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0 Download: 0

문제중심학습에서 창의성 유형에 따른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 비교

Title
문제중심학습에서 창의성 유형에 따른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 비교
Other Titles
The Differences Occurring in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uthors
유아람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우애자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occurring in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ccording to Creativity Style in PBL(Problem Based Learning). Using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with Pictures: Figural), I chose as study subjects students from a science gifted class in P high school and classified four students each into two different creativity styles: Adaptors and Innovators. I developed three problems: 'Which pen is the one the criminal used?', 'Why do I want to have some coffee after eating broiled pork belly?', 'How can I make the chemistry lab windows clean?'. Then I put these three problems into 9 period classes using PBL and checked the features the study subjects showed in problem solving process. I collected data on the observation frames by recording teaching sights and jotting them down, keeping reflection journals and from online communities. Then, using the analysis frames, I analyzed the data which were collected based on the observation frames.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depending on their creativity styles, the subjects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level of socialization, law abiding, and humor. Adaptors were more influenced by their society than the others, preferred to abide by regulations, and did not use expressions of humour. On the other hand, Innovators were less influenced by their society and got pointed out breaking laws by teacher, and used expressions of humor. Second, each creativity style revealed different aspects in the process of PBL. In Problem Recognition stage, Adaptors were fully attentive while Innovators were inattentive. In Problem Reestablishment stage, Adaptors tried to keep the paradigm using elaboration and abstractness of titles while Innovators doubted the assumption of the problem showing originality and fluency. In Searching Information stage, Adaptors went through efficient and systematic process using elaboration and abstractness of titles while Innovators approached information in a new and creative perspective using originality and fluency. In Problem Solving stage, Adaptors carefully solved the problem in efficient and organized ways based on elaboration and abstractness of titles but Innovators solved it inefficiently or in creative ways using originality and fluency. Lastly, in Sharing and Evaluating stage, Adaptors focused on the content of problem solving when some Innovators just played around only interested in a worksheet form. Based on this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gifted in scienc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ers as well as high schoolers should be chosen as study subjects in the following studies on Creativity Style. Also, future study on Creativity Style should be done in different other subjects such as arts or liberal studies as well as science. This will help to build a firm theoretical basis on Creativity Style which fits into educational reality.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reativity styles in their affective features or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That is, Creativity Style can be seen as one kind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capture the features of an individual learner and enrich them. Therefore,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Creativity Style as one kind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should be developed.;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에서 창의성 유형에 따라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TTCT(도형) 검사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인 P고등학교의 과학영재학급 학생을 적응적 창의성 유형, 혁신적 창의성 유형으로 각 4명씩 분류하였다. 3가지 PBL 문제(‘범인이 사용한 펜은?’, ‘삼겹살을 먹고 난 후 왜 커피가 마시고 싶을까?’, ‘어떻게 화학실 창문을 깨끗하게 할 수 있을까?‘)를 개발한 후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사용한 9차시 수업을 투입하여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보이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수업장면의 녹화 및 녹음한 후 필요한 내용을 전사한 것과 성찰일기 작성, 인터넷 카페의 활동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관찰 틀에 기록하였다. 이 내용을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창의성 유형에 따라 사회화의 정도, 규율의 준수, 유머에서 서로 다른 모습이 나타나는 것을 찾을 수 있었다. 적응적 창의성 유형의 경우 보다 사회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규율을 준수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유머의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반대로 혁신적 창의성 유형의 학생들은 사회의 영향을 적게 받고, 규율을 준수하지 않아 교사의 지적을 받는 모습을 보였으며, 유머의 표현을 사용하였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의 과정마다 창의성 유형별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문제 알아가기 단계에서는 적응적 창의성 유형의 학생들은 경청하는 자세를 보였고, 혁신적 창의성 유형의 학생들은 산만한 태도를 보였다. 문제 재정립하기 단계에서는 적응적 창의성 유형의 학생들은 정교성과 제목의 추상성을 사용하여 패러다임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혁신적 창의성 유형의 학생들은 독창성과 유창성을 발휘하여 문제가 지닌 가정에 의문을 품었다. 정보 찾아보기 단계에서는 적응적 창의성 유형의 학생들은 정교성과 제목의 추상성을 이용하여 효율적이며 조직적인 과정을 거쳤으며, 혁신적 창의적 유형의 학생들은 독창성과 유창성을 발휘하여 새롭고 다양한 시각에서 정보에 접근하였다. 문제 해결하기 단계에서는 적응적 창의성 유형의 학생들은 제목의 추상성과 정교성을 바탕으로 신중한 태도로 효율적‧조직적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갔고, 혁신적 창의성 유형의 학생들은 독창성과 유창성을 이용하여 비효율적이거나 독창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마지막 공유와 평가하기 단계에서는 적응적 창의성 유형의 학생들은 문제해결의 내용에 초점을 두었고, 혁신적 창의성 유형의 학생들은 학습지의 형식에 관심을 갖고 장난으로 행동하는 경우도 있었다. 고등학교 과학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창의성 유형과 관련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구의 대상을 고등학생을 비롯한 초‧중학생으로 확장시키거나 과학 교과 뿐 아니라 인문사회나 예술 등 다른 교과에서에서 창의성 유형에 대한 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교육 현실에 맞는 창의성 유형에 대한 이론적 기틀을 확고히 구축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창의성 유형에 따라 정의적 특징이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즉, 창의성 유형도 하나의 개인적 특성이라고 볼 수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개인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계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개인의 특성 중 하나인 창의성 유형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