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선표-
dc.contributor.author박정연-
dc.creator박정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4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3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6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39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1920~30년대 한국 ‘상업미술’을 주제로 삼고 그 속에 나타난 추상표현방식의 수용경로와 그 현상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근대는 산업이 발달하고 사회주의 사상이 확산되면서 자연스럽게 대중을 중심으로 한 사회가 형성되었고, 예술역시 이러한 사회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모습과 역할이 요구된 시기이다. 이러한 시대상황에서 상업미술은 산업물에 예술을 입히는 활동으로 이미 서구에서는 순수예술가들 역시 산업과 그 경계를 넘나들며 작업 활동을 시작하였다. 일본은 동아시아 국가 중에서 두드러지게 서구중심으로 선진적인 국가형태를 갖추고자 노력했고 예술 역시 서구와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거의 동시기에 급변하는 미술의 변화를 받아들었다. 이에 화단 속에서 추상표현이 보이는 전위예술 등 한국에서는 미술로 인정받지 못했던 비구상(非具象) 회화 역시 예술로 인정을 받기 시작했고 이들 전위예술가들은 사회 전방위적으로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근대 사회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은 미술의 변화가 한국에서는 어떠한 모습을 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물음을 해소해 보는 시도도 함께 하고자 한다. 먼저 상업미술이라는 광범위한 범위를 본 연구에 맞추어 추상표현이 주로 보이는 책 표지나 포스터 광고, 공예품, 건축, 쇼윈도 등의 장르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한국 ‘상업미술’의 역사를 일본과의 비교를 통해 식민지라는 특수상황이 한국 상업미술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유추해볼 수 있었다. 상업미술에 응용된 미술 중에서 비구상의 추상표현이 수용된 이유는 추상표현이 가진 단순명료한 형태, 높은 주목성과 가독성, 그리고 일반인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이며, 기능을 가진 미술이라는 점에서 쉽게 응용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이들 추상표현은 주로 서구 전위예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러시아 상업미술가들이 사용했던 방식을 차용하였으며, 이는 한국 뿐 아니라 일본과 중국에서도 동시에 사용되고 있었다는 사실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대중에게 어필했던 상업미술에 나타난 추상표현은 미술과 공예평론가를 통해 그 중요성과 필요성, 구체적으로는 응용방법과 문제점 등 그 전문성을 인정받으면서 도안정도로 인식되었던 것을 바꾸고 새로운 인식을 촉구하였다. 이처럼 추상표현은 주로 상업미술에서 수용된 반면 화단에서는 순수회화로서 인정받지 못하였는데, 이는 추상미술의 재야적인 성격이 스스로 반 아카데미즘을 표방하여 등장하면서 그 재야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고, 대중에게 더 쉽게 어필된다는 단순명료한 조형성, 마지막으로 당시 한국화단이 보수적이었기에 그 예술성을 쉽게 인정받을 수 없었다는 점을 그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이처럼 한국에서 추상미술이 상업미술에서는 쉽게 수용되었던 것은 독특하고 자극적인 표현방식이 모던사회에 어울리면서 다양하고 진보적인 근대 대중의 시각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근대기 '상업미술'이 분명히 존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를 중심으로 한 미술사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그 첫 시도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더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그리고 한국의 근대 서양미술이나 상업미술이 서양을 모방하여 유입되었다는 기존의 관점과 추상미술이 이 시기부터 이미 시작되었다는 관점 등을 재인식 해 볼 수 있었다는 데에도 본 논문에 또 다른 의의를 삼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Centered on Korean 'Commercial Art' in 1920~30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its abstract expression modes in terms of the adoptive pathway and phenomenon. In the modern time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nd expansion of socialism, a society centered on the public was established naturally, a period requiring for art to take a new role under the influence of such a social flow. In such a periodic situation, commercial art may be an activity clothing industrial articles with the art. In the western, fine artists already began their working crossing the industrial border. Also, in case of Japan, it tried to institute an advanced national system outstandingly focused on the western than other East-Asian nations, and art also accepted a rapid change of art almost the same time through active exchange with the West. So, non-figurative painting, never recognized as the art in Korea including Avant-garde having abstract expressions, began to be recognized as the art in the art field, along with omnidirectional activities of Avant-garde artists. As such, this study aims at getting an answer of a question how such an artistic change, sensitively influenced by the modern society, occurred in Korea. Firstly, based on the object of this study, setting a wide range of commercial art as genres including the book covers, poster ads, craftworks, buildings and show-windows mainly having the abstract expression, it showed that particular situation of colonization had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ommercial art through comparing the history of Korean 'commercial art' with that of Japanese. In works commercial art is applied, the reason why non-figurative abstract expression may be adopted was that it has a simple and clear form, high attractiveness and legibility and a characteristic easy to apply for generals. In other words, it could be applied in that it's a functional art. In addition, these abstract expressions,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Avant-garde, adopted a method Russian commercial artists used.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at it was used simultaneously in Japan and China including Korea. As such, abstract expression in commercial art appealing to the masses, recognized by art and craft critics for its importance and necessity, specialty concretely including its application and problem, came to call upon a new perception changing a recognition that simply regarded it as a plan for product. Abstract expression was adopted mainly by commercial art, failing in getting the recognition as fine art in the painting field. It resulted from the fact that abstract art appeared claiming for anti-academism with an oppositional tendency with simple and clear formativeness appealing to the public. Finally, those day's Korean art field which is conservative, had a limit to recognize its artistry easily. In conclusion, it may be said that abstract expression could be accepted easily in Korean commercial art because unique and arousing expressive methods matched with the modern society and satisfied visual preference of the diverse modern public having a progressive trend. Though Korean modern 'commercial art' existed definitely, there have been few art historical studies, 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made a first attempt from such a respect. Furthermore, this study could give an opportunity for new understanding of the existing perspectives that modern western or commercial arts were flown into Korea through imitation and that abstract art already began from those peri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상업미술의 발생 6 1. 상업미술의 개념과 범주 6 2. 상업미술의 원류 10 (1) 전위미술 11 (2) 장식양식과 구성교육 15 3. 한국과 일본의 상업미술 발생과 전개 17 (1) 일본 19 (2) 한국 27 Ⅲ. 한국 상업미술에 나타난 추상표현 특징과 사회인식 34 1. 조형과 기능별 특징 34 (1) 조형에 따른 분류와 특징 34 (2) 기능에 따른 분류와 특징 39 2. 상업미술과 추상표현의 사회인식 46 (1) 상업미술 인식 47 (2) 추상표현 인식 53 Ⅳ. 상업미술의 추상표현 수용성향 59 1. 추상미술의 재야성 59 2. 추상표현의 대중성 64 3. 한국화단의 보수성 68 Ⅴ. 맺음말 73 參考文獻 77 參考圖表 87 圖版目錄 88 圖 版 91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216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한국 근대 ‘상업미술’에 나타난 추상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bstract Expression in Korean Modern 'Commercial Art'-
dc.creator.othernamePark, Jung Yeon-
dc.format.pagevi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