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1 Download: 0

국어의 [명사+동사+-(으)ㅁ/이/기] 형 단어의 형성 연구

Title
국어의 [명사+동사+-(으)ㅁ/이/기] 형 단어의 형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Word Form [Noun+Verb+-(Eu)M/I/Ki] in Korean : Focus on Construction Grammar Theory
Authors
김혜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형용
Abstract
본고는 국어의 [N+V+-(으)ㅁ/이/기] 형 단어의 분석과 형성 과정을 구성 문법의 이론을 기반으로 살피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선 구성 문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주요 개념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국어의 [N+V+-(으)ㅁ/이/기] 형 단어들의 내부구조를 분석하고 나아가 [N+V+-(으)ㅁ/이/기] 형 단어들의 의미 유형에 따라 그에 대한 구성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국어의 [N+V+-(으)ㅁ/이/기] 형 단어들에 대한 새로운 설명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목적을 확인하고 국어의 [N+V+-(으)ㅁ/이/기] 형 단어들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기존의 규칙이나 유추가 가지던 문제점들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본고의 연구 대상을 제시하면서 연구 방법에 대하여 밝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논의의 구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구성 문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구성 문법이 형식과 의미의 짝인 ‘구성’을 기본 단위로 하는 개념임을 확인한 뒤 구성 문법의 출현 배경과 구성 문법이 기반으로 삼고 있는 단어-기반 모형에 대해서도 살펴보면서 이 단어-기반 모형이 국어의 형태론적 과정을 설명하는 데 유용함을 밝혔다. 그리고 구성적 접근법을 단어 형성 기제로서 사용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또한 구성 문법의 주요 개념인 구성과 틀, 위계에 대한 내용도 살펴보았다. 특히 틀이 구성 문법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을 강조하였는데 이때 틀이 기존의 규칙과는 다름을 밝히면서 규칙과는 달리 틀이 불규칙적인 단어들의 형성 과정을 잘 보여줄 수 있으며 또한 단어들 간의 계열적 관계를 보다 간단하게 보여줄 수 있음을 이야기하면서 그를 통하여 틀이 가지는 장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상적인 틀을 구체화하는 하위틀이 있음을 밝히면서 어휘부 속에 틀이 위계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밝혔다. 3장에서는 실재하는 [N+V+-(으)ㅁ/이/기] 형 단어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들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N+V+-(으)ㅁ/이/기] 형 단어들은 [V+-(으)ㅁ/이/기] 혹은 [N+V]가 독립적인 단위로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N+[V+-(으)ㅁ/이/기]]와 [[N+V]+-(으)ㅁ/이/기]로 내부구조를 달리 볼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때 [V+-(으)ㅁ/이/기]나 [N+V]가 독립적인 단위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V+-(으)ㅁ/이/기]가 계열적 관계를 이루는지와 이들이 다른 단어의 형성에 관여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이들 단어의 유형을 밝히려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4장에서 틀을 제시하기 위한 기반을 제시하였다. 또한 ‘-(으)ㅁ/이/기’의 성격과 관련하여 [N+V+-(으)ㅁ], [N+V+-이], [N+V+기]의 특성이 조금씩 다름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N+V+-(으)ㅁ/이/기] 형 단어들을 유형별로 나눈 것을 바탕으로 이들 단어들의 의미 유형을 제시하여 이에 따라 각 단어들에 대한 구체적인 하위틀을 마련하고 그것들을 일반화하는 상위의 틀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N+[V+-(으)ㅁ/이/기]]와 [[N+V]+-(으)ㅁ/이/기] 각각을 아우르는 틀의 위계화를 통하여 각 단어들이 어떻게 저장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러한 틀을 통하여 새로운 단어가 형성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고 남은 문제를 제시하였다.;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analysis and formation of the word form [N+V+-(Eu)M/I/Ki] in Korean. For this aims, this study adopts Construction Grammar Theory and explains the main notions of construction grammar. In addition, this paper analyses internal structure of the word form [N+V+-(Eu)M/I/Ki] and suggests constructional schema for this kind of word related to semantic types. Through this work, this study can provide different explanation on the word form [N+V+-(Eu)M/I/Ki] in Korean. In Chapter 2, this study deals with construction grammar theory generally. In construction grammar the notion ‘construction’ defined as a pairing of form and meaning plays a central role. Also this paper examines the appearance of construction grammar, and inspects word-based model. Thereby the usefulness of word-based model is determined for explaining morphological process.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construction, constructional schema and hierarchy that are the main notions of construction grammar. Especially constructional schema shows the process of irregular word-formation easily and paradigmatic relationship within words as well. And there are schemas and subschemas in hierarchical lexicon. In Chapter 3, this study classifies the word form [N+V+-(Eu)M/I/Ki], through analysis of internal structure. If there is [V+-(Eu)M/I/Ki] as a independent unit, the word has [N+[V+-(Eu)M/I/Ki]] structure. On the contrary if there is [N+V] as a independent verb, the word has [[N+V]+-(Eu)M/I/Ki] structure. But in case, there is not [V+-(Eu)M/I/Ki] and there is also not [N+V] as a independent unit, the word [N+V+-(Eu)M/I/Ki] is classified another way. If [V+-(Eu)M/I/Ki] can form paradigmatic relation within several words or [V+-(Eu)M/I/Ki] can take part in forming another word as a precedence element, the word has [N+[V+-(Eu)M/I/Ki]] structure. In addition in this chapter, this paper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d form [N+V+-(Eu)M/I/Ki] related to ‘-(Eu)M/I/Ki’. In Chapter 4, based on argument above, this study provide constructional schemas for the word [N+V+-(Eu)M/I/Ki] related to semantic types. Each word has a concrete subschema and the generalization of concrete subscheamas can form abstract schema. Through the hierarchy of schema and subschema, this study confirm that each schema stores in lexicon and words can be formed by that schema. Finally, in Chapter 5, summary and remaining issuses are pres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