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향-
dc.contributor.author김유연-
dc.creator김유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9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6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90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2001-2012년 「교육신문」의 제1중학교 기사를 통해 북한의 제1중학교 정책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밝히고, 실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은 1970년대 말 경기 침체에 대한 교육적 대응책으로 1980년대 수재교육을 도입했다. 과학기술분야 수재교육기관인 제1중학교는 1984년 평양제1중학교를 시작으로 1985년에 각 도에, 1999년에는 각 시․군․구역까지 200여개로 확대 설립되었다. 그러나 2001-2012년 「교육신문」의 제1중학교 기사를 분석해본 결과 2000년 이후 북한의 제1중학교가 단순히 확대 설립된 것이 아니라, 2000년대 중반부터 수재교육의 수월성과 사회주의 교육의 평등성의 조화를 모색하며 시기별로 정책이 변화해 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2001-2012년 북한 제1중학교 정책의 변천을 수재교육 전문화 시기와 수재교육 변화 모색 및 축소기로 구분해보았다. 2001-2005년에는 확대된 수재교육이 자리를 잡아가면서 전문화되었다. 그러나 제1중학교의 확대설립으로 인해 경쟁이 심화되고, 수재교육의 효율성이 약화되자, 2006-2012년에는 수재교육의 변화를 모색했다. 2006년과 2007년에는 개성의 발전보다 집단주의를 우선시하는 ‘주체적인 수재교육’을 강조했고, 2009년에는 도 제1중학교와 시 제1중학교의 일부를 제외한 모든 제1중학교를 다시 일반학교로 전환했다. 이것은 북한의 교육정책이 수재교육에서 사회주의 평등교육으로 방향을 재전환한 것을 의미한다. 「교육신문」의 제1중학교 기사에서 파악한 몇 가지 제1중학교 정책 실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중학교는 학습을 우선으로 하지만, 일반 중학교와 마찬가지로 교원․학생․학부형에게 집단과 사회를 위해 희생할 것을 강조하기도 한다. 제1중학교 학생들은 생산활동에서 배제되지만, 원군, 영예군인 돌보기, 농촌 지원, 금수산 기념궁전 관리, 사적지 관리 등과 같은 사회 공헌 활동에 동원된다. 둘째, 제1중학교는 교편물과 실험실습 토대를 갖추고 교육환경을 현대화하려고 하지만, 실제로 현대적인 교육조건을 갖춘 학교는 많지 않다. 마지막으로, 제1중학교에서 기초과학교육 다음으로 정치사상교육을 강조한다. 반면, 컴퓨터교육과 외국어교육 관련 기사는 예상 외로 빈도수가 낮아 표면적으로 강조하는 것에 비해 내용이 충실하지 않음을 보여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nsition and conditions of the first middle school policy of DPRK from 2001 to 2012. DPRK adopted the gifted education system in the 1980s as an educational solution to the economic crisis that started since the late 1970s.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middle schools, schools for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started from the First Pyongyang Middle School in 1984 and expanded to almost every district, province and major city until 1999. This study revealed that after the expansion of the first middle schools, DPRK has tried to implement the gifted education policy in the context of the socialist education since mid-2000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Kyo-yook Shinmun, 2001-2012. The changing process of the first middle school policy of DPRK in 2000s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specialization of gifted education(2001-2005) and the change and contraction of gifted education(2006-2012). From 2001 to 2005 the expanded first middle schools settled and specialized their gifted education system. From 2004 to 2005, the intelligence education methods were emphasized by the Korean Workers Party. However, as both the competition for higher level of schools and the inefficiency of gifted education grew due to the expansion of first middle schools, DPRK tried to seek “Juche” gifted education from 2006 to 2008 which put the collectivism before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From 2009 to 2012, all the first middle schools were reorganized into the normal middle schools except some schools represented the provinces and major cities. Meanwhile, the remaining first middle schools focused on their original purpose, which is the training of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history of the transition of the first middle school policy implies a shift in DPRK's education policy from the gifted education back to the socialist education. Through Kyo-yook Shinmun analysis, I was able to discover three aspects of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first middle school policy that differentiated itself from the preceding studies: First,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first middle schools are encouraged to not only improve their teaching and learning skills, but also to devote themselves to the society. Second, although DPRK tries to modernize the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first middle schools, only a few schools are equipped with modern facilities in reality. Third, the ideology education is emphasized as a second priority after the basic science education and the computer education, publications in Kyo-yook Shinmun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re low in frequen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ree perspectives: First, the object of study is DPRK’s main education newspaper, Kyo-yook Shinmun. In previous studies Kyo-yook Shinmun was only selectively quoted, and has never been an object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Second, the scope of study covers a span of twelve years from 2001 to 2012 whereas preceding studies were on the early 2000s. Third, the contents of study contains the specific analysis on the specific contents of first middle school policy in accordance with socialist education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3 Ⅱ. 분석 대상 자료의 특성 및 연구 방법 8 A. 분석 대상 자료의 특성 및 연구 범위 8 B. 연구 방법 및 구성 11 Ⅲ. 북한 제1중학교 정책의 형성과 변천 15 A. 제1중학교 정책의 형성과 변천: 2001년 이전 15 B. 제1중학교 정책 변천: 2001년 이후 20 1. 제1중학교 기사 보도 추이 20 2. 제1중학교 지역별 분포 변화 31 3. 2001년 이후 제1중학교 정책 변천 35 가. 수재교육의 전문화 시기: 2001-2005년 35 나. 수재교육의 변화 모색 및 축소기: 2006-2012년 38 C. 소결 44 Ⅳ. 북한 제1중학교 정책 실태 45 A. 학교관리운영 47 1. 학교사업 49 2. 교육환경 55 B. 교원·학생·학부형 60 1. 교원 관련 62 가. 모범 교원 사례 66 나. 모범 행정일군 사례 69 다. 교원 자질향상사업 70 라. 교수방법 개선 73 2. 학생·학부형 관련 76 C. 학과목 78 1. 정치사상교육 83 가. 위대성·충실성 교양 85 나. 반제국주의 계급교양 86 다. 조국보위교양 87 라. 사회주의 애국주의 교양 87 마. 영웅 관련 교양 88 바. 도덕교양 88 2. 기초과학교육 89 가. 수학 91 나. 물리 91 다. 화학 92 라. 생물 92 3. 컴퓨터교육 93 4. 외국어교육 94 5. 예능교육 96 6. 기타 98 D. 소결 99 Ⅴ. 결론 102 참고문헌 105 부록 교육신문에 등장하는 제1중학교 지역별 연도별 도표 109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633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북한 제1중학교 정책 실태 및 변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irst Middle School Policy of DPRK-
dc.creator.othernameKim, You Yeon-
dc.format.pagevii,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