HbA1C of -0.55±0.70%, +0.10±0.40% and +0.03±0.83%, respectively(P=.007). And self- management activities also improved only in Good-user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martphone based diabetes management system achieved better glycemic control than routine care and may provide effective and safe diabetes management in the diabetic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