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폭력양상 연구

Title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폭력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spects of Violence shown in Son Chang-seop's Novels
Authors
강효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손창섭은 불구적 인물과 우울한 배경을 통해 전후 현실을 가장 잘 형상화한 작가이며 다양한 차원으로 논의되어 왔다. 전쟁 폭력은 손창섭 작품의 중요한 모티브이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폭력’을 단편적인 현상으로 제시할 뿐 깊이 있는 고찰로 나아가지 못하였다. 본고는 ‘폭력’에 대응하는 주체의 행동변화에 따라 손창섭 소설의 결말이 긍정적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연구하며 퇴폐적으로 일관되어 온 작가의 의식이 공존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손창섭 소설의 폭력은 푸코가 말하는 권력의 감시체계 안에서 작동하고 있다. 주체의 신체와 정신을 통제하는 권력의 장치는 소설의 배경 곳곳에서 작동한다. 그리고 권력은 인물들의 위계관계를 통해 보다 직접적으로 드러난다. 비논리적인 힘의 우열을 통해 지배질서가 형성되었을 경우 권력은 폭력의 단초가 된다. 권력의 우위에 놓인 인물들은 물리적 폭행과 정신적 억압을 가하며 희생물을 질서에서 배제시키거나 규율에 종속시킨다. 육체적 통제 뿐 아니라 관습적 질서를 강요하는 인물들은 정신적인 복종을 요구한다. 본고는 이성과 비이성을 이분법화 하고, ‘비정상’으로 간주되는 인물들에게 권력을 오용하는 과정을 폭력으로 규정한다. 물리적 공격과 비가시적인 통제로 형성되는 폭력은 인물들의 권력관계를 전제로 하여 표출된다. 손창섭 소설의 주체는 이러한 폭력을 다양한 방식으로 체화한다. 먼저, 무방비한 상태로 폭력과 대면한 주체는 외부의 억압에 수동적인 태도를 보이며 퇴행하는 양상을 보인다. 아버지는 유아가 주체성을 획득하고 사회에서 정상적인 관계 맺기를 수행하게 하도록 돕는 존재이다. 하지만 손창섭 소설에서 아버지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인물들은 무차별적인 폭력성을 보인다. 법과 질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권력을 남용하고 오용하는 아버지로 인해 주체는 상징적 질서로 편입하지 못하고 상상계로 퇴행한다. 한편, 외부의 폭력을 내면화한 주체는 폭력을 모방하며 충동적인 공격성을 표출한다. 패배자의 위치에 놓여있던 주체는 이러한 공격성을 표출하며 또 다른 희생물을 만들어낸다. 주체는 피해자와 가해자의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며 권력관계를 교란한다. 왜곡되고 허위적인 권력의 폭압을 고발하는 주체의 행위는 충동적인 파괴성으로 드러나며 폭력에 대항하는 주체의 노력은 폭력의 연쇄작용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손창섭 소설에서 폭력에 대응하는 주체의 또 다른 양상은 타인에 대한 책임감으로 드러난다. 폭력을 재현한 주체들은 폭력으로 더 이상 아무것도 해결할 수 없음을 안다. 이들은 폭력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타자에게 나아가며 새로운 현실을 모색한다. 이러한 맥락을 토대로 본고는 폭력에 대응하는 주체의 내외적인 변화에 따라 소설의 결말이 몇 가지로 유형화 되고 있음을 밝힌다. 폭력을 대면한 주체가 수동적인 자세를 취할 때 소설의 구조는 ‘하강적 결말’ 을 보인다. 권력체계의 감시와 억압에 통제당하는 인물은 스스로 규율에 종속됨으로써 죽음에 이른다. 또한 권력의 오용은 상징적 질서를 와해시키고 정상적인 주체형성과정을 거치지 못한 인물은 어머니로 상정되는 여성에게 과도하게 집착하며 퇴행한다. 반면, 주체가 폭력을 모방하고 파괴성을 보일 때 소설의 구조는 ‘반전적 결말’을 보인다. 피해자의 위치에서 욕망을 통제 당하던 인물들은 점차 투쟁의식을 드러내며 폭력을 고발한다. 하지만 주체의 폭력은 살해욕망과 복수심으로 표출되는 공격성에 그친다는 한계를 지닌다. 주체가 폭력을 각성하고 주변 인물들에게 관용을 베풀 때 손창섭 소설의 구조는 ‘상승적 결말’을 보인다. 인물들의 연대는 폭력에서 벗어나기 위한 새로운 대안점이다. 이웃을 돌보는 인물들은 타인의 고통을 완전히 책임지거나, 책임에 실패하더라도 반성적 성찰로 나아간다는 점에서 긍정성을 보인다. 본고는 법과 질서가 부재한 전후 현실에 놓여있는 인물들이 폭력을 경험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논의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권력의 감시와 억압에 노출된 인물들이 스스로를 통제하며 피해자로 귀결되는 작품을 통해 사회성을 상실한 주체가 타자와의 관계 맺기에 실패하고 모멸의식에 고착되어 있음을 밝힌다. Ⅲ장에서는 희생자로 머물며 폭력을 내면화한 인물들이 가해자로 변모하며 파괴성을 보이는 작품을 통해 주체가 폭력을 고발하고 있음을 밝힌다. Ⅳ장에서는 이웃의 결핍을 포용하고 관용을 베푸는 인물들이 등장하는 작품을 통해 주체가 현실을 성찰하며 타인에게 책임을 다할 때 폭력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밝힌다. 각 장의 A절은 폭력에 대응하는 주체의 행위를, B절은 주체가 변화하는 공간의 특성과 그에 따른 소설의 결말 구조를 살펴본다. 타인의 고통을 향해 나아감으로써 폭력의 악순환을 멈추려는 인물들은 연대만이 폭력의 상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작가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작중인물들은 병리적이고 불구적인 주체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폭력적인 상황을 타개할 움직임을 보인다. 폭력양상에 따른 소설의 구조를 살펴보는 작업은 손창섭이 인간과 세계의 갈등 안에서 삶의 방향성의 문제를 끊임없이 고민하였음을 확인하는 유의미한 과정이 될 것이다. 나아가 전후의 피폐한 현실에서도 타인과의 공존을 모색한다는 지점은 손창섭 소설이 부정적 현실에서 긍정적 세계로의 갈망을 포기하지 않고 있음을 밝히는 작업이 될 것이다.;As a writer who best embodied the postwar reality through disabled characters and gloomy backgrounds, Son Chang-seop has been discussed about from various levels. The pathological disease of the characters who create the base of his works is an injury caused by the war's violence. Even though 'violence' is an important theme in Son Chang-seop's works, past studies were unable to contemplate more deeply on it and only expressed it as a fragmentary state. This paper's goal is in studying how the ending in Son Chang-seop's novel positively transfigures according to the behavioral change of the main agent as a result of 'violence,' and in revealing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decadently coherent author's consciousness coexisting within the novel. The violence in Son Chang-seop's novel works within the authority panopticism suggested by Foucault. The authority system that controls the main agent's body and mind works throughout the novel's background in several places. Also, the authority appears even more directly through the characters' hierarchy. In cases where the ruling order is created through illogical superiority of power, authority becomes the fodder for violence. The characters who are in a position of authority use physical violence and mental oppression, excluding victims from the order or making them obedient to the rules. The characters who emphasize not only physical oppression but also conventional order demand mental obedience. This paper is, after dividing between rational and irrational, regulating that the process of the misuse of authority on the characters deemed 'irrational' as violence. Violence, which is formed through physical attacks and invisible oppression, is expressed on the assumption of the characters' relation of power. The main agent in Son Chang-seop's novel internalizes this violence in various ways. First, the main agent, who fights against violence in a defenseless state, shows a passive attitude towards external oppression and seems to regress. A father is an existence that helps the child find its identity and have normal relationships within society. However, the characters that are shown as fathers in Son Chang-seop's novel show only indiscriminate violence. As a result of his father who could not act as the function of law and order and misused his authority, the main agent's growth could not be transferred into a symbolic order but regresses as time goes on. On the other hand, the main agent, who internalized the external violence, copies violence and shows a surprising aggressiveness. After being put in the position of a loser, the main agent displays aggressiveness and creates another victim. By showing both a victor and loser's appearance, he disturbs the relation of power. The actions of the main agent, which accuses the violent oppression that is distorted and false, shows a surprising destructiveness, and the efforts of the main agent to go against violence have a limit in that they create a domino effect to more violence. Another appearance of the main agent that goes against violence in Son Chang-seop's novel is his sense of responsibility for others. The agents who reenacted violence now know that violence cannot be used to solve anything. Through repentance of their violent actions, they try to create a new reality by reaching out to others. By using this context as the background, this paper reveals that this novel's endings can be typified in various ways in accordance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nge in the main agent that is against violence. When the main agent shows a passive attitude, the novel's structure is a 'descending ending'. The characters that are under the surveillance and oppression of the system of authority die by willingly subjecting themselves to the rules. Also, the misuse of authority collapses order and characters who did not go through a normal development process regress by showing an excessive obsession with women who are introduced as mothers. On the other hand, the novel's structure appears to be a 'reversing ending' when the main agent copies violence and destructiveness. Characters whose desires were oppressed after having been put in the position of losers gradually showed struggle consciousness, accusing violence.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violence of the main agent is an aggressiveness portrayed as a desire to murder and revenge. When the main agent awakens his violence and is generous to those around him, the structure of Son Chang-seop's novel is an 'ascending ending'. The character's solidarity is a new alternative in order to escape violence. Those who look after their neighbors show positivity in that they take full responsibility of others' pain or even if they fail in taking responsibility, by proceeding to reflective thinking. This paper discusses the changing process of how the characters experience violence when placed in a postwar reality where law and order is gone. First in chapter II, it is revealed that the main agent, who has lost his sociability, fails in creating bonds with others and is full of scorn towards himself through a work which is about characters who are exposed to the surveillance and oppression of authority rule themselves and end up being victims. In Chapter III, the main agent is accusing violence through a work where characters who are stuck as victims and internalize violence transfigure into attackers to show destructiveness. Through a work where characters show generosity and embrace neighbors' deficiencies, chapter IV shows that the main agent is observing reality and can escape from violence when he takes responsibility for others. Passage A of each chapter examines the main agent that fights against violence and his actions, while passage B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where the main agent changes and the novel's en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at. The characters who tried to stop the vicious cycle of violence by moving toward others' pain reflect the author's view of world that the solidarity is the only way to escape from the wounds of violence. The characters are not set as being pathological and disabled, and they show movement to overcome the violent situation. Examining the structure of the novel according to the aspects of violence will become a significant process of checking that Son Chang-seop endlessly thought about the way one's life should take in the conflict between humans and the world. Furthermore, seeking coexistence with others even in the impoverished postwar period, it is revealed that Son Chang-seop's novels desire for a positive world even in the negative re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