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애란-
dc.contributor.author조희-
dc.creator조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8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6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889-
dc.description.abstractThe importance of argument and writing embedded in scientific practice has been emphasized in scie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laim & evidence writing and critical thinking; students' perception on the argument based claim & evidence writing. A total of 72 grade 11 students from a girls-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developed ten argument based claim & evidence activities and implemented in chemistry Ⅰ classes for one semester. Claim & evidence writing samples were collected and scored using an analytical framework designed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of claim & evidence writings after group and class argument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paired t-test.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ossible improvement on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fter the instruction using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Level .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udents’ perceptions on the instruction using a survey.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claim and evidence scores after group argu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fferences in claim and evidence scores after class argument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 group argumentation, the total scores of claim and evidence in every activities improved significantly than before the group argumentation(p<.05). During the group argumentation students come to understand the problem context and to develop claim and evidence. After the class argumentation, the total scores of claim and evidence improved significantly in 9 activities(p<.05). In the perception survey, students answered that the class argumentation helped them present more valid and sufficient evidence on the activities. The student who presented to other students needed to produce claim and evidence based on an accurate reference to persuade others and this helped others to reconsider their claim and evidence by listening to class argumentation. Second, after argument based claim & evidence activities students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scores showed meaningful progress (p<.01). As the students interpreted the problem, analyzed the experimental data, reviewed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sufficiency of their own claim and evidence as well as others, these activities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students’ critical thinking. Third,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claim & evidence writing was more difficult than the verbal argument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45.8%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claim & evidence writing is difficult and they do not know what and how to write a claim & evidence writing. This result implied that continuous and concrete support on the student writing should be provided.;최근 과학 탐구 활동에서 논의와 글쓰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과학자는 실험 결과를 해석하여 주장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만들고 다른 과학자와 협의하는 과정에서 과학지식을 형성한다. 학생들도 과학자들처럼 과학적 추론을 통해 탐구를 할 때 진정한 과학 학습이 일어난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논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타당하고 정확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학습 활동을 개발하였다. 이를 화학 교과에 적용하여 조별 논의와 학급 논의 이후에 학생들의 주장과 증거 글쓰기의 변화와 교수․학습 활동 적용 전 후에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를 알아보고,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소재 Y여자 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의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10개의 주제에서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학습 활동을 진행하고 학생들의 주장과 증거 글쓰기를 모두 수집하였다. 개발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조별 논의 전, 조별 논의 후, 학급 논의 후 주장과 증거 글쓰기에 각각 점수를 부여하고 대응표본 t-검정을 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활동 전 후에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의 차이가 있는지 검사지(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Level )를 이용하여 평균 점수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비교하였다. 모든 교수․학습 활동 적용이 끝난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하고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별 논의와 학급 논의 이후에 주장과 증거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조별 논의 후 주장과 증거의 총합 점수는 조별 논의 전보다 모든 주제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학생 설문 조사에서도 학생들이 조별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문제 상황을 이해하게 되고 주장과 증거를 만들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급 논의 후 주장과 증거의 총합 점수는 9개 주제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인식 설문 조사 결과에서 학생들은 학급 논의를 통해 더 다양한 증거를 제시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학급 논의에서 다른 학생들의 의견을 들으면서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을 설득하기 위해 객관적인 출처에 의한 정확하고 충분하며 타당한 주장과 증거를 제시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학습 활동 이후에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시문을 해석하거나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귀납적 추론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또 조별 논의와 학급 논의를 통해 다른 학생들의 주장과 증거를 듣고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와 사실을 선택하여, 자신의 주장과 증거에 대한 타당성, 신뢰성, 충분성을 검토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능동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학생들은 말로 하는 논의 활동에 비해 주장과 증거 글쓰기 활동이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수업의 어려운 점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45.8%의 학생이 주장과 증거 글쓰기 활동이 어렵다고 응답하였으며, 무슨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써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서술하였다. 이는 지속적이고 구체적인 글쓰기 교육 및 모델링이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A. 과학교육과 논의 4 B. 글쓰기 6 C. 탐구적 과학 글쓰기 8 Ⅲ. 연구 방법 11 A. 연구 설계 11 B. 연구 절차 12 C. 연구 대상 13 D. 연구 참여 교사 14 E. 단원 및 주제 선정 14 F.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학습 개발 16 G. 글쓰기 분석틀 개발 및 검사지 19 H. 자료 분석 26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27 A. 주장과 증거 글쓰기 27 B. 비판적 사고력 37 C. 학생 인식 39 Ⅴ. 결론 및 제언 47 A. 결론 47 B. 제언 49 참고문헌 51 부록 1 학생 인식 설문지 56 부록 2 교수학습 과정 안 60 부록 3 학습 활동지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29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학습 활동 적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화학Ⅰ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Implementation of Argument based Claim & Evidence Writing : Focus on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
dc.creator.othernameJo, Hui-
dc.format.pagevi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