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3 Download: 0

임신·수유부의 식이섭취 및 식생활 관련 요인이 모유의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Title
임신·수유부의 식이섭취 및 식생활 관련 요인이 모유의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maternal dietary intakes and dietary behavior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on the fat and fatty acid concentration in Human Milk
Authors
김나영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유리
Abstract
모유의 성분 중 지방산과 총지방은 에너지의 주 급원이고, 아이의 발달에 중요한 영양소이다.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LA, 18:2n-6)와 α-linolenic acid (ALA, 18:3n-3)는 다불포화지방인 Arachidonic acid (AA, 20:4n-6)와 Docosahexaanoic acid (DHA, 22:6n-3)의 전구체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수유모를 대상으로 모유 내 지방산과 총지방 성분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대상자의 특성, 영양섭취상태, 식사의 질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경기지역 소재 산후 조리원에서 산후 회복중인 건강한 수유모를 대상으로 5~15일 된 모유를 채유하였고, 설문지를 통하여 식생할을 조사하였다. 영양섭취실태는 임신기에는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을 이용하였고, 수유기에는 3일 식이기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조사에서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32 ± 3.9 세였으며, 평균 신장은 162.3 ± 4.9 cm이었고, 임신 전 평균 체중은 53.2 ± 5.6 kg이었다. 대상자의 임신 전 BMI는 20.2 ± 2.2 kg/m2이었으며, 임신 중 체중 증가는 13.0 ± 3.5 kg으로 정상 범위에 속하였다. 이행유의 지방 성분을 보면 LA농도는 196.3 ± 133.9 mg/dL이었으며, ALA농도는 26.5 ± 11.8 mg/dL이었고, AA 농도는 6.8 ± 4.3 mg/dL으로 나타났다. DHA의 농도는 7.5 ± 5.2 mg/dL이었고, 총지방의 농도는 2.9 ± 0.9 g/dL으로 나타났다. 모유 내 ALA는 임신기 지질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모유의 LA, AA, DHA, 총지방은 임신기 섭취량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모유 내 LA와 ALA는 임신기 육류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모유 내 총지방과 AA는 수유기 영양소(EPA)섭취의 영향을 받았다. 모유 내 총지방은 수유기 EPA와 DHA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모유 내 AA는 EPA섭취량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유기 EPA섭취량이 중위값보다 높은군에서 모유 내 총지방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모유 내 AA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수유기 DHA섭취량이 중위값보다 높은 군에서 모유 내 LA, AA, DHA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모유 내 ALA와 총지질은 높은 경향을 보인다. 모유 내 LA, ALA, DHA 농도는 수유기 영양소 섭취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모유 내 총지방은 수유기 육류식품섭취에 영향을 받았고, 모유 내 AA 함량은 견과류 식품섭취량에 영향을 받았다. 수유기 육류섭취가 모유 내 AA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모유 내 총지방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유기 견과류의 섭취는 모유 내 AA함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육류의 섭취량이 중의값보다 높은 군에서 모유 내 총지방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견과류 섭취량이 중의값보다 높은 군에서 모유 내 LA와 AA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모유의 AA는 임신 전 BMI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모유의 지방성분은 나이, 키, 체중, 임신기간 체중증가, 출산 후 체중 감소, 출산아수, DQI-P, MDA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모유 내 지방산과 총지방 성분은 모체의 임신기‧수유기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임신‧수유시 모체가 좋은 영양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영아의 이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위해 이루어져야하고, 특히 수유초기 모유의 다불포화지방산은 아이의 시각, 인지, 장기능 발달에 영향을 미치므로 모유 내 지방 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요인과 건강관련 특성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영아의 정상적인 성장 발달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Fat and fatty acids in human milk are energy source and are important for infant development. Essential fatty acids, including linoleic acid (LA, 18:2n-6), α-linolenic acid (ALA, 18:3n-3) are precursors of long chain poly unsaturated fatty acid (LCPUFA) such as arachidonic acid (AA, 20:4n-6) and docosahexaanoic acid (DHA, 22:6n-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maternal dietary behavior and dietary intakes on the concentrations of fat and fatty acids in human milk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Milk samples were collected at 5~15 days postpartum from 45 Korean healthy lactating women from postpartum care centers in Seoul. Dietary intakes of nutrients were determined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during pregnancy and by 3-day dietary records during lactation. The mean maternal age was 32.0 ± 3.9 years old. The mean milk fat, LA, ALA, AA, and DHA concentration were 2.9 ± 0.9 g/dL, 196.3± 133.9 mg/dL, 26.5 ± 11.8 mg/dL, 6.8 ± 4.3 mg/dL, and 7.5 ± 5.2 mg/dL in human milk. Milk FA concentra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fat intake during pregnancy. Milk LA, ALA, AA and DHA concentrations were not correlated with maternal diet during pregnancy. Milk LA and ALA concentrations were correlated with daily intakes of meat during pregnancy. Milk fat concentra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EPA and DHA intakes during lactation. Milk AA concentrations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ternal EPA intake during lactation. Milk LA, ALA and DHA concentrations were not associated with maternal diet during lactation. Daily intakes of meat and nut during lactation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milk fat and fatty acids concentrations. Furthermore, milk AA concentration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BMI), not related with age, height, weight, pregnancy weight gain, postpartum wt. loss, and diet quality assessed by DQI-P, MDA. In conclusion, woman needs to adequate fat and fatty acid intakes for energy source and development for infant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Further researches are necessary to elucidate factors which influence on lipid in human mil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