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4 Download: 0

제4집단의 퍼포먼스에 나타난 연극적 요소의 변용

Title
제4집단의 퍼포먼스에 나타난 연극적 요소의 변용
Other Titles
The Transfiguration of Theatrical Elements in the 4th Group's Performances
Authors
송윤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1970년에 활동한 한국의 퍼포먼스 그룹인 제4집단의 퍼포먼스 작업을 연극적 요소의 변용의 측면에서 바라본 연구이다. 제4집단은 미술가로서 전위적 태도를 보여 왔던 김구림과 정찬승, 정강자가 주축이 되어 결성한 것으로, 연극, 음악, 영화, 패션, 종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공동 퍼포먼스를 기획함으로써 ‘총체예술’을 추구하였다. 특히 당시 연극계에서 팬터마임 전문극단으로 활동하던 ‘에저또’와의 협업이 두드러짐에 따라, 제4집단의 퍼포먼스는 연극의 형식을 다수 수용한 연극적 퍼포먼스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그러나 제4집단의 존속기간이 극히 짧아 기존의 연구에서는 동시대의 다른 실험미술경향들과 구분 없이 다루어지곤 하였으며, 단독 연구에서조차 퍼포먼스에 관한 분석은 피상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4집단의 퍼포먼스가 연극의 전통적인 구성요소들을 활용하거나 해체하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제4집단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우선, 제4집단은 행인들에게 특별한 지령과 소도구를 배부하거나 특정 장소를 마치 연극의 무대처럼 설정함으로써 다수의 대중을 행위주체로 변모시켰다. 예술의 관조자였던 관람자가 직접적으로 예술행위를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이러한 퍼포먼스 방식은 관객의 존재를 필수로 전제하는 퍼포먼스의 본질을 극대화하면서 동시에 전통 연극의 ‘배우-관객’ 개념을 전복시키는 것이었다. 이는 삶 속에서의 예술적 체험을 통해 고정관념을 타파하려는 제4집단의 기본 취지에 따른 것으로, 관객의 자발적 참여가 원활하지 않은 한국 사회의 정서적 풍토에서 관객참여예술을 효과적으로 실현하는 방법이었다. 더불어 참여자의 반응에 따라 퍼포먼스의 진행이 전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도 있다는 점에서 우연성과 즉흥성이 특히 강조되었다. 제4집단의 퍼포먼스에 나타나는 또다른 특징은 몸(body)의 주체 또는 몸의 물리적인 움직임 자체에 주목하기보다 신체적 행위가 함축하는 메타포가 더욱 중시되었다는 점이다. 이전의 퍼포먼스가 몸을 물리적으로 이용하면서 단발적인 해프닝의 면모를 보였던 것과 달리 제4집단의 퍼포먼스는 연극의 ‘극본’처럼 막으로 구성된 역할극의 형식을 보이는 한편 팬터마임처럼 대사를 배제하고 몸짓을 통한 의미전달에 목적을 두었다. 이는 제4집단의 철학적 토대인 ‘무체사상(無體思想)’의 가시적 표출로, 주체로서의 ‘나’를 상실한 한국사회의 독재체제를 은유한 것이기도 하였다. 일상적인 공간 속에서의 이러한 연극적 행위들은 전위적 의미의 사회적 발언이었다. 마지막으로, 제4집단은 전통적인 연극 공간인 극장을 벗어나는 데서 나아가 장례행렬이라는 설정을 통해 이동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임으로써 ‘정해진 무대’라는 연극적 요소의 한계를 확장하였다. 또한 의도에 부합하는 이동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일상적인 장소들이 갖는 의미가 교차되면서 새로운 의미로 재탄생하게끔 하였다. 이러한 퍼포먼스를 통해 제4집단은 구태의연한 기존 예술계의 타파와 외래문화로부터의 독립을 주장하면서 현대성과 전통성이 공존하는 자생적 문화예술로의 진보를 꾀하였다. 이처럼 제4집단은 배우, 관객, 극본, 무대 등 연극의 전통적인 구성요소를 수용하면서도 그것을 다시 해체하고 전복시킴으로써 탈장르적 전위예술로서의 퍼포먼스 형식을 완성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일상적인 장소에서 퍼포먼스를 펼침으로써 대중들에게 예술과 현실을 재인식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한국에서 하나의 예술운동으로서 자생적 퍼포먼스를 정립하고자 하는 시도였으며, 예술의 사회적 발언이라는 현대미술의 과제를 실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비록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가지는 못했지만 제4집단의 이러한 작업은 이후의 한국 퍼포먼스의 발전에 다각도로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제4집단의 퍼포먼스를 미술과 연극의 교류를 토대로 재조명함으로써 당대 미술가들이 연극과 시대감각을 공유하면서 그 예술적 폭을 넓히고자 하였음을 증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plored the performance works of the 4th group, a Korean primary performance group was active in the 1970, as the transfiguration of the theatrical elements. The 4th group was organized with avant-garde artists, Kim Gu-rim, Jung Chan-seung and Jung Gang-ja as main members from the field of play, music, movie, fashion and religion and pursued 'total art' through joint performance. Especially, by collaborating with 'Eh-Jeo-To', a professional pantomime troupe that was in theatrical world at that time, the performances of the 4th group established its identity as a dramatic performances with abundant accommodation of the formal elements from theatre. However, the activity period of the 4th group was extremely short so that preceding studies examined their performances with other experimental art tendencies of the same age without classification and even a single research dealt with the performances of the 4th group superficially.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in detail the aspect that the performances of the 4th group utilized or dismantled the traditional components of play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4th group. First of all, the 4th group distributed special directives and stage properties to passersby or established a specific place like a stage of a play to change a majority of masses to main actors. The performance methods to attract the audience as art observers to perform art activities maximized the performance essence that has the condition of the existence of the audience and simultaneously, overthrew the notion of 'actor-audience' of the traditional play. This was in compliance with the basic purport of the 4th group that aimed at breaking down fixed ideas through artistic experiences in life and was an efficient way to realize audience participating art in the Korean social and emotional climate in which the audience's voluntary participation could not be expected. Furthermore, because the performance progress might move to an unexpect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response, in particular, contingency and improvisation were emphasized. Another characteristic shown in the performances of the 4th group was that it focused metaphor contained by physical behavior rather than paid attention to the subjectivity of one's body or the physical movement itself.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formances that showed momentary happenings using physical bodies, the performances of the 4th group showed role playing composed of acts like a 'script' of play and on the other hand, had the purpose to exclude speech and communicate through gestures and like a pantomime of Eh-Jeo-To. This is a visual exposure of the 'intangible idea' that is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4th group and showed metaphorically the dictatorship system of the Korean society that lost 'myself' as a subject. This dramatic behavior in daily space was a social speech of avant-garde meanings. At last, the 4th group moved further from the deviation from the theatre as the traditional space of play an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funeral march, it displayed a moving performance to expand the limitations of the theatrical element of the 'defined stage.' In addition, by selecting a moving route in compliance with an intention, it made the meanings of usual places intersect to recreate them as new meanings. Through this performance, the 4th group claimed the overthrow of the previous outdated art world and the independence from foreign cultures and tried to search for an advance to spontaneous art where modernism and tradition co-exist. Like this, the 4th group accommodated the traditional components of play such as actor, audience, script and stage and dismantled them to complete the performance type as crossover avant-garde art. Moreover, it attempted to make the public realize art and reality by displaying performances in usual places. This was an attempt to establish a spontaneous performance as one art movement in Korea, and the practice of the modern art's assignment of social speech of art. Even though consistent activities could not be performed, the works of the 4th group was encouraging in that it influenced variously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performance. From this aspect, it is all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highlighted the performances of the 4th group based on the exchange of fine arts and play, and it proved that the artists of the times shared the sense of the times with play and tried to broaden the artistic ran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