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왕회전>의 군담소설적 성격 연구

Title
<왕회전>의 군담소설적 성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eatures of Military Fiction Wanghwoe-jeon : Focusing on Structural Development in Fiction
Authors
박혜인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혜란
Abstract
19세기 한문장편소설인 <왕회전>은 17세기의 몽유록 <금화사몽유록>을 원천으로 한 작품이다. <왕회전>에서 군담은 양적으로 서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 외에도, <금화사몽유록>에서 <왕회전>으로의 장편화 과정 및 작품의 인물과 배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고는 이에 주목하여 <왕회전>의 작품 전체의 분석을 통해 <왕회전>의 군담소설적 면모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금화사몽유록>에서 <왕회전>으로의 장편화 과정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의 군담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기존 군담의 확장으로 <금화사몽유록>에서 소략한 서술로 마무리되던 군담이 <왕회전>에서 주체의 변화와 함께 구체화되었다. 또한 전쟁과 관련된 삽입문이 대거 삽입되면서 군담의 확장에 일조하였다. 두 번째는 <금화사몽유록>에서 수용된 창업연 서사 내부에 모의적 군담이 삽입되었으며, 그 외에도 송주 유유, 항우, 한신과 같은 적대자들을 추가하면서 이들에 관한 새로운 군담 서사를 이루어냈다. Ⅲ장에서는 <왕회전>의 본격적인 분석을 통해 작품의 구조와 군담의 성격을 알아보았다. <왕회전>은 전투담과 회합담으로 이루어져있는데, 각각 점층적, 대칭적 구조를 통해 군담을 이루고 있다. <왕회전>의 군담은 유세(誘說)나 격서(檄書) 관련된 장면이 구체화된 논리전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등장인물에 관한 역사적 일화의 변용을 통해 인물과 사건을 형상화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회합담뿐 아니라 전투담에서도 이론적 지식 및 인물의 나열로 서사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Ⅳ장에서는 <왕회전>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작가의식과 함께, 군담소설로서의 <왕회전>의 위치에 대해 알아보았다. <왕회전>의 작가의식은 크게 역사의식과 창작의식으로 나뉜다. 작가는 청을 인정하는 시각을 보여주며 기존의 숭명의식과의 타협으로 존주론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당대 역사의식을 반영한 것이다. 한편 <왕회전>은 문학적 유희를 통한 역사의 서사화라는 점에서 희작으로서의 면모를 보인다. 또한 김제성이 자신의 문학적 재능을 군담소설을 통해 드러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대중화 경향과도 관련이 있다. <왕회전>은 19세기 한문장편소설이자, 창작군담소설의 범주 안에 들어가면서도, 이들과는 다른 변별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19세기 한문장편소설 속 군담의 역할과 양상을 비교했을 때, <왕회전>은 개작과정에서 군담의 확장이 일어나는 점과, 역사적 사실의 변용으로 군담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한편 <왕회전>은 창작군담소설이지만, 기존의 창작군담소설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왕회전>은 영웅일대기 구조의 부재, 군담 속에서의 다양한 전술, 논리전의 양상 등의 차이를 가진다. 이는 앞서 군담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한문장편소설과 변별되는 모습이기도 하다.;Wanghwoe-jeon [王會傳] is a full-length novel written in Chinese (referred as Hanmun henceforth) inspired by the seventeenth-century Keumhwasa Mongyu-rok [金華寺夢遊錄] (Mongyu-rok is a literary genre of an old Korean short story, which describes an incident happened in a dream). The military story in Wanghwoe-jeon plays a crucial role not only in comprising the major story quantitatively but also in affecting the process of structural development from Keumhwasa Mongyu-rok to Wanghwoe-jeon, major characters of Wanghwoe-jeon, and it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over the features of Wanghwoe-jeon as a military novel through analyzing the work in overall with a focus on the three-described aspects. In the second part, I analyzed the process of how Keumhwasa Mongyu-rok is structurally developed (made into a novel from a short story) into Wanghwoe-jeon; furthermore, I found a role of military narratives in this process. First, it is an extensive one from the previous military narratives; the military narratives are more elaborated with a subjective change in this work compared to the briefly-descriptive ones in Keumhwasa Mongyu-rok; moreover, it is contributed to extending military narratives by inserting a great amount of anecdotes related to war. For example, it still contains the scene of the feast for creators from Keumhwasa Mongyu-rok; however, accounts of simulating war are inserted into this feast scene in this work. In addition, this work creates new anecdotes by adding more antagonists such as King of Liu Song Dynasty Liu Yu, Xiang Yu, and Han-Xin. In the third, I discovered the structures of this work and the features of military narratives via critically analyzing the work Wanghwoe-jeon. It is majorly composed of two anecdotes on battles and meetings, each of which has a gradual, symmetric structure. As it also develops battle scenes with the details of coaxing or provoking enemies, it shows a sort of strategic battles and its features. Also, it adapts real anecdotes of historical figures to create and develop its characters and incidents. Lastly, it describes theoretical knowledge and lists figures in the battle scene as well as in the meeting scene. In the fourth, to discover the meaning of Wanghwoe-jeon, I researched on a status of Wanghwoe-jeon as a military novel and on the author Je-Seong Kim and his mind. We can understand about him and his thought majorly in two ways: a historical mind and a creative one. First, the author has a view of acknowledging the Qing Dynasty, insisting Jonju-lon (a spirit of revering the Ming Dynasty as a descendent of the Zhou Dynasty) as a compromise of the existing spirit revering only the Ming;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flection of the-then historical consciousness. Meanwhile, Wanghwoe-jeon itself shows a literary work for amusement at the point of historical description through literary creation for pleasure. Also the fact that he revealed his literary talent via creating the military novel is relevant to the-then trend of popularization in the late Joseon. Wanghwoe-jeon is a nineteenth-century Hanmun novel and creative military one, but it has distinctive properties unlike other novels in the same category. First, when compared to roles and aspects of other 19th century full-length military novels, it has two features in common: first, extensive military anecdotes in the adapted process and second, adapting historical events into the military stories. Even though it is a creative military writing, however, it has clear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creative stories; it lacks a heroic life structure, but it shows differences in recounting diverse strategies and its features in the anecdotes. This is a discriminative feature from the previously existing Hanmun novels focusing on narrates military sto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