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청소년의 수치심 경향성과 대인불안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적 역할

Title
청소년의 수치심 경향성과 대인불안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적 역할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dolescents' Shame-prone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uthors
최에스더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수치심 경향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수치심 경향성과 대인불안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전남에 위치한 고등학교 2곳에 재학 중인 393명의 남녀 고등학생들이며,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청소년의 수치심 경향성은 Tangney, Wagner와 Gramzow(1989)가 개발한 청소년용 자의식적 정서 척도(Test of Self-Conscious Affect-Adolescence: TOSCA-A)를 류설영(1998)이 우리나라 청소년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고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Garnefski 등(2001)이 개발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를 김소희(2004)가 번안,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인불안은 Le Greca와 Stone(1993)이 개발한 개정판 아동용 사회불안 척도(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Revised; SASC-R)와 Beidel 등(1995)이 개발한 아동용 사회공포증 및 불안 척도(Social Phobia and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PAI-C)를 통합하여 문혜신과 오경자(2002)가 하나의 척도로 번안,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산출을 하였으며,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수치심 경향성이 높을수록 청소년은 수행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 행동 및 사고,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비주장성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 둘째, 청소년이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청소년은 수행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 행동 및 사고,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비주장성을 덜 경험하였고,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수행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 행동 및 사고,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비주장성을 더 경험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수치심 경향성이 높을수록 청소년은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청소년의 수치심 경향성과 수행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비주장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하였으며, 청소년의 수치심 경향성과 회피 행동 및 사고에는 완전 매개하였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청소년의 수치심 경향성 및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대인불안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으며, 청소년의 건강한 대인관계 형성을 위해 국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두 변인의 중요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adolescents' shame-pronen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interpersonal anxiety.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etween the shame-prone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was investigated. A total of 399 1st, 2nd and 3rd grade high school students(186 boys and 207 girls) living in Seoul and Jeonnam participated in the study. Questionnaires such as adolescents' shame-pronen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interpersonal anxiety reported by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s, and simple/multiple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level of adolescents' shame-proneness was higher, adolescents showed higher performance anxiety, evaluation anxiety, evasion action and thought, fear of unfamiliar thing, and passivity. Second, as the level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higher, adolescents' showed lower performance anxiety, evaluation anxiety, evasion action and thought, fear of unfamiliar thing, passivity. And as the level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higher, adolescents' showed higher performance anxiety, evaluation anxiety, evasion action and thought, fear of unfamiliar thing, passivity. Third, as the level of adolescents' shame-proneness was higher, adolescents showed higher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Finally, mediating roles of adolescents' shame-prone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were found.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adolescents' shame-proneness and performance anxiety, evaluation anxiety, fear of unfamiliar thing, pass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between adolescents' shame-proneness and evasion action and thought. In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adolescents' shame-proneness influences on interpersonal anxiety and contributes to experience interpersonal anxiety. Therefore, the shame-proneness of adolescents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predict their interpersonal anx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