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도현심-
dc.contributor.author배주영-
dc.creator배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51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6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513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또래와의 관계와 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2곳의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299명(남아 141명, 여아 15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는 이선희(2012)가 개발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를 아동용으로 수정하여 측정하였으며, 또래와의 관계는 Parker와 Asher(1993)의 Friendship Quality Questionaire를 윤미경(1998)이 수정 ·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교사와의 관계는 김태영(2006)이 개발한 교사-학생관계 척도를 김나연(2010)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주관적 안녕감은 박병기와 송정화(2007)의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 검증을 실시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아동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주관적 안녕감이 높았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또래와의 관계를 통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아동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또래와의 관계가 좋아지고, 이는 높은 주관적 안녕감으로 연결되었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아동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교사와의 관계가 좋아지고, 이는 높은 주관적 안녕감으로 연결되었다. 종합해 보면,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또래와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학령 후기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및 주관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주관적 안녕감의 예측변인으로서 가정환경 변인인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대인관계적 변인인 또래와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를 함께 고려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학령 후기 아동의 건강한 사회 · 정서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ptions of maternal rearing behavior, relationship with friend,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on subjective well-being. A total of 299 5th- and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141 boys and 158 girls) living in Seoul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maternal rearing behavior, relationship with frie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their subjective well-be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erceptions of maternal rearing behavior did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Second, children’s perceptions of maternal rearing behavior did have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relationship with friend. Children who perceived positive maternal rearing behavior showed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Third, children’s perceptions of maternal rearing behavior did have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relationship with teacher. Children who perceived positive maternal rearing behavior showed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 In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both relationship factors in family and school need to be considered together to explai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aternal rearing behavior in improving subjective well-being for school-aged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7 A. 주관적 안녕감 7 B.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 8 C. 어머니의 양육행동, 또래와의 관계 및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 10 D.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와의 관계 및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 14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8 A. 연구문제 18 B. 용어정의 19 Ⅳ. 연구방법 21 A. 연구대상 21 B. 조사도구 23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26 V. 연구결과 29 A. 예비분석 29 B. 측정모형의 분석 34 C. 구조모형 분석 37 Ⅵ. 논의 및 결론 41 참고문헌 48 부록. 질문지 61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79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학령 후기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또래와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ptions of Maternal Rearing Behavior,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on Subjective well-being-
dc.creator.othernameBae, Ju-Yeong-
dc.format.pagevi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