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9 Download: 0

과학영재, 예술영재 및 일반 고등학생의 성취성향 비교 연구

Title
과학영재, 예술영재 및 일반 고등학생의 성취성향 비교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Nature of Motivation between Gifted Students in Science, Arts and Non-gifted Students
Authors
권은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염현경
Abstract
이 연구는 과학 및 예술 영재 학생들과 일반 고등학생의 성취성향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학생들의 성취동기와 반전이론에 근거한 telic-paratelic 지향을 비교하고 있다. 학생들의 성취성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과학영재와 예술영재 고등학생과 일반 고등학생 간 성취동기와 telic-paratelic 지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취동기와 telic-paratelic 지향의 상관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또한 세 집단 각각의 성취동기가 telic-paratelic 지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성취성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공계와 예술 영역의 특수목적 고등학교 및 일반 고등학교 1학년에서 2학년에 재학 중인 과학영재와 예술영재 및 일반 고등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성취동기 측정 도구와 Telic-Paratelic 지향 질문지를 통해 그들의 성취성향을 알아보았다. 학생들 총 114명 가운데 과학영재 고등학생은 30명, 예술영재고등학생은 27명, 일반 고등학생은 57명이었다. 검사도구의 내용은 크게 일반적 특성, 성취동기, telic-paratelic 지향에 관한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한 양적 자료들은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이 실시되었으며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성향 중 성취동기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telic-paratelic 지향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감각지향 요인과 쾌락지향이 높게 나타났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보수지향이 높게 나타난 결과를 통하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telic 상태를 선호하고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paratelic 성향을 강하게 갖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둘째, 성취성향 차이가 영역별 영재 및 일반 학생 간 발견되었으며 과학영재가 예술영재보다 성취가 높고 예술영재가 일반 고등학생보다 높은 성취동기를 나타냈고 과학영재와 예술영재 학생이 일반 학생보다 목표 지향이 강하여서 영재들이 전공 영역을 불문하고 일반학생보다 목표 지향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과학영재는 일반고 학생보다 보수지향이 높고 일반고 학생들은 예술고 학생들보다 보수지향이 높은 반면, 일반 고등학생과 예술영재 학생의 감각지향과 쾌락지향은 과학영재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과학영재는 상대적으로 telic 상태를 선호하고 일반 및 예술고 학생들은 paratelic 상태를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과학영재와 예술영재 학생들 모두 telic-paratelic 지향 하위 항목 중 목표지향과 감각지향이 성취동기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영역별 영재들의 감각적인 성향이 그들의 영재성과도 연관이 있음을 시사했다. 흥미로운 점은, 쾌락지향은 과학영재 학생들의 성취동기와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예술영재의 성취동기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반 고등학생의 경우 목표지향 요인만이 취동기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서, 일반 고등학생 보다 영역별 영재들이 성취성향 간 강한 상관관계를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과학 및 예술 영재들과 일반 고등학생 모두 telic-paratelic 지향 척도가 학생들의 성취동기를 상당수 예측하였으며, telic 상태는 성취동기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paratelic 상태에 해당하는 쾌락지향은 성취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단, 감각지향은 영재집단과 일반집단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서 일반 학생에게는 감각지향이 높은 성취동기를 갖는 데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과학 및 예술영재 학생들에게는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이 연구는 성취성향이 영역별 영재들과 일반학생들에게 각각 어떤 방식으로 차이가 있으며 세부적으로 상관관계를 갖으며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 전반적으로 영재들은 성취동기와 목표 지향과 관련된 성취성향이 일반 학생에 비해 높은 편이었으며, 과학영재와 예술영재의 경우 감각지향 성향이 바람직한 동기 부여에 기여하였다. 진정한 의미의 성취는 학문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영역별 영재 집단과 일반 집단이 지닌 기질적인 특징을 반영하여 학습 환경을 조성할 때 가능하다. 질적으로 보다 나은 동기부여를 위해 paratelic 성향을 많이 갖고 있는 일반 학생집단에게는 telic 지향적인 학습태도를 길러주도록 노력하되, 영재 집단에서는 감각적인 수업 제공을 권장해 볼 수 있다. 영역별 영재 및 일반 고등학생의 정서 상태를 숙지하고 학습 분위기 조성에 노력을 기울인다면 학생들의 지속적인 동기유발과 흥미로운 수업을 제공하는 것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tudents’ nature of motivation and to evaluate the conjecture that ‘telic’(serious) and ‘paratelic’(fun) states may distinct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apted reversal theory perspectiv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to delicately compare students’ nature of motivation. As a means to verif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57 gifted students and 57 non-gifted students at public high schools. Among the gifted participants, 30 of them were attending a Science High School and 27 gifted students were attending an Fine Arts High School. This study then attempted to reveal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telic-paratelic states o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levels of motivation. On the basis of the questionnaire regarding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 motivation, and telic-paratelic state measure,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cover whether motivation level and telic-paratelic states of gifted students in arts and science ar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non-gifted students respectively. The analysis involved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highligh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st achievement motivation and telic-paratelic measure in gifted students in science, in arts, as well as in non-gifted students. It was suggested that achievement for gifted students in both fields of arts and science could benefit from sensible domain in the paratelic state.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gender pos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lic-paratelic states. Female students tended to seek more sensible and hedonic activity whereas male students favored conservative states. Second,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r students, in the order of gifted students at science high school, gifted students at fine arts school, and non-gifted students in public high schools.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reported that gifted students had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and were more goal oriented than non-gifted students. Moreover, gifted students in science proved more dominant in conservative orientation compared to gifted students in fine arts and non-gifted students. On the other hand, gifted students in arts and non-gifted students scored strong tendency on sensible and hedonic domains. Thus, this study hinted at a notion that gifted students in science are relatively more telic minded whereas gifted students in arts and non-gifted students are more paratelic minded. Third, achievement motivation of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were correlated with telic-paratelic states in a different manner. For the gifted students in both arts and science majors, goal-oriented characteristics and sensible natur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motivation. Interestingly, hedonic domai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tivation of science-gifted students whereas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motivation of gifted students in fine arts. The fact that goal-orientation alone had signifiant correlation to non-gifted student’s motivation showed that components comprising achievement nature in gifted students shared stronger correlation with each other. Fourth, the current study revealed that telic-paratelic difference in high school students ma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predict their academic achievements. For both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telic dominance resulted in higher motivation, whereas dominance on paratelic state lowered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Sensual spectrum in paratelic states gave a positive impact on the gifted students’ motivation. This study added telic-paratelic perception to existent motivation theory, and it has drawn manifest conclusion that telic-paratelic state was important in determining students’ motivation. Gifted students with science major enjoyed more telic state than non-gifted students, which turned out to elevate their motivation for diligent work. Risk-avoiding attitude of telic state may be successful in short-term academic achievement, but it may prevent gifted students from challenging adventurous task. At the same time, strong favor in hedonic and sensual drive can undermine non-gifted student’s morale for scholarly persistence. In other words, exorbitant shift in any direction on motivation nature may hamper student’s achievement in the long run. Thus, this study advises prospective instructors to design the classroom environment where certain degree of paratelic state is fostered among the heavily telic gifted students, and telic nature is more emphasized for the non-gifted students. Forthcoming studies can investigate student’s actual achievement in a setting with balanced motivational na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