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한국 성폭력 가해자의 병리적 '범죄자성' 구축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성폭력 가해자의 병리적 '범죄자성' 구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Pathological Sexual "Criminality" in the Korea society
Authors
이주혜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that a discourse caused from 'criminality', that the occurrence of sexual violence in Korea since 2000 was not easily corrected in individual sex offender, was produced politically and judicially. In particular, it aimed to figure out who planned and proposed exclusively 'facts' about sex offenders in the process and what was ultimately intented by establishing 'criminality' of sexual violence. Thus, it had the purpose to examine how a discourse about sex offenders produced from policies such as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and 'chemical castration' has reduced that korean feminist's argument for sexual violence as 'violence against gender', which has competed with national policies about it. And it seemed to be achieved by de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production of 'criminality' of sexual violen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suming causes of sexual violence attribute to individual sex offender, a discourse that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attribute with an objective tool or to discover it by judges' reasonable judgement, is a male-bonding political project. The reason is that it is impossible to establish 'criminality' of sexual violence without differentiating ideologically victims' experiences and excluding them systematically. First of all, the fact that criminal justice associated with sexual violence has been justified through discourse of sexual violence against children, shows clearly the political nature of the project of this 'criminality'. Meaning of 'crime' for general citizens is made up by producing categories of victims such as 'children' and then deleting ideologically 'gender violence' of sexual offenses and erasing gender of victims. The occurrence of sexual violence which a country considers as 'danger' depends on the perspective of male, who is the subject of punishment, regardless of the experiences of victims. Therefore, a 'child' is just an ideological representation recognized as a victim of sexual violence 'crime', rather than real category of victim according to age. As a result, executing criminal justice for sexual offenders has planned to strengthen state power and practiced gender norms for itself by screening and representing sexual violence cases occurring depending on the contexts. Second, the meaning of sexual violence as public 'crime' is still constructed as sexual violence acts against women outside one's dominating(private) area. So public 'solution' of the sexual violence is a way used commonly in male culture, and it is unified by depriving individual offender' 'masculinity'. Laws and policies such as「Sex Offender Notification」or 「Electronic Monitoring System」and 「Chemical Castration」, which bring out damages to the social authority that related to male identity directly, are sexual violence 'solutions' without taking a major step forward unlike the governmental authorities' arguments. Such criminal policies function as penalties for offenders located in the sub-structure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male group, about breaking the rules among men. What criminology or psychological knowledge system contribute to in the process is that men who are subjects of the punishment produce 'difference', which can be clearly separated from sex offenders, with scientific language. It is indicated that 'gap' among men is seemingly in invisible mental structure, since male sexuality is essential and common in the gender order, which male body and masculinity are not distinguished. Third, in the trial process of specific sexual violence regarding 'criminality', misogyny which individual offenders have in common is diagnosed as 'disease' or offending itself is explained as sexual deviation or sadism, causing to 'personalize' and 'pathologize' sexual violence. It's a very inevitable process that national solution of sexual violence appears as a 'treatment' of criminal justice. As the 'treatment' gives ideas of 're-finding' male group if sex offenders find 'normal' masculinity concerning sexual practice, it resolves conflicts among men caused by national policies to punish strictly sex offenders. In addition, with regard to male bonding sexual violence solutions by excluding the victims, 'women' called by psychological 'experts', who are national representatives as 'healer', are summoned collectively as 'triggers' of sexual violence, causes of 'misogyny' owned by maternal-deficient individual sex offenders. The study criticizes the national policy approach for current sexual violence to call 'men' as the subjects of sexual violence punishment excluding 'women'. Establishing and executing sexual violence policies in the system of 'man offender' - 'man executor' reduces the meaning of the sexual violence expanded by feminism to 'crime' against non-sexual citizens. As a result, collective national identity to punish sex offenders is collective masculinity made with desire to build 'criminality' of sexual violence. Therefore, a series of sexual violence 'solution' policies targeting offenders rather collude with sexual violence using women in order to realize masculinity by lasting symbolic power given to penis.;본 연구자는 2000년대 이후부터 도입 및 시행되어 온 일련의 성폭력 관련 형사정책들이 성폭력 ‘재범’예방을 위하여 개별 가해자를 선별하고 완전히 통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향성에 주목하였다. 최근의 형사정책들은 공통적으로 성폭력 가해자에게 쉽게 교정되지 않을 어떠한 특성, 즉 ‘범죄자성’이 있다는 전제에 입각하고 있다. 그러나 성폭력이 일상적으로 발생하고 증가하는 원인은 특정 가해자의 특성에 있기보다 젠더규범, 즉 남성의 성욕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간주하고 여성을 매개로 남성다움을 실현하도록 하는 사회문화적 작동 체계에 따른 것이다. 이 연구는 국가권력과 결합한 특정 학문체계가 구축한 성폭력 ‘범죄자성’의 지식생산 구조를 해체함으로써, 가해자에 집중하는 형사정책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정당화되고 있으며, 무엇을 ‘해결’하기 위함인지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폭력 재범 예방정책을 제도화 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아동성폭력의 사회적 위기는 정치적인 목적에서, 특정한 담론의 구조와 전형을 통해 생산된 것이다. 성폭력 가해자에 관한 재범담론은, ‘아동’과 같은 피해자의 범주를 생산해냄으로써 성폭력의 젠더폭력성을 관념적으로 삭제시켰다. 또한 성폭력 가해자에 대한 통제를 정당화하는 ‘사회적 합의’란, 국가권력과 동일시하는 처벌 주체로 ‘정상 남성’을 호명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편 재범성에 관한 개별 판례들 분석 결과,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는 성폭력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대상으로서의 ‘아동’이란, 특정 연령대의 실재하는 구체적 피해자가 아닌 성폭력 범죄자성의 구축에 동원되는 추상적 범주로서의 피해자적 표상일 뿐이다. 따라서 성폭력통념들의 지식화로서 성폭력 범죄자성의 구축은, 피해자의 사적 경험들을 의도적으로 차등화하고 배제하는 것 없이는 불가능한 기획인 것이다. 둘째, 사회적 범죄로 인식되는 성폭력이란 남성들 간의 규범의 위반으로, 자신의 지배(사적) 영역 밖의 여성에게 가하는 성적 폭력으로 한정된다. 이에 대한 공적 해결은 남성집단의 방식으로써, 가령 전자발찌, 화학적 거세와 같이 남성의 성 정체성과 직결되는 사회적 권위의 박탈을 통한 처벌이다. 즉, 가해 남성의 ‘남성성’을 박탈함으로써 성폭력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현행 형사정책들의 실행은 결국 가해자에 대한 지배권을 증대시킴을 목적으로 하고, 이것은 그 자체로 지배적 남성성을 실천하는 것이다. 셋째, 성폭력 발생 원인을 과학적 도구로 측정하거나 전문가의 진단으로 발견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설파하는 담론 역시 남성동맹적인 구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성폭력 ‘범죄자성’의 내용이 구성되는 재판과정에서 범죄학이나 심리학적 지식체계가 기여하는 것은, 처벌주체인 남성이 성폭력 가해자 남성과 명확히 분리될 수 있는 ‘차이’를 과학적인 언어로 생산해 내는 것이다. 재범예방정책과 결합한 특정 성폭력담론에서 가해자의 정신 상태와 성장과정은 성폭력의 원인인 병적상태를 설명하는 핵심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성폭력 사례들에서 나타나는 여성혐오를 ‘병’으로 진단하며, 가해행위 그 자체를 ‘성 도착’ 내지 ‘성 가학증적 증세’로 설명함으로써 성폭력을 개인의 문제로 병리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폭력에 대한 국가적 ‘해결’의 방법이 ‘비정상적’ 남성 가해자의 ‘치료’ 중심이 되는 것은 필연적 결과이다. ‘치료’는 성폭력 가해자가 성적 실천에 관한 ‘정상’ 남성성을 ‘되찾을’ 수 있다면, 남성 집단에 복귀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줌으로써, 성폭력 가해자를 강하게 처벌하려는 국가정책이 야기한 남성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여성’은, 개별 성폭력 가해자가 젠더폭력을 하는 이유인 여성혐오‘증’을 갖게 한 ‘유발’자이자 가해자의 성욕을 해결해 줄 ‘치료’자로서 집단적으로 소환된다. 이것은 성폭력을 설명하는 중심에 여전히 남성의 성적 욕망을 위치시키고 있는 개별 판례들로부터 증명된다. 남성 성기에 부여된 상징적 힘과 권력을 지속시키기 위하여, 남성의 성적 욕망에 의문을 두지 않는 성폭력 ‘범죄자성’의 구축은 지배적 남성성을 실천하려는 욕망과 부합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정책적 접근은 남성성의 실현을 위하여 여성을 도구로 삼는 성폭력과 공모 관계에 있다. 이 연구는 ‘정상 남성’을 성폭력의 처벌 주체로서 호명하는 동시에, 정작 성폭력의 당사자인 ‘여성’과 ‘여성의 경험’은 체계적으로 배제시켜 온 일련의 가해자 처벌 정책에 대한 비판적 접근이다. ‘가해자 남성-처벌자 남성’의 구도 하에 이루어진 성폭력 정책의 수립과 실행은, 여전히 성폭력을 개인의 문제로 귀속시킨다는 점에서 진일보하지 않은 형태의 성폭력정책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