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병구-
dc.contributor.author신보현-
dc.creator신보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5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6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549-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defined health literacy(HL) as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have the capacity to obtain, process and understand basic health information and services needed to make appropriate health decisions”. People with low health literacy skills tend not fully to understand administration techniques, dosing accuracy and exact dosing frequency. However, it is still unclear whether low health literacy is associated with medication adherence. Objective & Methods: The aim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1)To review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s(measurement tools used to evaluate health literacy) frequently used (2)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adherence (3) to assess the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medication adherence Keyword searches were conducted in RISS, Pubmed, PsycInfo, CINAHL plus with full text, and google scholar. Search terms were medication adherence, patient compliance, health literacy and related terms. Results: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s include the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REALM), the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Revised (REALM-R), the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TOFHLA), Short- the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S-TOFHLA) and the Newest Vital Signs(NV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clinical trials and the clinical setting. The single item literacy screener was developed to identify patients with low health literacy by Morris et al., 2006.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literacy and medication adherence in the studies of Kelly W Muir et al., 2006, Freedman et al., 2012, Osborn et al., 2011, Bauer et al., 2013, Kripalani et al., 2010, Kalichman et al., 1999, Wolf et al., 2007. In contrast, Hironaka reported that patients with limited health literacy are more likely to be adherent to medications. However, the studies of Kelly W. Muir et al., 2012, Gazmararian et al., 2006, Colbert et al., 2013, Murphy et al., 2010, Mosher et al., 2012, Fang et al., 2006, Quinlan et al., 2013, and Apter et al., 2013 show that health literacy did not influence medication adherence. There are a variety of strategies tried to improve health literacy skills: plain language, Arabic numerals for dosing frequency, pictograms, pictures of medications, illustrated instructions, tailored adherence counseling, postcard and phone-call announced for medication refill, a universal medication schedule(e.g. morning, noon, evening and bedtime). Of these, pharmacist counselling and therapeutic monitoring increased medication adherence in both of low and adequate health literacy groups. In the study of Noureldin et al., 2012, illustrated instructions and patient centered label help low health literacy patients to understand medical information. Conclusion: Research finding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medication adherence is complex so that a need exists for identifying other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adherence. Continuous studies about assessment tools and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medication adherence are needed.;2000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건강정보 이해능력(health literacy)을 “건강에 관련된 적절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본 건강지식이나 서비스를 얻고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가진 정도” 라고 정의하고 있다. <국민의 기초 문해력 조사>에 따르면, 한국 노인 약 5명 중 1명은 읽고 쓰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처방전을 읽는 데 곤란을 호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사람들은 의약품 투약과 관련하여, 의약품의 복용법, 흡입 방법, 용량, 투여 간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이는 복약순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하여 임상과 연구에 이용 빈도가 높은 건강정보 이해능력 측정 도구들의 특징을 정리하고,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복약순응도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며,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사람들의 복약순응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현황조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RISS, PubMed, PsycINFO,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CINAHL) Plus with Full Text, Google scholar의 데이터베이스에서 health literacy, literacy와 medication adherence, patient compliance, 건강정보 이해능력, 복약순응도를 키워드로 하여 문헌 검색을 실시하였다. 의료정보 이해능력과 복약순응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복약순응도 향상 방법의 연구에서는 결과를 복약순응도(자가보고 순응도, 리필 순응도, medication event monitoring system, 복약불이행)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하였다.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는 단어 인지력을 평가하는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REALM),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Revised(REALM-R), 단어 이해력과 수리력을 함께 평가하는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TOFHLA), Short-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S-TOFHLA), The Newest Vital Sign(NVS)가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 받아 널리 사용되고 있고, Chew 등(2004)의 평가도구가 의료 현장에서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사람을 스크리닝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한국에서는 이들 도구를 번역, 한국 실정에 맞게 개정한 도구들(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the Korean Health Literacy Scale 등)이 고안되어 평가에 이용되고 있다.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복약순응도 간의 관계에 대한 문헌 조사에서는 Muir 등 (2006), Freedman 등 (2012), Osborn 등(2011), Bauer 등(2013), Kripalani 등(2010), Kalichman 등(1999), Wolf 등(2007)의 연구에서 양자간 양의 상관관계가 보고되었다.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난 Hironaka연구에서는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보호자들에게서 어린이 멀티비타민 제제에 대한 더 높은 수준의 복약순응도가 보고되었다. 반면, Muir 등(2012), Gazmararian 등(2006), Colbert 등(2013), Murphy 등(2010), Mosher 등(2012), Fang 등(2006), Quinlan 등(2013), Apter 등(2013)의 연구에서는 복약순응도는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사람들의 복약순응도를 높이는 방법에 대한 연구에서는 건강정보 이해수준을 고려한 평이한 용어의 사용, 픽토그램, 약의 사진 등을 이용한 시각화된 복약지시문, 복용 횟수의 아라비아 숫자 사용, 표준화된 시간 개념(a universal medication schedule: UMS), 맞춤화된 복약상담, 처방전 리필을 알리는 엽서와 전화, 영어 이외의 스페인어 지원, 약 상자(a pill box)와 같은 보조 도구 등이 테스트 되었다. 이 중 Noureldin 등(2012)은 약사의 복약상담과 모니터링이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군과 높은 군 모두 복약순응도를 향상시켰고, Yin 등(2008)은 시각화된 복약지시문을 이용한 실험군이 복약순응도를 향상시켰으며, Sahm 등(2012)은 건강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환자 중심의 라벨 지시 사항(patient centered label instructions)이 복약순응도를 증가시켰다고 보고하였다. 의료현장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사람들을 확인하고, 그들에게 효과적으로 복약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맞춤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의료비용을 감소시키고, 의료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복약순응도의 관계에 다양한 인자들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되며, 이러한 기저요인들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건강정보 이해능력 측정도구와 복약순응도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되며, 이를 의료 현장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 목적 4 Ⅲ. 연구 방법 5 A. 자료 수집 5 B. 용어 정의 5 C. 연구 내용 6 Ⅳ. 연구 결과 8 A. 건강정보 이해능력 측정 방법 8 B.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복약순응도와의 관계 20 C.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의 복약순응도 향상 전략에 대한 연구 33 Ⅴ. 고찰 48 Ⅵ. 결론 53 참고문헌 54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81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건강정보 이해능력과 복약순응도의 관계 및 복약순응도 향상 방안 연구 현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s between health literacy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strategies to improve medication adherence-
dc.creator.othernameShin, Bo Hyun-
dc.format.pagex,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약학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